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삼관 헤비급 챔피언십

덤프버전 :






파일:external/puroresusystem.wikia.com/wiki/Triple_Crown_Heavyweight_Championship.jpg
정식 명칭三冠ヘビー級王座
Triple Crown Heavyweight Championship
현재 챔피언나카지마 카츠히코
챔피언 등극2023년 11월 5일
전일본 자이언트 시리즈 홋카이도 편
6일차
이전 챔피언아오야기 유마
소속 단체전일본 프로레슬링
All Japan Pro Wrestling
벨트 창설일1989년 4월 18일
공식 홈페이지

1. 소개
2. 기록
3. 역대 챔피언 목록


1. 소개[편집]


전일본 프로레슬링의 간판 헤비급 챔피언십. 신일본 프로레슬링IWGP 월드 헤비웨이트 챔피언십, 프로레슬링 NOAHGHC 헤비웨이트 챔피언십과 더불어 일본 프로레슬링계의 3대 메이저 헤비급 싱글 챔피언십으로 여겨진다.

"삼관(三冠)"이라는 이름이 붙은 까닭은 해당 챔피언십 벨트가 3종의 챔피언 벨트를 1989년 4월 18일부터 통합시킨 벨트이기 때문이다.

1989년 4월 18일에 NWA 인터내셔널 헤비급 챔피언인 점보 츠루타와 PWF 월드 헤비웨이트 챔피언 및 UN 챔피언 2관왕이었던 스탠 핸슨 간의 경기에서 점보 츠루타가 승리함으로써 이들 세 벨트가 통합되었다. 당시 좋은 선수진 및 흥행 퀄리티와 무관하게 링 위의 화제성이 약하다고 느낀 전일본 프로레슬링 측은 타이틀을 통합하기로 하지만 링 아웃 및 무승부로 경기가 계속 흐지부지 끝나자 팬들의 불만이 커졌기에 결국 역사적인 중요성에 비하면 작은 무대인 오오타 구 체육관에서 초대 삼관 헤비급 챔피언이 탄생하게 되었다.

2013년까지 실제로 삼관 헤비급 챔피언은 이들 세 개 벨트를 모두 들고 다녔으며, 디자인도 세 개 모두 통합 당시의 그 디자인을 계속 유지했다. 하지만 2013년에 자이언트 바바의 부인인 바바 모토코가 벨트 반환을 요청하면서 기존 세 개의 벨트를 상징하는 문양을 따와 일원화시킨 새 벨트를 쓰게 되었다. 세 개의 벨트가 사용된 마지막 시합 스와마 VS 시오자키 고 이 세 개의 오리지널 벨트는 2019년 2월 19일에 '자이언트 바바 서거 20주년 추선흥행 ~왕자의 혼~'의 메인 이벤트 미야하라 켄토 & 세키모토 다이스케 VS 타나하시 히로시 & 요시타츠 때 삼관 헤비급 챔피언인 미야하라 켄토가 새 디자인의 벨트까지 네 개의 벨트를 가지고 등장하며 1회성으로 다시금 모습을 드러낸다. 또 AJPW Champions Night 2021 ~삼관 통일의 땅에서 50주년으로의 비상~ 흥행에서 다시 한번 1회성으로 다시금 모습을 드러낸다


2. 기록[편집]


초대 챔피언점보 츠루타
최다 획득 챔피언스와마
(37대, 43대, 46대, 49대, 54대, 58대, 63대, 67대)
8회
연속 방어 기록카와다 토시아키, 미야하라 켄토
(32대, 62대)
10회
통산 방어 기록미야하라 켄토28회
최장 보유 기간카와다 토시아키
(32대)
529일
최단 보유 기간테리 고디
(4대)
3일
통산 보유 기간미사와 미츠하루1,799일
데뷔 후 최단기간 첫 획득하마 료타
(41대)
1년 4개월
데뷔 후 최장기간 첫 획득후나키 마사카츠
(45대)
27년 5개월
최연소 챔피언미야하라 켄토
(55대)
26년 11개월
최고령 챔피언나가타 유지
(69대)
54년 10개월


3. 역대 챔피언 목록[편집]


#이름챔피언 횟수등극한 날
(챔피언 방어 기간)
장소방어전 승리 횟수비고
1점보 츠루타1회1989년 4월 18일 (48일)도쿄1회[1]
2텐류 겐이치로1회1989년 6월 5일 (128일)도쿄2회
3점보 츠루타2회1989년 10월 11일 (237일)요코하마2회
4테리 고디1회1990년 6월 5일 (3일)치바0회
5스탠 핸슨1회1990년 6월 8일 (39일)도쿄0회
6테리 고디2회1990년 7월 17일 (10일)카나자와0회
-공석-1990년 7월 27일--[2]
7스탠 핸슨2회1990년 7월 27일 (176일)마츠도1회
8점보 츠루타3회1991년 1월 19일 (374일)마츠모토3회
9스탠 핸슨3회1992년 1월 28일 (207일)치바3회
10미사와 미츠하루1회1992년 8월 22일 (705일)도쿄7회
11스티브 윌리엄스1회1994년 7월 28일 (86일)도쿄1회
12카와다 토시아키1회1994년 10월 22일 (133일)도쿄1회
13스탠 핸슨4회1995년 3월 4일 (83일)도쿄0회
14미사와 미츠하루2회1995년 5월 26일 (364일)삿포로4회
15타우에 아키라1회1996년 5월 24일 (61일)삿포로1회
16코바시 켄타1회1996년 7월 24일 (180일)도쿄2회
17미사와 미츠하루3회1997년 1월 20일 (466일)오사카8회
18카와다 토시아키2회1998년 5월 1일 (42일)도쿄0회
19코바시 켄타2회1998년 6월 12일 (141일)도쿄2회
20미사와 미츠하루4회1998년 10월 31일 (83일)도쿄0회
21카와다 토시아키3회1999년 1월 22일 (7일)오사카0회
-공석-1999년 1월 29일--[3]
22베이더1회1999년 3월 6일 (57일)도쿄0회
23미사와 미츠하루5회1999년 5월 2일 (181일)요코하마2회
24베이더2회1999년 10월 30일 (120일)도쿄1회
25코바시 켄타3회2000년 2월 27일 (110일)오사카1회
-공석-2000년 6월 16일--[4]
26텐류 겐이치로2회2000년 10월 28일 (223일)도쿄1회
27무토 케이지1회2001년 6월 8일 (261일)도쿄4회
28카와다 토시아키4회2002년 2월 24일 (32일)도쿄0회
-공석-2002년 3월 28일--[5]
29텐류 겐이치로3회2002년 4월 13일 (197일)도쿄1회
30그레이트 무타2회2002년 10월 27일 (119일)도쿄1회
31하시모토 신야1회2003년 2월 23일 (171일)도쿄2회
-공석-2003년 8월 13일--[6]
32카와다 토시아키5회2003년 9월 6일 (529일)도쿄10회
33코지마 사토시1회2005년 2월 16일 (502일)도쿄8회
34타이요 케아1회2006년 7월 3일 (62일)도쿄1회
35스즈키 미노루1회2006년 9월 3일 (357일)삿포로5회
36사사키 켄스케1회2007년 8월 26일 (247일)도쿄2회
37스와마1회2008년 4월 29일 (152일)나고야2회
38그레이트 무타3회2008년 9월 28일 (167일)요코하마1회
39타카야마 요시히로1회2009년 3월 14일 (196일)도쿄2회[7]
40코지마 사토시2회2009년 9월 26일 (176일)요코하마1회
41하마 료타1회2010년 3월 21일 (42일)도쿄0회
42스즈키 미노루2회2010년 5월 2일 (119일)나고야1회
43스와마2회2010년 8월 29일 (420일)도쿄5회
44아키야마 쥰1회2011년 10월 23일 (308일)도쿄4회
45후나키 마사카츠1회2012년 8월 26일 (203일)도쿄4회
46스와마3회2013년 3월 17일 (224일)도쿄2회
47아케보노1회2013년 10월 27일 (215일)도쿄4회
-공석-2014년 5월 30일--[8]
48오오모리 타카오1회2014년 6월 15일 (14일)도쿄0회
49스와마4회2014년 6월 29일 (28일)삿포로0회
50조 도링1회2014년 7월 27일 (160일)도쿄3회
51시오자키 고1회2015년 1월 3일 (138일)도쿄2회
52아케보노2회2015년 5월 21일 (164일)도쿄2회
53아키야마 쥰2회2015년 5월 21일 (62일)히로사키0회
54스와마5회2016년 1월 2일 (10일)도쿄0회
-공석-2016년 1월 12일--[9]
55미야하라 켄토1회2016년 2월 12일 (464일)도쿄8회
56이시카와 슈지1회2017년 5월 21일 (98일)도쿄2회
57미야하라 켄토2회2017년 8월 27일 (43일)도쿄0회
58스와마6회2017년 10월 9일 (12일)도쿄0회
59조 도링2회2017년 10월 21일 (155일)요코하마3회
60미야하라 켄토3회2018년 3월 25일 (126일)사이타마2회
61제우스1회2018년 7월 29일 (84일)오사카1회
62미야하라 켄토4회2018년 10월 21일 (519일)요코하마10회
63스와마7회2020년 3월 23일 (454일)도쿄7회
-공석-2021년 6월 20일--[10]
64제이크 리1회2021년 6월 26일 (185일)도쿄3회[11]
-공석-2021년 12월 28일--[12]
65미야하라 켄토5회2022년 1월 23일 (147일)도쿄4회[13]
66제이크 리2회2022년 6월 19일 (25일)도쿄0회
67스와마8회2022년 7월 14일 (66일)도쿄0회
68미야하라 켄토6회2022년 9월 18일 (154일)도쿄4회
69나가타 유지1회2023년 2월 19일 (133일)도쿄3회[14]
70아오야기 유마1회2023년 7월 2일 (126일)도쿄5회
71나카지마 카츠히코1회2023년 11월 5일 (217일)홋카이도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2 15:21:31에 나무위키 삼관 헤비급 챔피언십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NWA 인터내셔널 헤비급 챔피언인 점보 츠루타와 PWF 월드 헤비웨이트 챔피언 및 UN 챔피언 2관왕이었던 스탠 핸슨 간의 경기에서 점보 츠루타가 승리함으로써 이들 세 벨트가 통합되었다.[2] 타이틀전 당일 병원에 입원하는 바람에 타이틀이 공석화 되었다.[3] 후두부 리권(한 바퀴 회전해서 손등으로 상대의 후두부를 갈기는 기술)을 잘못 시전해서 팔이 부러지는 부상으로 반납.[4] 전일본 선수 이탈사건으로 인해 전일본을 탈단하면서 공석화.[5] 카와다가 무릎 부상을 당해 타이틀을 반납하였다.[6] 하시모토가 오른쪽 어깨가 탈구되는 부상을 입어 타이틀은 공석이 되었다.[7] 사상최초 일본 슈퍼 그랜드 슬램 달성 및 2번째 일본 프로레슬링 그랜드 슬램 달성.[8] 아케보노가 건강 문제로 인해 타이틀을 반납하였다.[9] 스와마가 아킬레스건 파열 부상을 당해 공석화 되었다.[10] 스와마가 코로나 19 양성판정으로 타이틀 반납.[11] 미야하라 켄토, 아오야기 유마와의 챔피언 결정 3파전에서 승리.[12] 제이크 리가 코뼈 & 왼쪽 안와 골절로 인해 결장, 타이틀 반납.[13] 챔피언 결정 토너먼트에서 1차전에서 스와마, 결승전에서 혼다 류키를 꺾고 챔피언 등극.[14] 일본 프로레슬링 역사상 최초의 싱글 완전 제패, 역대 5번째 메이저 3단체 그랜드 슬래머(타카야마 요시히로, 사사키 켄스케, 무토 케이지, 코지마 사토시), 일프 최초 메이저 3단체 싱글 리그전 제패 (G1 클라이맥스-2001년, 챔피언 카니발-2011년, 글로벌 리그-2013년), 역대 최고령 삼관 헤비웨이트 챔피언 달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