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산동문동성당

덤프버전 : (♥ 0)


파일:대한민국 국장.svg 대한민국의 국가등록문화재
320호321호322호
국가표준 근대도량형기천주교 대전교구 서산 동문동 성당구 강경공립상업학교 관사


파일:서산동문동성당 본당.jpg

천주교 대전교구
서산동문동성당
Seosan Dongmun-dong Cathoilc Church
瑞山東門洞聖堂
파일:서산동문동성당 로고.jpg
기본 정보
위치충청남도 서산시 서령로 53
교구서울관구 대전교구
지위대전교구 서산지구 중심성당
주임사제유충식 라파엘 신부(2020~)
보좌사제주상연 베드로 신부(2023~)
홈페이지공식 홈페이지
건축 정보
설립1908년 5월 9일
문화유산 정보대한민국의 국가등록문화재 제321호
(2007년 4월 30일)
위치



1. 개요
2. 역사
2.1. 역대 주임신부
2.2. 역대 보좌신부
3. 특징 및 시설
3.1. 본당
3.2. 다목적관
3.3. 천사유치원
4. 전례 시간표
5. 예비자 교리 시간표
6. 여담
7. 출신 성직자 / 수도자
7.1. 신부




1. 개요[편집]


서산동문동성당은 충청남도에 세워진 4번째 성당이자, 서산에서 첫 번째로 지정된 근대문화유산 국가등록문화재 제321호이다. 부속으로 천사유치원을 운영하고 있다.


2. 역사[편집]


  • 1881년: 프랑스인 두세(Doucet) 신부가 서산군 팔봉면 소길리(現 금학리)에서 전교(傳敎)해 서산동문동성당의 시초가 되었다.
  • 1908년 5월 9일: 파리외방전교회 사제들이 결성군(現 홍성군) 구항면 공리에 서산동문동성당의 전신인 '수곡본당'을 설립하고 초대 본당신부로 그 소속인 폴리(Polly, 심응영 데시데라도) 신부를 파견했다.
  • 1934년 6월 13일: 현재의 동문동 위치에 성당 부지를 취득했다.
  • 1937년 10월 5일: 현재의 성당이 준공되었다.
  • 1947년 4월 10일: 복자 김대건 안드레아 신부 순교 100주년 기념사업으로 천사유치원이 개원하였다.
  • 2022년 4월 1일: 서산동문동성당 다목적관이 준공되었다.


2.1. 역대 주임신부[편집]


역대 주임신부
순서이름재임기간비고
1심응영 데시데라도1908년 5월 9일-1914년 8월 14일사망
2원형근 아드리아노1914년 9월 14일-1917년 4월 28일사망
3안학만 루카1917년 10월 2일-1919년-
4심응영 데시데라도1919년 9월 23일-1921년 10월-
5메이상 베드로1921년 10월-1932년-
6범 베드로1932년-1946년 1월 13일-
7한공렬 베드로1946년 3월-1948년-
8이삼복 사도요한1947년 9월-1948년 6월-
9고일랑 요한1948년 8월 22일-1950년 9월 26일-
10유봉운 야고보1950년 11월-1951년 11월 16일-
11한도준 마태오1951년 11월 17일-1953년 9월 7일-
12신균식 도미니코1953년 9월 8일-1958년 6월 29일-
13오일복 사도요한1958년 6월 30일-1966년-
14유성숙 루도비코1966년 3월-1972년 12월 26일-
15이규남 요셉1972년 12월 27일-1975년 9월 10일-
16백 요한1975년 9월 10일-1980년 9월 5일-
17구자오 베네딕토1980년 9월 5일-1984년 9월 20일원로사목자
18박상옥 토마스1984년 9월 21일-1985년 3월 3일원로사목자
19이인하 베네딕도1985년 3월 4일-1990년 8월 23일사망
20이계창 아우구스티노1990년 8월 24일-1994년 8월 10일원로사목자
21김종국 바르나바1994년 8월 11일-1996년 11월 16일원로사목자
22이상룡 필립보1997년 1월 21일-1999년 2월 3일원로사목자
23권태용 안셀모1999년 2월 4일-2004년 2월 12일환속
24변갑철 바오로2004년 2월 12일-2005년 2월 12일사망
25최석영 이냐시오2005년 2월 12일-2007년 2월 1일원로사목자
26배승록 프란치스코하비에르2007년 2월 1일-2012년 1월 19일휴양
27이한영 마르코2012년 1월 19일-2016년 8월 24일내동성당 주임
28이범배 바오로2016년 8월 24일-2020년 1월 16일휴양
29유충식 라파엘2020년 1월 17일 -


2.2. 역대 보좌신부[편집]


역대 보좌신부
순서이름재임기간비고
1마알만도 마르티노1959년-1964년-
2이계창 아우구스티노1968년 1월 5일-1968년 12월 27일[1]
3김종국 바르나바1968년 12월 28일-1969년 9월 10일[2]
4여충구 마르코1971년 7월 22일-1972년 4월 21일원로사목자
5윤인식 바오로1973년 12월 29일-1974년 11월 28일원로사목자
6윤종학 베르나르도1975년 12월 8일-1976년 12월 19일원로사목자
7윤세병 세례자요한1977년 12월 8일-1979년 3월 10일원로사목자
8백성수 시몬1979년 3월 11일-1979년 10월 1일원로사목자
9구일모 베드로1980년 3월 6일-1980년 9월 6일원로사목자
10김영곤 안드레아1983년 3월 28일-1984년 4월원로사목자
11윤성균 가브리엘1984년 5월 23일-1985년 3월 3일용전동성당 주임
12이원순 마티아1985년 3월 4일-1986년 3월 5일중동성당 주임
13김인수 스테파노1987년 2월 26일-1988년 2월 25일삼성동성당 주임
14안상길 사도요한1988년 2월 26일-1989년 2월 23일원로사목자
15정준섭 요셉1989년 2월 24일-1990년 3월 1일월평동성당 주임
16임기선 요셉1990년 3월 2일-1991년 8월 22일홍성성당 주임
17곽명호 루카1991년 8월 23일-1992년 8월 20일신부동성당 주임
18여준구 안토니오1992년 8월 21일-1993년 8월 9일교동성당 주임
19이정업 바오로1993년 8월 10일-1995년 2월 5일대천성당 주임
20이원무 베다1995년 2월 6일-1996년 2월 1일둔포성당 주임
21김희용 베드로1996년 2월 1일-1998년 2월 12일부여성당 주임
22김성현 스테파노1998년 2월 13일-2000년 2월 28일몽골 해외선교
23임상교 대건안드레아2000년 2월 29일-2001년 2월 28일성정동성당 주임
24연광흠 바오로2001년 2월 8일-2002년 2월 7일안식년
25이혁 아우구스티노2002년 2월 7일-2004년 2월 12일운산성당 주임
26황영준 시몬2004년 2월 12일-2006년 1월 19일갈매못성지 전담
27허숭현 안셀모2006년 1월 19일-2008년 1월 31일안식년
28김광수 요셉2008년 1월 23일-2010년 1월 21일대교동성당 주임
29오기환 사도요한2010년 1월 21일-2011년 1월 20일서면성당 주임
30윤영중 필립보2011년 1월 20일-2012년 1월 19일성소국 국장
31최용묵 사도요한2012년 1월 19일-2015년 1월 19일자양동성당 주임
32신성수 베드로2015년 1월 19일-2017년 1월 19일쌍용동성당 보좌
33강요셉 요셉2017년 1월 19일-2019년 1월 16일브라질 캄피나스한인성당 주임
34양웅석 필립보2019년 1월 16일-2021년 1월 21일규암성당 주임
35이준석 사도요한2021년 1월 21일-2023년 1월 19일병원사목 전담
36주상연 베드로2023년 1월 19일 -


3. 특징 및 시설[편집]


천주교 대전교구 서산지구의 중심본당이며, 서산시에서 천주교 석림동성당에 이어 2번째로 큰 성당이다. 천주교 동문동성당의 시설은 다음과 같다.

3.1. 본당[편집]


파일:서산동문동성당 본당.jpg
1908년 5월 9일 동문동성당의 전신인 홍성군 구항면 공리 수곡성당에서 시작해, 1937년 10월 5일 본당 완공으로 서산동문동성당의 실질적인 시초를 알린 성당이다. 서산 최초의 성당이라는 역사적 가치가 높아 문화재청으로부터 국가등록문화재 제321호로 지정되었다.

성전 내부에 성 김대건 안드레아 신부의 유해와 성 앵베르 범 라우렌시오[3] 주교, 성 모방 나 베드로 신부, 성 샤스탕 정 야고보 신부의 유해를 관리중에 있으며, 성전 후방에는 바로(Barrox)동산이 조성되어 있다.

3.2. 다목적관[편집]


파일:서산동문동성당 다목적관 조감도.jpg
조감도
파일:서산동문동성당 다목적관.jpg
다목적관 모습
다목적관 건축 영상

서산동문동성당의 다목적관은 2021년 3월에 착공해, 2022년 4월 1일에 최종완공되었다.

다목적관 건축 목적이 성당 사무실, 성물방, 교육회관, 수도원, 수녀원, 사제관이 다른 장소에 분산되어 있어 이용이 불편했을 뿐 더러, 주차장 차량 주차 가능 대수도 적어 의무 축일교중 미사 전후로 주차장 자리가 부족해 헬게이트가 상당히 심했다.

2021년 3월에 기공식을 열고, 2021년 4월 1일에 최종 완공했다. 다목적관이 최종 완공되면서 흩어져있던 성당 타 기능들을 다목적관에 하나로 통합해 매우 편리했을 뿐더러, 2층에는 본당과 직접 연결되는 통로도 생겼다.

영상 초반에 지하주차장이 마련되어 있다. 본래 주차가능대수를 29면으로 계획하려고 했으나 건축기금 예산 부족으로 인해 6면으로 축소해 성당 관계차량들만 주차할 수는 있으나 다목적관 완공으로 주차 가능대수가 증가해 주차난이 해소되었다.

3.3. 천사유치원[편집]


파일:서산동문동성당 천사유치원.jpg

1947년 4월 10일에 개원하여 77년의 역사를 가지고 있다. 복자 김대건 안드레아 순교 100주년 기념사업으로 개원했으며 폐원한 과거 서산제일교회 부설 유치원에 이어 2번째로 개원했으며, 현존하는 서산시 유치원 중 가장 오래 운영하고 있다.


4. 전례 시간표[편집]


미사
서산동문동성당 미사 시간
미사요일시작 시각비고
주일미사토요일14:00음암면 상홍리 공소에서 진행.
매월 첫 주간 토요일 제외
16:00어린이 미사
18:00학생 미사
주일06:00
08:30
10:30교중 미사
19:00청년 미사
평일 미사월요일06:00
화요일19:30
수·목·금요일10:00 / 19:30
토요일10:00매월 첫 주간 토요일에만 진행

유아 세례
주보에 공지됨.

병자 영성체
일반적으로 매월 둘째 금요일에 하며, 구체적인 일정은 주보에 공지됨.


5. 예비자 교리 시간표[편집]


서산동문동성당 예비자 교리 시간
요일시작 시각비고
수요일20:00평일 미사 후에 진행
주일09:00교중미사 전에 진행

6. 여담[편집]


  • 서산지구의 중심본당이지만, 동문동성당으로부터 남동쪽으로 2km 떨어진 석림동성당보다 본당 규모가 작다. 그렇지만 2022년 4월 1일 다목적관 완공으로 그 자부심은 있으나 면적을 비교해 볼 땐, 서산동문동성당 부지가 석림동성당보다 조금 더 넓다.
  • 상술했듯이, 서산지구 성당의 규모는 성지를 포함시키면 해미순교성지가 가장 넓다. 그곳은 천주교 순교성지에다가 국제성지로 지정되어 있다. 자세한 내용은 해미읍성 참조.
  • 원도심에 있어서, 앞서 설명했듯이 의무 축일교중 미사, 주님 성탄 대축일 밤 미사, 주님 부활 대축일 파스카 성야, 그밖의 성대한 전례 거행 후 향교오거리 서편의 서령로 구간이 헬게이트로 변한다. 대신 주차장 부지는 넓어 주차난 걱정은 하지 않아도 된다.


7. 출신 성직자 / 수도자[편집]



7.1. 신부[편집]


출신신부
순서이름 및 세례명서품현소임비고
1이종순 요셉1913년 5월 17일-1935년 3월 30일 사망
2신인식 바오로1920년 9월 18일-1968년 8월 12일 사망
3백남창 아가피토1946년 11월 21일-1950년 9월 18일 6.25 전쟁북한군에 납북됨. 사망일자 불명.
4백남익 다오니시오1953년 12월 20일-2004년 11월 2일 사망.
5박창득 아우구스티노 몬시뇰1961년 3월 20일-2015년 9월 18일 사망.
6조규식 세례자요한1975년 12월 8일-2016년 은퇴
7민병섭 바오로1979년 3월 6일미국 버지니아 리치먼드 성 김대건 한인 천주교회 주임신부-
8황선영 라우렌시오1983년 8월 17일세종 조치원성당 주임신부-
9김기만 알베르토1985년 2월 18일논산 연무성당 주임신부-
10한정현 스테파노2000년 2월 21일천주교 대전교구 보좌주교
총대리 겸 수도회 담당 교구장 대리 겸 교구청장
-
11이정욱 다니엘2015년 1월 9일천안오룡동성당 보좌신부
아산 공세리성지 성당 보좌신부
-
12박효식 사도요한2017년 11월 3일미국 뉴욕 브루클린 한인 천주교회 보좌신부-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3 02:22:08에 나무위키 서산동문동성당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20대 보좌신부[2] 21대 보좌신부[3] 천주교 서울대교구 제2대 교구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