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 라이온즈/1988년

덤프버전 : (♥ 0)

||
[ 펼치기 · 접기 ]

19821983198419851986
2위
4위2위
1위
[[1985년 삼성 라이온즈 통합우승|{{{#fecd00 }}}]]
2위
19871988198919901991
2위
3위
4위
2위

3위
19921993199419951996
4위
2위
5위5위6위
19971998199920002001
4위
3위
4위
3위
2위
20022003200420052006
1위
[[2002년 한국시리즈|{{{#white,#191919 }}}]]
4위
2위
1위
[[2005년 한국시리즈|{{{#white,#191919 }}}]]
1위
[[2006년 한국시리즈|{{{#white,#191919 }}}]]
20072008200920102011
4위
4위
5위2위
1위
[[2011년 한국시리즈|{{{#white,#191919 }}}]]
20122013201420152016
1위
[[2012년 한국시리즈|{{{#white,#191919 }}}]]
1위
[[2013년 한국시리즈|{{{#white,#191919 }}}]]
1위
[[2014년 한국시리즈|{{{#white,#191919 }}}]]
2위
9위
20172018201920202021
9위6위8위8위3위
20222023202420252026
7위8위?위?위?위
: 우승: 준우승 | : 포스트시즌 진출




파일:삼성 라이온즈 엠블럼(1982~1988).svg {{{+1 KBO 리그 1988 시즌 {{{#fecd00 }}} 삼성 라이온즈 }}}
순위승차승률
3[1] / 75625012.00.528

1. 스토브리그
1.1. 코칭스태프 이동
1.2. 선수 이동
1.3. 신인 선수
2. 전지훈련
3. 정규 시즌
3.1. 선수 이동
4. 포스트시즌
4.1. 플레이오프
5. 선수별 개인 성적
5.1. 투수
5.2. 타자
6. 수상 및 기록



1. 스토브리그[편집]



1.1. 코칭스태프 이동[편집]


몇 차례 투수코치로서 러브콜을 보냈으나 번번히 거절한 장명부가 마침내 삼성 코치직을 수락했다. 장명부는 2군 육성을 목표로 2군 투수코치를 맡게 됐다.


1.2. 선수 이동[편집]


1987년 시즌 후 기대보다 저조한 기록을 냈던 김기태를 비롯해 김준희, 손상대, 함학수, 홍순호 등이 은퇴했다.


1.3. 신인 선수[편집]


  • 1차 지명 : 정윤수(경남대 투수), 홍성연(고려대 투수)
  • 지명권 양도 : 이홍식(영남대 외야수, 롯데 자이언츠 2차 지명)

1차 지명된 류명선(계명대 투수)은 1988 서울 올림픽 참가를 위해 실업팀인 세일통상에 입단했다. 하지만 팀이 4개월만에 망했다


2. 전지훈련[편집]


1988년 2월 1군 선수단이 일본 규슈 노베오카에서 전지훈련을 실시했다. 1984년 전지훈련 이후 4년만의 일본 전지훈련. 전지훈련 연습구장인 니시시나 구장은 긴테쓰 버팔로즈도 사용하는 곳이라서 시설은 문제 없었지만 이번에도 날씨가 문제였다. 우리나라 초봄과 비슷한 쌀쌀한 날씨여서 도리어 부상선수가 속출해 계획보다 빨리 귀국했다.


3. 정규 시즌[편집]


노베오카 전지훈련의 여파 때문인지 전기리그 내내 부상이 끊이지 않았다. 류중일이 팔꿈치 수술을 받은 것을 시작으로, 팔꿈치 부상을 당한 양일환허규옥, 허리 부상을 당한 이만수, 발목 부상을 당한 이종두, 무릎 인대가 파열된 김성래 등. 거기에 김시진도 롯데와의 경기 중 타구에 손가락을 맞아 한동안 결장했다. 다행히 후기리그에서는 2위를 차지하면서 플레이오프에 진출할 수는 있었다.


3.1. 선수 이동[편집]


시즌 중 장명부 코치의 추천으로 재일 한국인 투수 정용생이 입단했다.


4. 포스트시즌[편집]



4.1. 플레이오프[편집]


1988년 플레이오프
삼성 라이온즈 VS 빙그레 이글스
경기일시경기장원정경기 결과중계방송사
1차전10월 8일 (토) 14:00한밭종합운동장 야구장X삼성 0 : 3 빙그레OKBS2
2차전10월 9일 (일) 14:00X삼성 3 : 9 빙그레OMBC
3차전10월 11일 (화) 18:00대구시민운동장 야구장O빙그레 7 : 1 삼성XKBS2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KBO 플레이오프/1988년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5. 선수별 개인 성적[편집]


  • 진한 표시는 리그 5위내 성적. 붉은 글씨는 1위 입상 성적.
  • 투수는 이닝이 많은 순서대로, 타자들은 타수가 많은 순서대로.

5.1. 투수[편집]


  • 우완
 이름경기수선발등판이닝세이브ERA피안타사사구탈삼진
17김성길38
(2위)
15151⅓
(8위)
846
(6위)
2.80
(7위)
1503662
(10위)
29김시진2519144⅓11
(6위)
903.491077767
(8위)
49김훈기271011810
(9위)
53
(10위)
2.75
(6위)
1022650
13진동한18954⅓2314.64632310
11홍성연13552⅔3106.66712212
41전용권145462215.0953258
30박동경13439⅓0105.0347298
9양일환10429⅓1208.90362310
12정용생103280307.7138187
37최진영102⅔0003.38511

  • 좌완
 이름경기수선발등판이닝세이브ERA피안타사사구탈삼진
14성준3121159⅔
(6위)
11
(6위)
823.331357759
27권영호29472⅓757
(5위)
3.73614124
28장태수15537⅔1405.9741247
31정윤수8321⅔0317.06271210
39이현택6190006.001296
48권기홍202⅓00015.43500


5.2. 타자[편집]


  • 포수
 이름경기수타수타율안타2루타3루타홈런타점득점도루
22이만수86285.323
(6위)
9213018
(3위)
58
(4위)
476
23박정환59114.2462860423121
32손상득6471.169120004132
34이성근513.3855100330

  • 내야수
 이름경기수타수타율안타2루타3루타홈런타점득점도루
7김용국101333.28595111342408
5김성래96314.350
(2위)
110
(8위)
18
(8위)
21054
(10위)
54
(8위)
7
43이종두93308.292901739425015
16오대석82229.2585970535275
21박승호70198.2885791734212
25김동재61144.2363450215123
1류중일47116.3023532011185
54김선훈1521.0952000031

  • 외야수
 이름경기수타수타율안타2루타3루타홈런타점득점도루
38홍승규68302.2695471317196
4장태수92290.2667774
(3위)
83354
(8위)
25
(3위)
10장효조96283.314
(8위)
89122435415
19구윤90242.27767141433256
2허규옥65192.29256632242910
8김종갑64117.1712050512233
26이홍식6196.229223105110
20김정수4457.22813200580
44정성룡2343.1165000020
18최무영1520.2505201130

  • 투수
 이름경기수타수타율안타2루타3루타홈런타점득점도루
39이현택44.2501000010
27권영호11.0000000000


6. 수상 및 기록[편집]


  • 김성길 : 전구단 상대 승리
  • 성준 : 전구단 상대 승리
  • 김성래 : 골든글러브 2루수 부문, 출루율 1위(.459)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2 17:10:30에 나무위키 삼성 라이온즈/1988년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전기리그 5위, 후기리그 2위, 최종 순위는 3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