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새만금로

덤프버전 :

||



||
[ 펼치기 · 접기 ]




새만금로
Saemangeum-ro | 새萬金路
군산 방면
고군산로
김제 방면
새만금동서도로
부산 방면
변산바다로
파주 방면
새만금북로
노선 번호
12번 국도
77번 국도
기점
전라북도 부안군 변산면 새만금교차로
종점
전라북도 군산시 비응도동 신시도입구삼거리
연장
30.20km
관리
한국농어촌공사 새만금사업단
왕복 차로 수
4차로전 구간
주요 경유지
변산새만금 방조제비응도

1. 개요
2. 상세
2.1. 특징
2.2. 주요 구간
2.3. 대체도로
2.4. 대중교통
3. 교통량
4. 주요 시설
4.1. 기타


1. 개요[편집]


전라북도 부안군 변산면의 새만금교차로에서 시작하여 전라북도 군산시 비응도동의 신시도입구삼거리까지 이어지는 총 30.20km, 4차선의 도로. 12번 국도, 77번 국도의 일부이다. 새만금 방조제 위에 부설된 도로이다.


2. 상세[편집]



2.1. 특징[편집]


아직 새만금의 내부 개발이 시작조차 되지 않은 사정상, 시점과 종점, 고군산로와의 교차로를 제외한 교차로는 사실상 없는 편이다. 다만 새만금이 성공적으로 개발되면 새만금의 중심 도로로 기능하게 된다. 별표가 붙은 교차로 명칭은 가칭이다.


2.2. 주요 구간[편집]


도로 시점
30

77

30

77

부안
변산바다로
(새만금교차로)
변산
새만금홍보관
(새만금 로터리*)새만금박물관 예정부지
가력휴게소
(가력휴게소*)가력도항
가력 배수갑문
12

12

77

전주
새만금 동서 2축 도로
(신시교차로)
아리울 예술창고
(신시 배수갑문*)새만금 33센터
신시 배수갑문
신시광장
(신시터널*)새만금휴게소
77

12

고군산로
(신시1사거리)
고군산군도
야미4길
(야미도*)
야미도
비응항
77

새만금북로비응로
전주
(신시도입구삼거리)
도로 종점


2.3. 대체도로[편집]


새만금 방조제를 잇는다는 도로나, 고군산군도를 잇는 도로로 본다면 사실상 대체도로가 없고, 군산 - 부안 변산간 도로로 본다면 서해안고속도로등을 이용하면 된다. 단, 군산 서부 대부분 지역(군산 시내 대부분, 옥구읍, 옥산면 등)은 새만금로를 이용하는 것이 빠르며, 군산 동부 지역(조촌동, 구암동 등 군산 시내 동부 등)은 서해안고속도로(또는 기존 지방도 등) 이용이 빠른 것으로 나왔다. 만약 군산에서 변산 지역을 가게된다면 알아서 선택하자.

새만금 개발의 일환으로 개통한 새만금 남북도로(4번 국도)가 2023년 09월 12일 준공되어 이 도로의 대체도로가 되었다.


2.4. 대중교통[편집]



2.4.1. 시내버스[편집]


현재 이 구간을 다니는 대중교통은 군산 버스 98번과 군산 버스 99번과 부안군 농어촌버스 마실버스 (신시도↔새만금홍보관)밖에 없다.

과거 이 도로를 지나가는 버스로는 1시간 마다 운행하는 군산 버스 99번이 유일했으며, 가력도갑문(군산-부안간 경계)까지 운행을 했었다. 2016년 7월 5일부로 고군산로 개통에 맞춰 군산 버스 98번이 개통을 해서 무녀도로도 갈 수 있으며, 부안군 농어촌버스 마실버스와도 신시도 구간부터 기점까지 연계가 되는데, 종점이 새만금전시관이고, 1일 2회만 운행하므로 연계는 힘든 편이다. 이후 99번과 98번이 사실상 번호만 바꾸어 현재 군산 버스 98번이 새만금로 전 구간, 군산 버스 99번고군산로 쪽으로 들어가게 된다.


2.4.2. 철도[편집]


현재는 딱히 철도 계획은 없지만, 차후 군장국가산업단지 인입철도의 새만금 연장선이 새만금 신항까지 들어오게 된다. 다만 화물 전용으로 건설될 예정이다.


3. 교통량[편집]


성수기인 8월 휴가철[1]이나 일출 감상 수요가 있는 새해 첫날에는 교통량이 꽤 된다. 그러나 비성수기, 특히 평일에는 교통량이 거의 없으며[2], 신시도 구간과 가력도 회전 교차로를 제외하면 대부분 구간이 완연한 직선인지라 사실상 고속도로에 준하는 수준으로 과속은 물론 공도 레이싱이 매우 자주 발생한다. 최고 제한 속도는 80km/h지만 실질적으로 이 속도를 지키는 차량은 거의 없으며, 과속할 생각이 없는 차량들도 속도감이 전혀 느껴지지 않아 대부분 차량들이 최소 100 ~ 130km/h 이상의 과속, 작정하고 밟는 차량들은 제한 속도의 두 배가 넘는 150 ~ 160km/h 이상까지 질주한다. 심지어 평상시에는 횡단보도에서 사람조차 거의 건너 다니지 않는 탓에[3] 속도를 멈추지 못하고 신호를 위반하는 차량들도 종종 있다.

단, 중간에 신호등과 단속카메라가 군데군데 설치되어 있어 무턱대고 과속하다가는 과속딱지에 걸릴 위험이 있으며, 행여 신호위반을 했을 경우 횡단보도를 건너는 시민이 위험에 빠질 수 있으므로 주의해서 운전하는 것이 좋다.[4] 또, 대부분의 교차로에서 유턴이 불가능하며 도로변 쉼터를 이용한 P턴을 권장하고 있다.

도로변에 한 차로만큼 넓은 갓길이 있어 갓길 불법주정차가 빈번하게 발생한다. 시화방조제와는 달리 여기는 분리봉도 설치되어 있지 않고, 부안 방향 도로에는 인도에 펜스도 쳐져 있지 않아 불법주정차를 하고 경치를 구경하는 관광객들이 많이 보인다. 단, 어디까지나 불법주차이므로 주차시에는 반드시 비상등을 켜도록 하자. 그리고 다시 출발할때도 간혹 2차로에서도 과속하는 차량이 있을 수 있으니 추돌 사고가 발생하지 않도록 주의해야한다.

4. 주요 시설[편집]


2016년 6월 새만금방조제의 읍면리가 획정되고 지번으로 등록되면서 그동안 임시지번을 사용하던 시설들의 주소가 변경되었다.



4.1. 기타[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새만금 방조제
새만금 방조제
문서의 r24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24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링크 : https://youtu.be/y9P9qBf-MCU https://youtu.be/zIf3f3ErzbA)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2 21:15:37에 나무위키 새만금로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고군산군도를 관광하러 온 관광객들이 많기 때문이다. 물론 이것도 주말 한정이다. 평일에는 평상시처럼 교통량이 거의 없다고 보는 게 편하다.[2] 어느 정도냐면 그 30km짜리 방파제 구간을 주행하는데 군산 - 부안 양방향 구간 모두 합쳐서 교통량이 5 ~ 10대밖에 되지 않는 수준이고, 교통량이 적은 평일이나 일요일 오전 시간대에는 거의 1 ~ 2대 볼까 말까이거나, 특히 새벽 시간대에는 아예 없는 경우도 있다![3] 기껏 해봐야 바다를 보기 위해 주차한 사람들 뿐이다.[4] 한 가지 팁이 있다면, 행여 과속으로 주행하다가도 횡단보도가 나오면 속도를 줄여주는 것이 좋다.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