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 버스 1000

덤프버전 : (♥ 0)



이 문서는 나무위키의 이 토론에서 해결방안 항목 삭제(으)로 합의되었습니다.
타 위키에서의 합의내용이 더위키에서 강제되지는 않지만 문서를 편집하실때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파일:부산광역시 휘장_White.svg
부산광역시
||
급행
좌석
일반
마을
심야
기장
10001001100210031004[A]
1005[B][C]1006[A][C]1008[A]1009[B]1009-1[A]
1011[A][C]1012[B]2000[C][D]
[A/B] 환승 대기시간 60분/90분 적용
[C] 입석금지
[D] 준공영제 제외 및 환승할인 불가



파일:부산광역시 휘장_White.svg
부산광역시
||
급행
좌석
일반
마을
심야
기장
[ 펼치기 · 접기 ]

153051
58-1[a]
58-2106
141[a]
182
183[a]
508
1000[a]
1001
1002[a]
1003[a]
1004[a]
1008
[a] 주간노선과 심야노선의 경로에 차이가 있는 노선



파일:천번.jpg
파일:부산 버스 1000H.png
1. 노선 정보
2. 개요
3. 역사
4. 특징
4.1. 심야버스
4.3. 연간 일평균 승차량
4.4. 노선
5. 연계 철도역
6. 둘러보기


1. 노선 정보[편집]


굵게 밑줄 처리 된 구간은 주간 운영과 심야 운영 시에 노선 상에서 차이가 나는 구간이다.

파일:부산광역시 휘장_White.svg 부산광역시 급행버스 1000번
[ 지도 노선도 보기 ]
기점부산광역시 사하구 다대동(다대포)종점부산광역시 부산진구 부전동(서면역.롯데호텔백화점)
종점
첫차05:00기점
첫차05:55
막차22:15막차23:15
평일배차출퇴근 10분 / 평시 14분주말배차토요일 14분 / 공휴일 15분
운수사명동원여객인가대수13대(전용예비 1대)[공휴일]
노선다대포 - 다대포해수욕장 - 다대포항역 - 낫개역 - 신장림역 - 장림시장 - 롯데마트장림점[단독] - 신평시장 - 동매역 - 신평배고개 - 신평입구 - 괴정시장 - 대티터널 - 동대시장 - 부산터널 - 부산역 - 부산진역 - (← 범일역 ←/→ 부산진시장.남문시장 →) - 중앙시장 → 지오플레이스 → 네오스포서면역.롯데호텔백화점 → 범내골역 → 중앙시장 → 이하 역순

파일:부산광역시 휘장_White.svg 부산광역시 심야버스 1000번
[ 지도 노선도 보기 ]
파일:부산1000번_심야노선도.png
기점부산광역시 사하구 다대동(다대포)종점부산광역시 부산진구 부전동(서면역.롯데호텔백화점)
종점
첫차22:45기점
첫차00:05
막차00:00막차01:20
배차간격40분 (1일 3회)
운수사명동원여객인가대수3대
노선다대포 - (→ 다대포해수욕장역 →/← 몰운대아파트 ← 대우아파트 ←) - 다대포항역 - 낫개역 - 장림시장 - 롯데마트장림점[단독] - (← 사하경찰서 ←) - 신평시장 - (← 동매역 ←) - 무지개아파트 - 신평역 - 가락타운2·3단지 - 하단역[주의] - 사하구청.당리역 - 괴정시장 - 대티터널 - 구덕운동장 - 보수초등학교 - 서구청 - 남포동 - 중앙역·부산우체국 - 부산역 - 초량역·초량교차로 - 부산진역 - (← 범일역 ←/→ 부산진시장.남문시장 →) - 지오플레이스 → 네오스포서면역.롯데호텔백화점 → 서면역.서면지하상가 → 범내골역 → 이하 역순


2. 개요[편집]


부산광역시의 시내(급행/심야)버스 노선. 왕복 운행거리는 44.2km(주간), 55.8km(심야)다. 전체 정류장 목록은 링크를 참조.


3. 역사[편집]








파일:1000번 임시 우회.jpg




4. 특징[편집]









4.1. 심야버스[편집]


















4.2. 1호선 다대 연장선 개통 이후[편집]



4.3. 연간 일평균 승차량[편집]


주간 노선
연도일평균 승차량전년대비 변동폭
2014년4594.86
2015년4686.29△ 91.43
2016년4546.71▽ 139.58
2017년3116.29▽ 1430.42
2018년2635.28▽ 481.01
2019년2412.85▽ 222.43
2022년1542.71

심야 노선
연도일평균 승차량전년대비 변동폭
2014년714.29
2015년680.71▽ 33.58
2016년739.00△ 58.29
2017년609.57▽ 129.43
2018년429.85▽ 179.72
2019년416.57▽ 13.28
2022년302.86


4.4. 노선[편집]


파일:부산광역시 휘장_White.svg 부산광역시 급행버스 1000번
[ 경유 도로 목록 펼치기 · 접기 ]

가야대로
서면역.서면지하상가 ▼▲ 롯데호텔백화점(서면역)
중앙대로신천대로
▲ 부산진초등학교
동천로
▲ 지오플레이스
황령대로
중앙시장 ▼
범일로
▲ 부산진시장
자성로
부산진역 ▼
중앙대로
영주동 ▼▲ 부산역
대영로
괴정초등학교 ▼▲ 동대시장
낙동대로
신평입구 ▼▲ 괴정자유아파트
장평로
동매역 ▼▲ 동매역
신산로
▲ 신평시장
다대로
자동차검사장.롯데마트 ▼
을숙도대로장평로
▲ 롯데마트
하신중앙로하신중앙로54번길
▲ 제일전기
장림로장림번영로
장림시장 ▼
장림번영로
장림역 ▼▲ 장림초등학교
다대로


파일:부산광역시 휘장_White.svg 부산광역시 심야버스 1000번
[ 경유 도로 목록 펼치기 · 접기 ]

가야대로
서면역.서면지하상가 ▼▲ 롯데호텔백화점(서면역)
중앙대로신천대로
▲ 부산진초등학교
동천로
▲ 지오플레이스
황령대로
중앙시장 ▼▲ 범내골역.상공회의소
범일로
▲ 부산진시장
자성로
봉생병원 ▼
중앙대로
남포동 ▼▲ CJ대한통운
구덕로
서구청(충무동) ▼▲ 자갈치입구(자갈치역)
보수대로
부평시장 ▼▲ 서구청
흑교로
서부교회 ▼▲ 보수초등학교
구덕로
구덕운동장 ▼▲ 동대신역
망양로
서대신교차로(서대신역) ▼▲ 서대신역.서대신교차로
낙동대로
하단역 ▼▲ 낙동초등학교
하신중앙로
동성화학 ▼▲ 동성화학
신산북로
▲ 삼진냉장
장평로신산로
동매역 ▼
신산로
사하경찰서 ▼▲ 신평시장
다대로
자동차검사장.롯데마트 ▼▲ 사하경찰서
을숙도대로장림로
장평로
을숙도대로
장림포구입구 ▼▲ 제일전기
하신중앙로
장림1동행정복지센터 ▼▲ 장림포구입구
장림로
장림시장 ▼▲ 장림1동행정복지센터
장림번영로
장림역 ▼▲ 장림초등학교
다대로
몰운대아파트 ▼다대로
다대낙조1길
다대포 ▼
다대로



5. 연계 철도역[편집]


굵은 글씨는 심야노선만 연계되는 역이다.

6. 둘러보기[편집]






파일:한국해양대.png 한국해양대학교 경유 버스
[ 펼치기 · 접기 ]

아치캠퍼스
급행1006
일반8306688
101186190[A]
다운타운 캠퍼스
시외부산역-진주 심야[B]
급행10001001[B]1003[B]1004
일반2[B]172627
40414359
61666781
82858788
88-1[B]101103134
167190[B]508[B]
미음캠퍼스
급행1005
마을강서구12[C]
[A] 교내 진입
[B] 부산역 정차.
[C] 경마 시즌에만 운행.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1 04:57:33에 나무위키 부산 버스 1000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공휴일] 12대 운행[단독] A B 이 노선의 단독구간이다. 정확히는 롯데마트 정문에 있는 정류장이 단독으로 경유하고 있으며 측면 정류장에서는 시내버스 3번이랑 마을버스 사하9번이 정차하고 있다.[주의] 하단역 환승센터가 아닌 10, 12번 출구쪽 정류소에 정차한다.[1] 하신중앙로[2] 이때 동진여객 좌석차량들은 동원여객, 영신여객, 해동여객으로 분할 매각되었다. 이 1년정도 되는 기간이 동진여객 역사에서 유일하게 좌석버스를 운행했던 기간이다. 그러나 약 19년만에 2000번을 운행하게 되어 좌석버스를 다시 운영하게 되었다. 동진여객은 부산 5 자 번호판을 사용했던 시절에만 좌석버스를 운영해서 좌석버스 면허가 따로 없었지만, 2000번 급행버스를 운영하면서 58XX 면허를 새로 발급받았다.[3] 당시 1000번대 번호를 부여받은 좌석 출신 급행버스들은 옛 번호 순으로 배정받았다. 1000번(98번), 1001번(240번), 1002번(247번), 1003번(302번), 1004번(신설), 이 중 1004번은 명목상으로는 신설노선이지만 구 309번 좌석버스도 부분적으로 계승했는데, 이걸 감안해도 순서상 마지막 번호를 받게 되었다.[4] 감차분은 96-1번에 투입되었다.[5] 심야 1000번 출발시간은 다대포 - 22:45, 23:20, 24:00, 서면 롯데백화점 - 00:05, 00:45, 01:20이다.[6] 다른 노선은 1012번. 과거에는 1006번도 왕복 50km 미만이었지만 해운대 신시가지로 입성하면서 59km로 늘어났다. 그 당시 운행시간 측면에서는 1006번이 가장 짧았다.[7] 다대선 개통 이전까지는 출/퇴근시에는 가축수송을 할 때가 빈번했다.[8] 이 구간을 경유하는 노선은 106번1009-1번이 있다.[9] 굳이 상공회의소와 지오플레이스로 우회하는 이유는 서면 방면 광무교에서 신천대로 방면으로 좌회전신호가 없어 좌회전이 불가능하기 때문이다.[10] 부산 버스 1010부산 버스 1009-1의 경우 서면 이북 지역으로 간다.[11] 자세한 정보를 보고 싶으면 일단 이 사이트에 들어간 뒤 설정찍고 보면 된다. 요일별 승객수를 더한 후 7을 나누면 1일 평균 총 승객수가 나오며 요일별 승객수를 더한 후 1주일 간의 운행대수(1000번 90대, 1011번 84대)를 나누면 1일 대당 승객수가 나온다(평일과 주말의 인가대수가 다른 노선이 많으니, 반드시 주말 인가대수까지 확인해야 한다.).[12] 입석금지로 인해 태울 수 있는 승객의 한계가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해안순환도로 구간을 이용하는 수요 자체는 늘었는데, 늘어난 수요 모두 1006번으로 갔기 때문이다.[13] 때문에 다대포에서 20분 이내면 괴정으로 이어주는 주간노선에 비하면 심야노선은 다대포에서 괴정까지 가는 데만 무려 40분 넘게 걸린다(..)[14] 다른 급행 버스들에 비해 운행거리가 비교적 짧아서 운행횟수를 늘리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 허나 운행횟수가 오히려 줄어들었다.[B] 한시적 거리두기 강화에 따라 승객 수요가 극과 극을 이뤘다. 현재는 거리두기 완전 해제로 코로나 이전 시절로 돌아갔다.[15] 부산진시장, 부산역, 남포동, 서구청, 부평시장 등..[16] 이게 어느정도냐면 앞문까지 승객이 꽉꽉 들어차서 운전에 지장을 초래할 정도다. 운전석에서 우측 백미러가 안보이니 승객보고 옆으로 비켜달라고 요청할 정도다.[17] 앞문이 혼잡해서 승차가 불가능하여 승무원이 뒷문을 열어주면 뒷문으로 승차하는 경우가 부지기수다. 또한 승무원이 직접 육성으로 안내하거나 "승객여러분, 앞문이 혼잡하오니 안으로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라는 안내방송을 계속 내보낸다.그래도 안쪽으로 안들어가서 별수없이 뒷문으로 승차시킨다 심지어는 승무원이 직접 육성으로 안내하며 직접 뒷문쪽으로 가서 적극적으로 지시한다.[18] 서구 동대신동·서대신동 구간의 경우 내리는 사람이 몇 있어서 그나마 사정이 낫다.[19] 부산역 정류장부터 조금씩 하차하는 승객들이 생기며, 서구청 정류장만 지나면 하차하는 승객들이 생겨서 혼잡이 어느정도 완화된다.[20] 1004번도 있지만 서구청까지밖에 가지 않는다. 애초에 사하구와 서구 대신동 거주민들은 1004번을 그냥 보내버리고 죄다 1000번으로 간다. 특히 2023년 7월 29일 이후 1004번의 심야노선 운행횟수가 1회로 줄어들어 00:20 전후로 서면에서 차가 끊겨버리기 때문에 이제는 이 노선을 이용해야만 한다.[21] 아니면 보다 많은 승객을 태울 수 있게 입석으로 형간전환시켜달라는 요구까지 나올 정도다. 어차피 모든 정류장에 정차하는 완행 노선인데다 승객들이 많이 타니 안전을 위해 빠르게 갈 수 없어서 입석으로 운행해도 별 문제는 없을 것이다. 이 경우 1000번을 아예 폐선시키거나 아예 다른 곳으로 돌린다고 가정할 경우 2번 심야가 1000번 심야 선형 및 역할을 100% 물려받는 식으로 생각해볼 수 있다.[22] 이 경우 막전차는 승객들로 하여금 발 디딜 틈 조차 없는 반면 막차는 자리가 많이 나는 한산한 아이러니한 상황이 도래한다. 이럴 땐 승무원이 조금만 기다리면 앉아갈 수 있는 뒷차 오니까 뒷차 타라고 승객들에게 알려준다. 하지만 심야 운행횟수 감축으로 이젠 옛말이 되었다.[23] 다만 흑교로 연선에 위치한 동아대부민캠퍼스 정류장에는 정차하지 않는다.[A] A B C 배차간격 널뛰기가 심하다.[24] 때문에 편하게 앉아가려고 롯데호텔.백화점 정류장에서 기다리던 승객들이 본의아니게 글로벌빌리지 정류장까지 걸어올라가서 승차하는 현상까지 벌어졌다. 서면한전 BRT 정류장에서는 이전 정류장에서 좌석을 다 채워와서 웬만하면 서서 가야 하기 때문에 부산진초등학교 정류장까지 200m 정도를 걸어가서 승차하기도 한다.[25] 서면에서 이 노선을 탑승하는 수요가 서구나 사하구까지 가는 장거리 수요가 절대다수를 차지하기에 승객물갈이가 일어나지 않아 중간 정류장에서는 탑승하는 것이 거의 불가능하다. 부산역과 남포동, 서구청에서는 버스를 못 타니 본의아니게 택시를 잡아타고 가는 승객들도 몇 보인다.[26] 부산역~서면 구간에서 다대포행 차를 눈앞에서 놓쳐버렀다면 차라리 반대편으로 건너가서 서면행 차를 타고 한바퀴 빙 돌아오는 편이 낫다. 시간은 오래 걸리겠지만 30분 이내 환승은 보장된다.[27] 부산 본전차량으로 꽤나 유명했으나, 사진 속의 차량을 포함하여 3대 모두 뉴슈퍼에어로시티 개선형으로 교체되면서 이 또한 전설이 되었다.[28] 그나마 초승 수요가 많아서 이 정도로 나온 것이다. 1011번은 1000번보다 이용객이 더 많은데도 환승수요가 대부분 (사실 거의 전부다)이라 운송수입금이 낮다. 게다가 1011번의 경우 급행끼리 환승하는 수요도 다른 노선에 비해 많아서 운송수입금이 더 적을 수밖에.[29] 주간노선과는 극과 극을 이룰 정도로 수요에서 엄청난 차이를 보인다.[30] 103번도 있으나 부산터널이 아닌 남포동을 경유해서 가며 중간에 초량동 굴곡구간이 존재한다.[31] 2017년 11월 4일부터 배고개를 경유하고 있다.[32] 단 초량안동네 굴곡 구간으로 인하여 이동 소요시간이 오래 걸린다. 물론 사하구에서 서면까지 가기 위해 103번을 이용하는 경우는 거의 없다시피다.[33] 결정적으로 이 둘은 사하구로 가지 않는다. 그리고 167번은 하행노선 한정으로 부경고, 서부경찰서, 동대시장 순으로 돌아간 후에 부산터널로 진입한다.[34] 광무교~충무동교차로 구간 중앙버스차로 공사가 완료되어 심야시간대 한정 도시철도보다 더욱 빠르게 이어주고 있다. 다만 BRT가 개통되면서 전 구간 정차로 바뀌어서 운행시간과 이동시간이 오히려 늘어나버렸다. 때문에 부산역↔서면 구간은 사실상 모든 정류소에 정차하는 완행노선이나 다름없다.[35] 서면 이남으로 내려가는 유일한 노선이지만 비싼 급행버스라 요금이 아까워 이용을 기피하는 승객들이 몇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