볼보자동차코리아

덤프버전 : (♥ 0)

볼보자동차코리아
Volvo Car Korea
기업명정식: 볼보자동차코리아 주식회사
영어: Volvo Car Korea
설립일1997년 12월 12일
국가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소재지서울특별시 강남구 학동로 343 (논현동, 더 피나클 강남 5층)
대표자이윤모
업종자동차 수입업
종업원52명(2023년)
매출액1조 10억 5,833만원(2023년)
영업이익52억 9,031만원(2023년)
당기순이익61억 6,652만원(2023년)
1. 개요
2. 역사
3. 둘러보기



1. 개요[편집]


중국 저장지리홀딩그룹 산하의 스웨덴 자동차 브랜드인 볼보의 대한민국 법인이다.


2. 역사[편집]


1988년 볼보 740과 760이 정식 수입되기 시작하면서 1994년까지는 한진그룹 산하 한일개발, 그 이후부터는 한진건설(現 한진중공업 건설부문) 볼보사업부에서 수입해 왔다. 1998년 볼보에서 100% 투자하여 설립한 볼보자동차코리아에서 수입하여 판매 중으로, 전국 29개 전시장과 30개 서비스센터를 보유하고 있다.

1990년대 대한민국에서 꽤 좋은 이미지로 각인되어 있었으며, 거기에 각지고 투박했던 940, 960, 850 같은 옛 모델들은 권위주의적인 느낌으로 대한민국에서 꽤 회자되었으며, 볼보 900 시리즈 중 4기통인 940GL은 1990년대 중반 두번째로 잘 팔리던 수입차였다.

하지만 2000년대 후반 이후부터 가격을 내린 메르세데스-벤츠, BMW 등 다른 프리미엄 브랜드에게 밀리면서 국내에서 볼보의 위상이나 인지도가 언제부턴가 점점 낮아지기 시작했으며, 인지도가 더 높은편인 경쟁 프리미엄 브랜드들과 가격대를 비교하면 비슷한 편에 신형 모델이 나오기 전까지는 중고차로 되팔때 감가도 큰 편이었고 디자인도 각지고 올드한 편이었던지라 판매량은 많지 않았다.

2016년 이후 세련되고 환골탈태한 디자인인 XC90, S90 등의 신차를 내놓았다. 이미 벤츠 아우디 BMW 등이 길에 널렸을 정도로 외제차가 흔해진 시기에 접어들었는데, 그래서 독일 3사 외에 다른 프리미엄 브랜드로 눈을 돌려 차별화를 꾀하는 소비자들도 많아지다 보니 볼보의 전체 판매량이 무려 22.8%나 증가하였다. 꾸준한 인기로 인해 물량부족으로 1년을 기다리는 소비자들이 많다. 2019년 5월 기준, V60 크로스 컨트리는 대기 1년, XC40은 대기 2년을 얘기하는 판이다. 판매량에 비해 물량이 적게 들여오나 보니 볼보코리아측에서도 본사에 차량 배정을 늘려줄 것을 지속적으로 요구하고 있다고 하며, 2019년에는 브랜드 총 판매량이 1만대를 넘어서면서 1만대 클럽에 들어갔다. 한국에 진출한 수입차 브랜드중 판매량 6위에 올랐으며, 2020년에는 5위에 올랐고 2023년에는 4위까지 치고 올라왔으며, 3위인 아우디와의 판매 격차가 1,000대 이하로 아우디의 순위를 위협할 정도로 급성장했다.

한국에서는 스웨덴에서 생산되는 자동차만 팔 예정이라고 보도했으나 2018년에 S90을 브랜드만 스웨덴인 중국 다칭 공장에서 생산한 차를 들여오기 시작하면서 고급차라고 비싸게 파는 차를 중국에서 들여온다는 불만도 제기되었다. 중국에서 차를 들여오면서 생산 시간과 수입 기간 단축으로 인해 물량 부족 및 긴 대기 기간 문제는 어느 정도 해소되긴 했다. 나머지는 스웨덴, 벨기에, 미국 등에서 들여오고 있다.

또 다른 특징으로 수입차인데도 렉서스처럼 프로모션 할인이 아예 없는 몇 안되는 수입차 브랜드이다.

볼보자동차코리아 본사는 용산구 한남동 볼보 사옥에 있으며, 계열 분리된 볼보트럭코리아와 같은 건물을 쓰다가 2017년 강남구청역 앞의 더 피나클 강남[1]로 이전했다.

볼보코리아가 2016년 12월 송풍 배관이 없는 차량을 판매했다가 소비자가 교환을 요청하자 거부하였다가 소문내지 않겠다는 각서를 받고 수리해 줬다.#

국내 정식수입된 볼보 뒷유리창에 큼지막하게 붙어있던 시티 세이프티 스티커는 차량 제작시 부착되는게 아니라 볼보 코리아에서 자체제작하여 PDI시 일괄 부착하는 물건으로, 오너의 차량을 광고판으로 사용한다는 불만이 지속적으로 제기되어 현재는 부착하지 않는다. 그러나 일부 차종에 부착된 후면 레터링을 PDI시 제거[2]하는 만행은 현재진행중. 대표적인 피해차종은 V60 크로스 컨트리라는 멀쩡한 이름을 뉴 크로스 컨트리라고 개명당한 V60 CC. 더 문제는, 이렇게 떼어낸 레터링을 자사 정식 서비스센터에서 당당하게 돈 받고 판다.창조경제

대한민국 번호판 가드에 MADE BY SWEDEN를 표기해 출고했으나, 중국, 벨기에, 미국 등지에서 수입하는 차종들도 있다 보니 원산지 오인을 이유로 최근 파주세관이 볼보코리아에게 지적 및 시정명령을 내렸고# 이에 2022년 말부터 SAFETY FOR LIFE로 수정해 출고하고 있다.


3. 둘러보기[편집]





||


[1] 옛 이름은 파로스타워, 포바강남타워. 옛 영동백화점/나산백화점 자리다.[2] 후면 좌측에 차종(예 : V60), 우측에 트림(예 : T5) 레터링이 부착되나, PDI시 이걸 제거하고 출고한다. 과거엔 좌우측을 다 뗐으나 현재는 차종만 제거하고 트림명 레터링은 부착되어 출고되는 듯 하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볼보 문서의 r1295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볼보 문서의 r1295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4-05-25 17:58:22에 나무위키 볼보자동차코리아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