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삼국지 책략전/장수/ㅁ

덤프버전 :




1. 개요[편집]


삼국지 책략전에 등장하는 장수들 중 ㅁ으로 시작하는 장수들만 적어놓은 문서.

2. 장수[편집]



2.1. ㅁ[편집]



2.1.1. 마대[편집]


무력 85지력 62정치 54매력 74
의리 76야망 5수명 6상성 71

특기돌격추격반격

군웅 할거 이전까지는 마등의 관례로 나오고, 군웅 할거 이후부터 마등군 소속이며, 삼국 정립부터 유비군 소속으로 등장하는 장수이다. 무력도 높고, 특기도 괜찮은 무장.

2.1.2. 마등[편집]


무력 80지력 52정치 59매력 89
의리 91야망 10수명 4상성 70

특기추격돌격내분무쌍

황건적의 난부터 동관 전투까지 서량에서 쭉 군주로 등장한다. 다만 동관 전투에서는 나오자마자 조조의 계략에 걸려 사망(...) 전체적으로 무력형이며, 매력과 지력도 무력형치고 많이 낮은 편은 아니다.

동관 전투에서는 첫 달에 무조건 마등이 죽는 이벤트가 발생하는데, 이벤트가 발동될 때 강제종료하면 이벤트를 넘길 수 있다. 단 조조, 순유, 허저, 마초, 마대가 살아있으면 이 이벤트는 첫 턴이 아니더라도 휴양하기만 하면 계속해서 발생한다. 계속 강제종료를 하며 이벤트를 스킵하다가 조조, 허저, 순유, 마대, 마초중 하나를 죽이거나 잠시 매복을 보내면, 이 이벤트가 취소되며 마등을 살릴 수 있게 된다.

2.1.3. 마량[편집]


무력 23지력 88정치 90매력 86
의리 81야망 9수명 1상성 77

특기수습치료화시허보

황건적의 난과 반동탁 연합에서는 양양, 군웅 할거에서는 하비, 관도전에서는 신야에서 장수수색으로 찾을 수 있고, 공명의 활약부터 쭉 유비군 소속으로 등장하는 장수. 지력과 정치가 최상위권이다. 또한 매력도 높은 편이다. 참군과 내정 둘 다 굴릴 수 있는 만능형. 어째서인지 특기에 쓸데없이 공격용 특기인 화시가 있다.

2.1.4. 마속[편집]


무력 67지력 87정치 68매력 67
의리 75야망 10수명 7상성 80

특기혼란수습반격도발

황건적의 난부터 반동탁연합까지는 양양, 군웅 할거에서는 하비, 관도전에서는 신야, 공명의 활약에서는 다시 양양에서 장수수색으로 찾을 수 있으며, 동관 전투에서부터 유비군 소속으로 등장하는 장수. 참모 치고는 무력도 높은데다 수습과 혼란, 반격, 도발 등 전투에 유용한 특기들이 많기 때문에 전투에 괜찮은 편.

2.1.5. 마연[편집]


무력 65지력 43정치 36매력 55
의리 32야망 7수명 7상성 96

특기수습

황건적의 난에서는 남피에서 장수수색으로 찾을 수 있고, 반동탁 연합부터 관도전까지는 원소군 소속으로, 공명의 활약 이후부터 조조군 소속으로 등장하는 장수.

2.1.6. 마운록[편집]


무력 88지력 53정치 50매력 80
의리 85야망 5수명 10상성 70

특기돌격추격반격난사

군웅 할거 이전까지는 마등의 관례로 나오고, 관도전 이후부터 마등군 소속이며, 삼국 정립 부터 유비군 소속으로 등장하는 장수이다. 88이라는 높은 무력과 돌격, 반격같은 사기적인 특기를 가져서 전투에서 매우 잘 활용할 수 있다. 수명이 10이나 되기 때문에 타 마씨일족과는 다르게 오랫동안 써먹을 수 있다는 것도 장점.

2.1.7. 마완[편집]


무력 74지력 16정치 23매력 37
의리 18야망 2수명 0상성 68

특기돌격

군웅 할거 이전까지는 서량에서 장수수색으로 찾을 수 있고, 군웅 할거 이후부터 마등군 소속으로 등장하는 장수. 무력은 괜찮고, 특기에도 돌격이 있으니 돌격전차로 쓸 수 있으나... 어지간히 낮은 지력과 의리가 발목을 잡는 장수. 위서의심 크리맞고 배반하기 쉽다. 장수가 어지간히 없는 초반이 아니면 버려지는 장수.

2.1.8. 마준[편집]


무력 51지력 31정치 52매력 48
의리 79야망 9수명 7상성 22

특기화공

오로지 장수수색으로만 찾을 수 있는 장수. 등장하는 모든 시나리오에서 228년에 천수에서 장수수색을 하면 찾을 수 있다. 년도로 치면 부하인 강유나 윤상보다도 늦게 등장하는 편. 정사나 다른 게임들처럼 능력치나 특기나 별 볼일 없는 후반부 잡장이다.(...) 이런 애들은 구현해 뒀으면서 두예나 나헌은 없다니 아쉬울 따름.

2.1.9. 마철[편집]


무력 62지력 58정치 52매력 62
의리 70야망 5수명 0상성 70

특기화공

군웅 할거 이전까지는 마등의 관례로 나오고, 관도전 이후부터 마등군 소속으로 등장하는 장수.

2.1.10. 마초[편집]


무력 97지력 44정치 26매력 82
의리 79야망 7수명 5상성 70

특기무쌍돌격추격반격난사

무력과 매력이 돋보이며, 특기도 준수한 장수. 황건적의 난부터 반동탁 연합까지는 마등의 관례로 나오고, 군웅 할거 이후부터 마등군 소속으로 등장하며, 삼국 정립에서는 유비군 소속으로 등장한다. 높은 무력+돌격 특기라는 환상의 조합 덕에 장비와도 별 차이 없는 돌격전차이다. 수명이 5로 제법 짧기 때문에 222~225년 정도에 죽는다. 그래서 기용할 일도 적다. 실제로 마초가 저맘때 쯤 죽었으니 할 말은 없다...

2.1.11. 마충[편집]


무력 72지력 68정치 78매력 79
의리 46야망 7수명 6상성 130

특기돌격

황건적의 난부터 반동탁 연합에서는 건업에서 장수수색으로, 군웅 할거에서는 노강에서 장수수색으로, 관도전 이후부터 쭉 손권군 소속으로 등장하는 장수. 의리가 유난히 낮고, 몇몇 시나리오에서는 초반 충성도가 낮기 때문에 주의해야 한다. 특이하게도 타 게임들과는 달리 능력치가 균형잡혀 있는데, 촉한의 마충과 동오의 마충을 동명이인으로 구현해놓지 않고 동오의 마충에 능력치는 촉나라의 마충의 능력치를 반영해둔 것으로 보인다.


2.1.12. 마한[편집]


무력 62지력 42정치 37매력 56
의리 63야망 7수명 6상성 52

특기수습

황건적의 난부터 반동탁 연합에서는 성도에서 장수수색으로 찾을 수 있고, 군웅 할거 이후부터 유장군 소속으로 등장하는 장수. 마연과 이름도, 능력치도, 특기도 비슷한 잡장이다.

2.1.13. 마휴[편집]


무력 73지력 48정치 45매력 68
의리 69야망 6수명 0상성 70

특기일제

군웅 할거 이전까지는 마등의 관례로 나오고, 군웅 할거 이후부터 마등군 소속으로 등장하는 장수.

2.1.14. 만총[편집]


무력 64지력 82정치 84매력 80
의리 85야망 8수명 7상성 29

특기혼란수신낙석

황건적의 난부터 반동탁연합에선 복양에서 장수수색으로 찾을 수 있고, 그 뒤부터 쭉 삼국정립까지 조조군 소속이다. 능력치 자체는 참모이나, 무력이 높은 편이며 특기들도 혼란, 수신, 낙석이라는 전투형 특기들이다. 꽤나 애매한 포지션이기 때문에 인재가 부족한 초반 빼면 그리 중요하게 쓸 일이 없다. 특히 후반부가 될수록 인재가 차고 넘치는 조조군에서는 더더욱.

2.1.15. 모개[편집]


무력 39지력 60정치 78매력 61
의리 56야망 7수명 7상성 30

특기내분수신

황건적의 난에서는 진류에서, 반동탁 연합에서는 허창에서 장수수색으로 찾을 수 있고, 이후 군웅 할거부터 삼국 정립까지 쭉 조조군 소속으로 등장하는 장수이다. 정치가 높은 내정형이나, 특기는 어째서인지 수신과 내분이다. 무난한 정치를 바탕으로 후방 내정관리를 맡기도록 하자. 오나라의 감택과 특기가 매우 유사하다. 차이점이 있다면 감택은 군사로 임명할 수 있는 능력치라는 거...

2.1.16. 맹달[편집]


무력 73지력 75정치 66매력 72
의리 37야망 7수명 6상성 40

특기화시일제

황건적의 난에서는 서량에서, 반동탁 연합에서는 성도에서, 군웅 할거와 관도전, 공명의 활약에서는 건녕에서 장수수색으로 찾을 수 있고, 동관 전투에서는 유장군 소속으로, 삼국 정립에서는 조비군 소속으로 등장하는 장수이다. 스탯은 균형잡혀 있어 일단 등용해두면 밥값은 하는 장수이다. 능력치 대규모 개편 전에는 무력 76, 지력 70이였으나 채모와 마찬가지로 조정되면서 애매하게 바뀐 케이스. 2021년 5월 6일 업데이트로 일기토전 스킨을 받았는데, 그리 높은 비중의 장수가 아님에도 불구하고 조운, 마초 등을 제치고 스킨을 받아 원망받고 있다.

2.1.17. 맹우[편집]


무력 68지력 22정치 18매력 37
의리 47야망 9수명 6상성 52

특기도발돌격낙석

223년 이후부터 건녕과 운남 일대에서 장수수색으로 찾을 수 있는 장수. 마왕동탁과 삼국정립에서 맹획군 소속으로 등장한다. 원래는 무력도 81로 장군으로 임명할 수 있는 능력치였으나, 심하게 너프를 받아 지금의 능력치가 되었다.

2.1.18. 맹탄[편집]


무력 69지력 53정치 41매력 28
의리 61야망 6수명 0상성 21

특기돌격

왕구, 왕식, 공수 등과 같이 관우에게 목썰린 장수들중 하나로, 장수수색으로 찾을 수 있다. 황건적의 난~반동탁 연합에는 낙양, 군웅 할거에서는 장안, 관도전에서는 어째서인지 건녕이다. 그 뒤부터는 등장하지 않는다.

2.1.19. 맹획[편집]


무력 87지력 42정치 45매력 80
의리 28야망 9수명 6상성 52

특기돌격고무화공

223년 이후부터 건녕과 운남 일대에서 장수수색으로 찾을 수 있는 장수. 마왕동탁과 삼국정립에서 군주로 등장한다. 게임 내 나이가 삼국정립 때 34살인데, 마왕동탁 당시에 나이가 9살이다.

2.1.20. 무안국[편집]


무력 83지력 34정치 33매력 36
의리 34야망 3수명 4상성 18

특기추격돌격

황건적의 난에서는 북해에서 장수수색으로 찾을 수 있고, 반동탁 연합에서는 공융군 소속으로 등장하며, 그 이후부터는 등장하지 않는 장수이다. 무력이 높고 특기가 우수해 전투에 좋기 때문에 초반 공융군을 담당한다. 의리와 지력이 낮기 때문에 충성도 관리는 필수다.

2.1.21. 문빙[편집]


무력 82지력 69정치 69매력 72
의리 61야망 7수명 6상성 38

특기돌격수신

황건적의 난에서는 완에서 장수수색으로 찾을 수 있고, 반동탁 연합부터 관도전까지는 유표군 소속이며, 공명의 활약부터는 조조군 소속인 장수이다. 좋은 무력을 토대로 한 균형잡힌 스탯의 무관으로 어느 군에 들어가도 밥값은 하는 훌륭한 장수다. 특기는 돌격과 수신으로, 대적할 확률이 매우 높은 손가들이 점령한 땅이 물가가 많은 장사, 노강이라서 수신을 이용해 정벌하러 가기도 좋다. 의리가 생각보다 높은 편이 아니고, 유비, 유장, 조조, 마등 등의 상성 90 이하의 군주들로 플레이할 시 포박하게 된다면 꼭 등용하도록 하자. 등용이 아주 잘 되므로 참수는 비추천이다.

2.1.22. 문앙[편집]


무력 92지력 60정치 32매력 63
의리 76야망 5수명 10상성 39

특기혼란돌격고무일제

영웅의 시대에서만 등장하는 장수. 수춘에서 장수수색으로 찾을 수 있다. 아버지 문흠보다 능력치가 월등히 좋으며, 특기도 더욱 좋다. 영웅의 시대의 수춘 점거 세력인 교모로는 등용하기 힘드나, 인근 세력인 공주, 엄백호 등은 쉽게 등용할 수 있어 등용하게 된다면 게임을 쉽게 만들어준다.

2.1.23. 문추[편집]


무력 93지력 47정치 34매력 38
의리 70야망 10수명 1상성 101

특기돌격화공난사무쌍

황건적의 난에서는 남피에서 장수수색으로 찾을 수 있고, 반동탁 연합부터 군웅 할거에서는 원소군 소속으로 등장하는 장수. 관도전 이후에는 죽어서 등장하지 않는다. 안량과 함께 원소군 무력 투탑이며 특기까지 우수하다. 안량보다 무력이 1 낮고 지력, 정치가 높다. 툭하면 배신때리는 장합, 고람에 비해 충성도가 계속 100이라 원소군에 가장 사용하기 좋은 장수이다.

어째서인지 마왕동탁 시나리오에서는 안량과 함께 동탁군 소속으로 등장한다.

2.1.24. 문흠[편집]


무력 83지력 43정치 34매력 22
의리 62야망 10수명 4상성 39

특기치료수습

오로지 장수수색으로만 찾을 수 있는 장수. 230년 이후부터 등장하며, 황건적의 난에서는 초, 반동탁 연합과 군웅 할거에서는 신야, 관도전에서는 수춘, 공명의 활약과 동관 전투, 삼국 정립에서는 하비에서 찾을 수 있다. 후반기에 없다시피한 무력이 좋은 완전한 무장형 장수로, 후반되면 다 비실비실한 마당에 얘만 혼자 80을 넘는다.

하지만 특기 2개 때문에 전투에 쓰기에는 무리가 있는데, 바로 치료와 수습. 힘법사 도 아니고 무장 주제에 특기가 지원형이다. 하지만 후반에는 무력 좋은 장수들이 없기 때문에 이런 애라도 써야 한다.. 운 좋게 다른 장수가 돌격이나 무쌍 등의 공격형 특기를 가르쳐주기를 기대해줘야 한다.

2.1.25. 미방[편집]


무력 61지력 32정치 23매력 23
의리 8야망 7수명 6상성 81

특기화공화시

황건적의 난과 반동탁 연합에는 하비에서 장수수색으로, 군웅 할거부터 동관 전투까지는 유비군 소속으로, 삼국 정립에서는 손권군 소속으로 등장하는 장수이다. 배신을 거리낌없이 했었다는 정사에서의 묘사 덕분에 능력치는 무력 빼고 처참하다. 특기는 화공과 화시로 그렇게 좋은 편은 아니지만 도겸은 초반에 이런 애를 써서 태사자, 진무같은 장수들을 가진 유요를 뚫어야 한다.

의리가 8이기 때문에 여포급으로 등용이 잘 된다.

2.1.26. 미축[편집]


무력 29지력 78정치 83매력 85
의리 50야망 5수명 6상성 81

특기치료수습

황건적의 난에서는 하비에서 장수수색으로 찾을 수 있고, 반동탁 연합에서는 도겸군 소속으로, 군웅 할거 이후부터 쭉 유비군 소속으로 등장하는 장수. 정사에서의 활을 잘 쓴다는 묘사는 어디갔는지 무력이 낮고 정치가 높은 전형적인 내정형 장수. 때문에 유비군 초반 내정에 톡톡히 쓰이는 편. 특기는 고무와 치료인데, 기본 무력이 조금 낮은 편이기 때문에 전투에는 적합하지 않고, 지원군 정도면 적합하다. 예전에는 무력이 40이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2 14:40:40에 나무위키 삼국지 책략전/장수/ㅁ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