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광운수

덤프버전 : (♥ 0)






이름성광운수(유)
주소경기도 부천시 벌말로(오정동)
설립일2002년 1월 9일
대표이사최성규
업종시내버스
인가대수83대

1. 개요
2. 연혁
3. 운행 노선
4. 특이사항
5. 면허 체계
6. 현재 보유차종
7. 과거 보유차종


1. 개요[편집]


유한회사 성광운수는 경기도 부천시의 전환 시내버스 회사이다. 본사 및 차고지는 경기도 부천시 대장동 487(대장공영차고지)에 있다.


2. 연혁[편집]


2002년 1월 9일에 부천시의 마을버스 회사로 설립하였으며, 2010년 6월에 부천버스로부터 95번 노선을 인수하며 시내버스 사업에 진출하였으며, 2010년 9월 3일자로 나머지 노선이 시내버스로 형간전환되면서 마을버스 사업에서 철수하였다.


3. 운행 노선[편집]


  • 19: 대장공영차고지 - 부천테크노파크 3단지 - 부천테크노파크 2단지 - 부천초등학교 - 부천아이파크 - 신흥시장 - 약대동주민센터 - 설악마을, 덕유마을 - 은하마을, 중흥마을 - 부천시청역 - 경기국제통상고등학교 - 상동주민센터 - 상동시장 - 펠리스카운티 - 중동역 - 신한일전기 - 부천고등학교 - 성주초등학교 - 부천남중학교 - 깊은구지사거리 - 소림사 - 일신교회 - 부천역 남부 - 소사역 - 괴안동입구, 소사고가 - 역곡역 남부 - 한양슈퍼 - 양지마을 - 옥길단독1블록 → 제이드카운티 → 센트럴힐 → 브리즈힐, 옥길S1블록(구 020-2번)



  • 95 : 대장공영차고지 - 부천축산물공판장 - 오정산업단지 - 오케이산업 - 오정샛말주택단지 - OBS경인TV - 부천실업고등학교 - 내촌고가밑 - 오정시장 - 삼하빌라 - 백산빌라 - 대한노인회 - 성지아파트 - 오정동행정복지센터, 오정어울마당 - 영화아파트 - 동문아파트 - 해주아파트 - 원종사거리 - 원종종합시장, 성곡사거리 - 성곡동행정복지센터, 홈플러스 부천여월점 - 까치울중학교 - 여월농업공원 - 부천종합운동장역 - 부천종합운동장 - 시립도서관, 중앙레포츠공원 - 산림욕장삼거리 - 석왕사 - 가톨릭대학교 부천성모병원 - 소사역 - 소사종합시장 → 복사골신협 → 진영정보공업고등학교 → 소사어울마당 종점 → 소사초등학교

  • 98 : 오정동행정복지센터, 오정어울마당 - 영화아파트 - 동문아파트 - 해주아파트 - 원종사거리 - 원종종합시장, 성곡사거리 - 성곡동행정복지센터, 홈플러스 부천여월점 - 여월 휴먼시아 2, 3, 4, 5단지 - 여월 단독주택 - 까치울역 - 까치울 전원마을 - 까치울마을 - 까치울터널 - 양천어르신요양센터 - 신정 이펜 하우스 - 강월초등학교 - 신곡시장 - 동방아파트 - 신정네거리 - 신정역 - 목동역 - 오목교역

  • 99 : 부천옥길전기충전소 - 옥길동 - 항동하버라인 - 역곡고가 - 역곡역 - 양지초등학교 - 구로SKV1.제일풍경채포레스트 - 제이드카운티1단지 - 옥길중학교 - 옥길브리즈힐


4. 특이사항[편집]


  • 이 회사는 한때 경기도 시내버스 회사 중에서 가장 마지막으로 그리고 유일하게 버스 안내방송을 버스티브이로 사용하는 업체였지만 현재는 EB 안내방송이 송출된다.

  • 다른 버스회사들과 달리, 대차를 빨리하는 편이다.[1]

  • 코로나19로 모든 버스회사들이 힘들어하는 상황이지만 이 회사는 오히려 이 시기를 이용해 사세 확장을 노리는 모습을 보여준다. 본래부터 타 노선과 많은 구간을 공유하는 노선인 19번, 98번을 오히려 증차하는 모습을 보여주며 공격적으로 시세 확장을 하는 모습을 보여준다. 19번의 폭풍 증차로 갈 곳이 없어진 기린운수 021-1번이 폐선되자 이에 대한 대체 노선인 99번을 이 회사가 운영한다.

  • 이 회사에서 전기버스를 뽑기 전 까지만 해도 부천시는 물론 수도권 시내버스에서 KD 운송그룹경기운수를 제외하면 유일하게 전 차량이 대우인 회사였다. 코스모스 단종 이후 대우 이외의 타 제조사 버스는 부천버스에서 노선을 인수하여 넘어온 현대 차량이 있었고 2021년에 전기버스일렉시티로 도입하게 되면서 대우 원메이크가 깨졌으며 아예 현대로 공급선을 전환했다.


  • 회사의 규모가 그리 크진 않고 소신여객이나 부천버스 같이 여러 굵직한 노선들을 가지진 않아서 잘 알려지진 않았지만 노선 운행에 있어서 지역 주민들에게 그럭저럭 호평을 받는 회사다. 코로나19 유행 기간 동안 19번을 오히려 증차시키고[2], 그 이외 노선들도 큰 규모로 감차시키지 않거나 그대로 운행시키면서 지역 주민들의 불편을 최소화시켰다.


  • 2014년에 부천에서 최초로 대우 NEW BS110을 출고한 회사이다.[3]


5. 면허 체계[편집]


  • 경기 7130##[4], 35##[5], 3698, 62##[6], 81##호, 400#호[7]


6. 현재 보유차종[편집]



6.1. 자일대우버스[편집]



6.2. 현대자동차[편집]




7. 과거 보유차종[편집]



7.1. 자일대우버스[편집]


  • 대우 BS090 로얄미디 디젤
  • 대우 BS090 로얄미디 천연가스버스[A]
  • 대우 BS090 로얄미디 F/L 디젤
  • 대우 BS106 로얄시티 천연가스버스[A]

7.2. 현대자동차[편집]


  • 현대 뉴 슈퍼 에어로시티 천연가스버스[A]

7.3. 기아[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3 09:48:54에 나무위키 성광운수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다른 버스회사들은 10년 조금 넘게 채우고 대차하지만, 이 업체는 8~9년 쓰고 칼대차하는 일이 잦다.[2] 이건 021번의 빈자리를 노린 전략이긴 하지만 지역 주민 입장에서는 어쨌든 감차에 의한 불편을 줄여준 선택이다.[3] 4대이며, 4대 전부 27번에 투입됨.[4] 도원교통 면허.[5] 부천버스 면허.[6] 6206~6217호는 부일교통이 사용중이다.[7] 자체 증차분. 4001~4008호가 이에 해당한다.[A] A B C 부천버스 출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