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상하이외국어대학

덤프버전 :


파일:shwgydx_xh_png-160328.png 상하이외국어대학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파일:중국 국장.svg
중국 《세계일류대학 및 일류학과 건설》 정책 대상 대학 (2기, 2022년)
[ 펼치기 · 접기 ]
화베이베이징칭화대학★·베이징대학★·중국인민대학·베이징외국어대학·베이징항공항천대학·베이징공업대학·베이징이공대학·베이징과기대학·베이징화공대학·베이징우전대학·중국농업대학·베이징임업대학·베이징셰허의학원·베이징중의약대학※·베이징사범대학·수도사범대학·베이징교통대학·중국전매대학·중앙재경대학·대외경제무역대학·외교학원·중국인민공안대학·베이징체육대학·중앙음악학원·중국음악학원·중앙미술학원·중앙희국학원·중앙민족대학·중국정법대학·중국광업대학(베이징)·중국지질대학(베이징)·중국석유대학(베이징)·화베이전력대학·중국과학원대학
톈진난카이대학·톈진대학·톈진공업대학·톈진의과대학·톈진중의약대학·허베이공업대학
허베이허베이공업대학
산시(산서)산시대학◎·타이위안이공대학
내몽골내몽골대학
둥베이랴오닝랴오닝대학·다롄이공대학·둥베이대학·다롄해사대학
지린지린대학·연변대학※·둥베이사범대학
헤이룽장하얼빈공업대학·하얼빈공정대학·둥베이농업대학·둥베이임업대학
화둥상하이푸단대학·퉁지대학·상하이교통대학·화둥이공대학·둥화대학·상하이해양대학·상하이중의약대학·화둥사범대학·상하이외국어대학·상하이재경대학※·상하이체육학원·상하이음악학원·상하이대학·중국인민해방군해군군의대학
장쑤난징대학·쑤저우대학·둥난대학·난징항공항천대학·난징이공대학·중국광업대학·난징우전대학·허하이대학·장난대학·난징임업대학·난징정보공정대학·난징농업대학·난징의과대학◎·난징중의약대학·중국약과대학·난징사범대학
저장저장대학·중국미술학원·닝보대학
안후이안후이대학※·중국과학기술대학·허페이공업대학
푸젠샤먼대학·푸저우대학
산둥산둥대학·중국해양대학·중국석유대학(화둥)
중난허난정저우대학·허난대학
후베이우한대학·화중과기대학·중국지질대학(우한)·우한이공대학·화중농업대학·화중사범대학※·중난재경정법대학
후난샹탄대학◎·후난대학·중난대학·후난사범대학·국방과기대학
장시난창대학
광둥중산대학·지난대학·화난이공대학·화난농업대학◎·광저우의과대학◎·광저우중의약대학·화난사범대학·남방과기대학
하이난하이난대학
광시광시대학
시난쓰촨쓰촨대학·시난교통대학·전자과기대학·시난석유대학·청두이공대학·쓰촨농업대학·청두중의약대학·시난재경대학
충칭충칭대학·시난대학
구이저우구이저우대학
윈난윈난대학
티베트티베트대학
시베이산시(섬서)시베이대학·시안교통대학·시베이공업대학·시안전자과기대학·창안대학·시베이농림과기대학·산시사범대학·중국인민해방군공군군의대학
간쑤란저우대학
칭하이칭하이대학
닝샤닝샤대학
신장신장대학※·스허즈대학
출처: 중국 교육부 | 학교 코드 기준으로 정렬
★: 일류학과 자율지정 대상 | ◎: 2기 신규 지정 | ※: 일류학과 건설 경고 혹은 취소 대상


파일:아시아 위치.svg 아시아 지역 외국어대학 협의체
Consultative Body of Universities of Foreign Studies in Asia
[ 펼치기 · 접기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한국외국어대학교부산외국어대학교
파일:중국 국기.svg베이징외국어대학상하이외국어대학
파일:일본 국기.svg도쿄외국어대학교토외국어대학
파일:몽골 국기.svg몽골인문대학교
파일:우즈베키스탄 국기.svg사마르칸트국립외국어대학교
파일:베트남 국기.svg국립하노이외국어대학교


영국 - 중국 인문학 연구연합 (UKCHA)
UK - China Humanities Alliance
||
[ 펼치기 · 접기 ]

 UKCHA 관련 정보 

* UK - China Humanities Alliance (이하 UKCHA)는 양국의 인문학 연구 및 교육 협력을 촉진시키기 위해 지난 2016년 설립됐다.
* 본 연구연합의 영국측 책임 기관(UK lead university)은 엑시터 대학교이며, 중국측 책임 기관(China lead university)은 칭화대학이다.
* 본 연구연합의 창립 회원들에 대한 정보는 이 곳을, 2018년 확대 개편된 이후의 현재 회원들에 대한 정보는 이 곳을 참고하길 바란다.
파일:800px-University_of_Exeter_Crest.svg.png
파일:옥스퍼드 대학교 문장.svg
파일:케임브리지 대학교 문장.svg
파일:유니버시티 칼리지 런던 문장.svg
파일:493px-Shield_of_King's_College_London.svg.png
엑시터
University of Exeter
옥스퍼드
University of Oxford
케임브리지
University of Cambridge
유니버시티 칼리지
University College London
킹스 칼리지
King's College London
파일:SOAS 로고 배경제거.png
파일:1200px-University_of_Reading_shield.svg.png
파일:1200px-Shield_of_the_University_of_Manchester.svg.png
파일:1200px-Shield_of_the_University_of_Warwick.svg.png
파일:800px-Shield_of_Loughborough_University.svg.png
동양·아프리카학 대학
SOAS
레딩
University of Reading
맨체스터
University of Manchester
워릭
University of Warwick
러프버러
Loughborough University
파일:칭화대의 로고.svg
파일:베이징대학 엠블럼.svg
파일:1200px-Fudan_University_Logo.svg.png
파일:우한대학교 로고_배경제거.png
파일:북경외국어대학 문장_배경제거.png
칭화대학
清华大学
북경대학
北京大学
복단대학
復旦大学
우한대학
武汉大学
북경외대
北京外国語大学
파일:홍콩중문대학 로고.svg
파일:The_Logo_of_Shanghai_International_Studies_University.png
홍콩중문대학
香港中文大學
상해외대
上海外国語大学




상하이외국어대학
上海外国語大学
Shanghai International Studies University
파일:shwgydx_xh_png-160328.png
국가
파일:중국 국기.svg

분류국립대학
개교1949년 12월
교훈격고지원 학관중외 (格高志遠 學貫中外)
총장리옌쏭(李岩松)
당위서기지앙펑(姜锋)
재학생학부생5,972명
연구생2,827명
외국인 유학생1,595명
주소홍커우캠퍼스(虹口校区)
상하이시 대련서로 550호
(中国上海市大连西路550号)

--
송장캠퍼스(松江校区)
상하이시 문상로 1550호
(中国上海市文翔路1550号)
링크중국어
영어
한국어
일본어
1. 개요
2. 상세
3. 개설 학과
4. 출신 인물




1. 개요[편집]


파일:up_14177662790712632_0.png
상하이외국어대학

상해외대 개교 70주년 영상

상하이외국어대학은 1949년에 설립된 중국교육부 직속 대학교이다. 중문 약칭은 '上外[1](샹와이)'이며 영문 약칭은 SISU ( Shanghai International Studies University)이다. 상하이외국어대학은 중화인민공화국 교육부 직속으로 상하이시와 공동으로 운영하며, 국가 “211공정” 과 “쌍일류(세계 일류의 대학과 일류 학과)” 건설항목에 포함된 외국어중점 대학이고 1949년 12월 신중국이 성립된 후 가장 먼저 창립한 고등외국어대학이며, 화동인민혁명대학에 부설된 상해러시아어학교가 본 대학교의 시초였다. 또한, 본교 통번역 대학원은 국제회의통역사협회(AIIC)로부터 전세계 최고 평점를 받았으며, 홍콩 · 마카오 · 대만을 포함한 중국에서 유일하게 세계15위에 들어간 전문적인 회의통역사를 양성하는 고등교육기관이다.

대한민국에서는 상하이외국어대학이나 상해외국어대학, 혹은 줄여서 상하이외대, 상해외대 라고 부른다. 여러모로 부산외국어대학교와 비슷한 점이 많다. 다만, 상해외대는 국립대로, 상해외대 출신자는 상해에서만큼은 정말 영어에 능통한 명문대생 이미지다.[2]


2. 상세[편집]


상하이외국어대학은 1949년 설립돼, 그 전신은 화동인민혁명대학 부설 상하이러시아어학교[3]이며, 초대 총장은 저명한 러시아어 번역가, 출판가, 중국 백과사전 사업의 창시자 장춘팡이다. 그 후 화동인민혁명대학 부설 외국어전문학교, 상하이 러시아어전문학교, 상하이외국어학원 등의 계승과 변혁을 거쳐 1963년 중국 교육부 중점대학에 등록되었다. 1985년 교육부의 승인을 받아 학교의 영문 교명은 'Shanghai International Studies University'(약칭 'SISU')[4]로 확정되었고, 1994년 '상하이 외국어 대학'으로 정식 명칭이 변경되었다. 62개국 및 지역의 440개 이상의 대학, 문화 및 교육 연구 기관 및 국제 기구와 협력 관계를 구축했으며 유엔 본부 및 지점, 유럽 위원회 및 유럽의회와 협력 프레임워크 협정을 체결한 중국 대학이며 아시아-아프리카 연구 국제 연맹, 중국-영국 고등 교육 인문 연맹, 중국-러시아 종합 대학 연맹, 중일 인문 교류 대학 연맹 및 기타 국제 학술 연맹에 가입했다.

2022년 9월 기준으로, 이 대학은 홍커우와 송장 두 캠퍼스에 위치하며 총 74.7헥타르의 면적을 차지한다. 22개의 교육 학부, 55개의 학부 전공 및 49개의 언어로 강의가 이루어지고 있다. 국가 "이중 일류" 학문 건설 대상 학과 1개와 국가 수준의 3개의 중요한 학문 분야(1개는 육성 중)를 보유하고 있다. 박사 후 연구 이동 스테이션 3개, 제1급 학문 분야 박사 과정 3개, 제1급 학문 분야 석사 과정 8개, 전문 석사 과정 8개를 운영하고 있으며, 총 3,624명의 대학원생이 있다.

3. 개설 학과[편집]


학사과정
영어, 러시아어, 독일어, 프랑스어, 스페인어, 아라비아어, 일본어, 페르시아어, 한국어, 인도네시아어, 태국어, 히브리어, 베트남어, 포르투갈어, 스웨덴어, 터키어, 그리스어, 이탈리아어, 네덜란드어, 우크라이나어, 힌디어, 헝가리어, 우즈베키스탄어, 카자흐스탄어, 폴란드어, 체코어, 중국어, 통역, 비지니스영어, 신문학, 커뮤니케이션, 광고학, 인터넷미디어, 금융학, 국제경제및무역, 법학, 국제정치, 행정학, 교육공학, 중국어국제교육, 정보관리및정보시스템, 공상관리, 회계학, 공공관계학

중점학과
국가급중점학과
영어, 러시아어, 아라비아어
국가급비통용어인재배양
이탈리아어, 포르투갈어, 그리스어, 네덜란드어
상하이시중점학과
아라비아어, 국제관계
학교급중점학과
일본어, 프랑스어, 독일어, 정치학, 신문학, 공상관리, 외국어및응용어언학

석사과정
금융학, 국제무역, 응용통계학, 정치제도, 국제정치, 국제관계, 외교학, 국제공공관리, 중국학, 국제지역연구, 사상정치교육, 교육과정및교수론, 성인교육학, 교육공학, 체육교육학, 언어학및응용언어학, 중국어문자학, 중국고대어, 중국현대어문, 비교문학및세계문학, 영어, 러시아어, 프랑스어, 독일어, 일본어, 스페인어, 아라비아어, 유럽어문학, 아시아및아프리카어문학, 외국어및응용어언학, 통역학, 언어전략및언어정책학, 신문학, 커뮤니케이션, 광고학, 기업관리, 기술경제및관리, 공공관계학

박사과정
국제정치, 국제관계, 외교학, 중동연구, 중국학, 국제지역연구, 영어, 러시아어, 프랑스어, 독일어, 일본어, 아라비아어, 아시아및아프리카어문학, 외국어언학및응용학, 통역학, 언어전략및언어정책학, 중국어국제교육, 비교문학과다문화연구, 글로벌커뮤니케이션


4. 출신 인물[편집]


  • 추궈훙 : 전 주한 중국대사 (일본어학과)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2 20:45:03에 나무위키 상하이외국어대학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상외[2]중국 내 타 지역에서는 비교적 약세다.[3] 어문학교[4] 직역하자면 상해국제학대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