경종(레)

덤프버전 : (♥ 0)


[ 펼치기 · 접기 ]

초대제2대제3대제4대제5대
태조 태종인종전폐제성종
제6대제7대제8대제9대제10대
헌종숙종위목제양익제중폐제
제11대제12대제13대임시복위
소종공제장종대왕장종
제14대제15대제16대제17대제18대
중종영종세종경종신종
제19대복위제20대제21대제22대
진종신종현종玄宗가종희종
제23대제24대제25대제26대제27대
유종후폐제순종의종현종顯宗
제28대감국복위
민제숭양공민제
추존
고상조 · 현조 · 선조 · 덕종 · 효종 · 우종
비정통
레방 · 레조 · 레주이멋



묘호경종(敬宗)
시호간휘제(簡輝帝)
현인유경수복혜황제(顯仁裕慶綏福惠皇帝)
레(Lê, 黎/여)
주이 떤(Duy Tân, 維新/유신)
생몰기간1588년 ~ 1619년
재위기간1599년 ~ 1619년

1. 개요
2. 생애




1. 개요[편집]


베트남 후 레 왕조의 제16대 황제. 묘호는 경종(敬宗), 시호는 현인유경수복혜황제(顯仁裕慶綏福惠皇帝). 휘는 여유신(黎维新). 세종(世宗)의 아들.


2. 생애[편집]


1588년, 세종의 차남으로 태어났다.

1599년, 아버지 세종이 죽자, 권신이자 경종의 장인이 되는 정송(鄭松)은 세종의 장남 여유지(黎维持)는 어리석기에 차남인 여유신을 황제로 추대하였다. 조정은 실권을 찐씨 정권에게 빼앗겨 찐씨 정권의 왕 정송이 조정을 총괄했고, 경종은 이런 정송의 태도에 불만을 품게 되었다.

결국은 정송을 암살하기 위한 계획을 세웠으며 정송이 귀경(回京)할 때 암살자를 보내 황권을 되찾고자 하였다. 그러나 이 작전은 실패하였고 자살을 강요당하여 목을 매달고 자살하였다.

정송은 경종이 자신을 암살하려 했다는 점 때문에 그에게 묘호를 올리지 않았고 단지 시호를 간휘제(簡輝帝)라 올렸으며 제사도 금지하는 등, 황제 대접을 못받게 했다. 그러나 신종의 지적 하에 정장이 지적안을 받아들여 제사를 허용했고 묘호와 시호를 다시 올렸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12 00:27:07에 나무위키 경종(레)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