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덤프버전 : (♥ 0)

베/펼 포, 보시 보
부수
나머지 획수
, 2획
총 획수
5획
중학교
-
일본어 음독
フ,
일본어 훈독
ぬの, し-く
-
표준 중국어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1. 개요
2. 상세
3. 용례
4. 유의자
5. 상대자
6. 모양이 비슷한 한자



1. 개요[편집]


베/펼 포, 보시 보(布). '베', '펴다', '벌여놓다' 등의 뜻을 나타내는 한자이다.


2. 상세[편집]


한자문화권의 언어별 발음
한국어베, 펴다보시
중국어표준어
광동어bou3
객가어pu
민동어buó
민남어pò͘
오어pu (T2)
일본어음독フ,
훈독ぬの, し-く
베트남어bố

유니코드에는 U+5E03에 배당되어 있고, 창힐수입법으로는 KLB(大中月)로 입력한다.

뜻을 나타내는 (수건 건)과 소리를 나타내는 (아비 부)가 합쳐진 형성자이다. 원래 소전에서는 父+巾의 자형이었으나 예서에서 일부 대전의 자형을 이어받아 지금과 같은 又+巾의 자형으로 정착했다.

이 글자는 '베', '천'이라는 뜻의 명사와 '펴다', '벌여놓다', '베풀다'라는 뜻의 동사로 쓰이는데, 두 의미의 관계에 대해서는 어원을 공유한다는 설과 달리한다는 설이 있다. 한편 후자의 의미로 쓰일 때 중화권 번체자(정체자)에서는 앞에 (사람 인) 변을 붙인 佈[1]를 사용한다.


3. 용례[편집]



3.1. 단어[편집]



3.1.1. 포[편집]




3.1.2. 보[편집]


  • 보시(布)


3.2. 고사성어/숙어[편집]


  • 만장폭포(布)
  • 포의지교(布): '벼슬이 없는 선비와 서민의 교제'라는 뜻이며, 신분, 지위에 관여하지 않는 교제를 비유해 이르는 말.


3.3. 인명[편집]




3.4. 지명[편집]




3.5. 창작물[편집]




4. 유의자[편집]




5. 상대자[편집]




6. 모양이 비슷한 한자[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07 14:01:48에 나무위키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U+4F48, 창힐수입법 OKLB(人大中月)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