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엑소(교통)

덤프버전 :


파일:Montréal_logo_1.png 몬트리올의 대중교통
[ 펼치기 · 접기 ]

도시철도파일:external/artpublicmontreal.ca/logoSTM.png 몬트리올 지하철 초록선 오렌지선 노랑선 파랑선 핑크선
파일:REM_logo.png REM
광역철도파일:exo-noir-300x300.png엑소 EXO-1 EXO-2 EXO-3 EXO-4 EXO-5 EXO-6
버스 노선파일:external/artpublicmontreal.ca/logoSTM.png 몬트리올 시내버스엑소 광역버스
버스터미널몬트리올 버스 터미널상트르빌 터미널
공공자전거빅시(BIXI) ・ 점프(Jump)
페리나바크(NAVARK)
공항몬트리올 (YUL) ・ 미라벨 (YMX)
관련 기업STMEXO ・ RTL ・ STL ・ 비아 레일



파일:exo-noir-300x300.png파일:montral_train.png

캐나다 유일의 광역전철인 두-몽타뉴선(Ligne Deux-Montagnes)[1]

파일:reseautrain.jpg
2022년 기준 노선도

몬트리올 광역 철도 및 광역버스, 외곽 소도시 시내버스
Réseau de transport métropolitain
파일:exo-noir-300x300.png
리포팅 마크EXO
소유파일:퀘벡 주기.svg 퀘벡 주
개업 년도1859년
1997년 AMT 출범
영업 지역캐나다 퀘벡몬트리올 광역권
선로 궤간1,435mm
영업 거리226㎞
노선 수5
역 수51
https://exo.quebec/en

1. 개요
2. 상세
3. 철도 노선
3.1. 운영 중인 노선
3.1.1. 보드뢰유-허드슨 선 (EXO 1호선)
3.1.2. 생-제롬 선 (EXO 2호선)
3.1.3. 몽-생-틸레르 선 (EXO 3호선)
3.1.4. 캉디악 선 (EXO 4호선)
3.1.5. 마스쿠시 선 (EXO 5호선)
3.2. 폐지된 노선
3.2.1. 두-몽타뉴 선 (EXO 6호선)
3.3. 주요 터미널 역
3.4. 운용중인 차량
3.4.1. 퇴역 차량
4. 버스 노선


1. 개요[편집]


캐나다 퀘벡주의 교통공사이며 몬트리올 광역권[2]의 통근열차와 퀘벡 주의 버스 서비스를 운영하고 있다. 홈페이지

과거 AMT[3]이었으나, 2017년 RTM으로 이관되었으며 2018년 EXO로 이름이 변경되었다. 또한 명칭 변경과 동시에 몬트리올 광역철도망에 노선번호가 부여되었다. 그 아이돌 그룹 아니다

참고로 엑소의 역들은 일반 철도역으로 취급되기 때문에 프랑스어로 'Gare'라고 부른다. 지하철역을 뜻하는 Station과는 다르게 구분하기 때문에 참고하는 편이 좋다.[4]

2021년 1월 1일부터 두-몽타뉴선의 운행이 중단됨에 따라 캐나다 유일의 광역전철 타이틀은 없어지게 되었다.

2. 상세[편집]



2022년 2월 중국중차에서 제조된 2층열차가 도입되었다. 2023년부터 서비스 개시 예정.


3. 철도 노선[편집]



3.1. 운영 중인 노선[편집]


파일:exo-noir-300x300.png
노선노선명시점종점
파일:montral_train.png EXO-1보드뢰유-허드슨 선루시앙-랄리에보드뢰유-허드슨
파일:montral_train.png EXO-2생-제롬 선루시앙-랄리에생-제롬
파일:montral_train.png EXO-3몽-생-틸레르 선상트랄몽-생-틸레르 역
파일:montral_train.png EXO-4캉디악 선루시앙-랄리에캉디악
파일:montral_train.png EXO-5마스쿠시 선상트랄마스쿠시
파일:montral_train.png EXO-6두-몽타뉴 선부아-프랑두-몽타뉴

3.1.1. 보드뢰유-허드슨 선 (EXO 1호선)[편집]


  • Ligne Vaudreuil–Hudson
몬트리올 남서쪽으로 멀리 떨어진 보드뢰유-허드슨으로 가는 노선이다. 오타와 강을 건너는 몇 안되는 노선이다. 엑소 노선들 중 영업거리가 가장 길다. 2023년 현재, 편도 4회, 왕복 8회에 불과하지만, 주말에도 운행하는 유일한 EXO 통근열차 노선이다
Exo 보드뢰유-허드슨 선
연번역명환승노선비고소재지
VH-01허드슨
Hudson
하루 1회 운행허드슨
VH-02보드뢰유 역
Vaudreuil
급행 정차역보드뢰유-도리옹
VH-03도리옹
Dorion
급행 정차역
VH-04팡쿠르
Pincourt
팡쿠르
VH-05일-페로
Île-Perrot
일 페로
VH-06생트-안-드-벨뷰
Sainte-Anne-de-Bellevue
급행 정차역생트 안-드 벨뷰
VH-07베-듀르페
Baie-D'Urfé
급행 정차역베 듀르페
VH-08보르페르
Beaurepaire
비콘스필드
VH-09비콘스필드
Beaconsfield
급행 정차역
VH-10세다르 파크
Cedar Park
포인트 클레어
VH-11포인트-클레어
Pointe-Claire
급행 정차역
VH-12발루와
Valois
VH-13파인비치
Pine Beach
도르발
VH-14도르발
Dorval
급행 정차역
VH-15라신
Lachine
급행 정차역몬트리올
VH-16몽헤알-우에스트
Montréal-Ouest
급행 정차역몽헤알 우에스트
VH-17방돔
Vendôme
오렌지선급행 정차역몬트리올
VH-18루시앙-랄리에
Lucien-L'Allier
오렌지선급행 정차역

3.1.2. 생-제롬 선 (EXO 2호선)[편집]


  • Ligne Saint-Jérôme
총 길이 62.8km의 비전철 통근노선이다.
엑소 출범 이후[5] 신규로 개통한 최초의 노선이며, 캐네디언 퍼시픽이 1882년부터 1981년까지 운행하던 노선이다. 이후 1997년에 재개통하였다. 최초 개통 당시에는 장-탈롱블랑빌을 연결하는 통근열차였으나, 지속적인 연장으로 현재의 모습을 갖추게 되었다.

휴일에는 생-제롬~드 라 콩코드까지만 운행한다. 다만 2020년 코로나 여파로 인하여 현재는 휴일열차 운행이 중단되었다.
Exo 생-제롬 선
연번역명환승노선비고소재지
SJ-01생-제롬
Saint-Jérôme
[휴일]생 제롬
SJ-02블랑빌
Blainville
[휴일]블랑빌
SJ-03생-테레스
Sainte-Thérèse
[휴일]생-테레스
SJ-04생-로즈
Sainte-Rose
[휴일]로즈메르
SJ-05비몽
Vimont
[휴일]라발
SJ-06드 라 콩코드
De La Concorde
오렌지선[휴일]
SJ-07부아-드-불로뉴
Bois-de-Boulogne
몬트리올
SJ-08샤바넬
Chabanel
SJ-09파르크
Parc
파랑선
SJ-10몽헤알-우에스트
Montréal-Ouest
SJ-11방돔
Vendôme
오렌지선
SJ-12루시앙-랄리에
Lucien-L'Allier
오렌지선

3.1.3. 몽-생-틸레르 선 (EXO 3호선)[편집]


  • Ligne Mont-Saint-Hilaire
Exo 몽-생-틸레르 선
연번역명환승노선비고소재지
SH-01몽-생-틸레르
Mont-Saint-Hilaire
몽 생 틸레르
SH-02맥마스터빌
McMasterville
맥마스터빌
SH-03생-바실-르-그랑
Saint-Basile-Le-Grand
생 바실 르 그랑
SH-04생-브루노
Saint-Bruno
생 브루노 드 몽타빌
SH-05롱괴이-생-튀베르
Longueuil-Saint-Hubert
생 튀베르
SH-06생-람베르
Saint-Lambert
생 람베르
SH-07상트랄
Central
몬트리올


3.1.4. 캉디악 선 (EXO 4호선)[편집]


  • Ligne Candiac
몬트리올 남부 소도시인 캉디악까지 운행하는 노선이다. 세인트로렌스강을 건너는 유일한 엑소노선.
캐나다 철도 박물관을 방문하려는 철덕들은 이 노선을 타고 생-콩스탕(Gare Saint-Constant)역에서 하차하면 된다.

Exo 캉디악 선
연번역명환승노선비고소재지
CA-01캉디악
Candiac
캉디악
CA-02달송
Dalson
달송
CA-03생-콩스탕
Saint-Constant
생-콩스탕
CA-04생트-카트린
Sainte-Catherine
CA-05라살
Lasalle
몬트리올
CA-06뒤 카날
Du Canal
CA-07몽헤알-우에스트
Montréal-Ouest
CA-08방돔
Vendôme
오렌지선
CA-09루시앙-랄리에
Lucien-L'Allier
오렌지선


3.1.5. 마스쿠시 선 (EXO 5호선)[편집]


  • Ligne Mascouche
본래 몽루아얄 터널을 경유하였으나 REM 공사로 인하여 2020년 5월 11일부터 엉식(Ahuntsic)역 경유로 변경되었다.
REM 공사가 끝나는 2022년 코트-드-리에스(Côte-de-Liesse)역 종착으로 변경될 예정이다.
현재는 계획이 취소된 레드라인(3호선)이 당초 이 노선대로 다니도록 계획이 되어있었다.

Exo 마스쿠시 선
연번역명환승노선비고소재지
MA-01마스쿠시
Mascouche
마스쿠시
MA-02테르본느
Terrebonne
테르본느
MA-03르펑티니
Repentigny
르펑티니
MA-04퐁트-오-트럼블
Pointe-aux-Trembles
몬트리올
MA-05리비에르-데-프레리
Rivière-des-Prairies
MA-06앙주
Anjou
MA-07생-레오나르-몽헤알-노드
Saint-Léonard-Montréal-Nord
MA-08생-미셸-몽헤알-노드 역
Saint-Michel-Montréal-Nord
MA-09소베
Sauvé
오렌지선
MA-10엉식
Ahuntsic
MA-11상트랄
Centrale


3.2. 폐지된 노선[편집]




3.2.1. 두-몽타뉴 선 (EXO 6호선)[편집]


  • Ligne Deux-Montagnes
캐나다 유일의 광역전철노선이었다. 동시에 엑소 노선중에 가장 이용객이 많은 노선이다.
2022년 몬트리올 경전철 개통으로 폐지예정, 2020년 5월 11일부터 상트랄 운행계통이 폐지되고, 부아-프랑(Bois-franc)역 중간타절로 변경되었다.
REM 공사로 인하여 2021년 1월 1일부터 운행이 중단되었다.
Exo 두-몽타뉴선
연번역명환승노선비고소재지
DM-01두-몽타뉴
Deux-Montagnes
두-몽타뉴
DM-02그랑-물랑
Grand-Moulin
DM-03생트-도로테
Sainte-Dorothée
라발
DM-04일-비그라
Île-Bigras
DM-05로즈보로-피에르퐁
Roxboro-Pierrefonds
몬트리올
DM-06서니브룩
Sunnybrooke
DM-07부아-프랑
Bois-Franc




3.3. 주요 터미널 역[편집]




3.4. 운용중인 차량[편집]


대부분이 봉바르디에제너럴 모터스 제작 차량이다.

  • 디젤 기관차
    • ALP-45DP
    • F59PHI
    • F59PH
    • Siemens Charger - 10량(도입예정)
  • 객차
    • 22 bilevel coaches
    • 24 single-level coaches
    • 160 multi-level coaches

  • 디젤동차
    • CRRC Tangshan 2층객차 - 24량, 2023년 운행예정


3.4.1. 퇴역 차량[편집]




4. 버스 노선[편집]


  • 북부지구
  • 남부지구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9 06:17:56에 나무위키 엑소(교통)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촬영장소는 카노라 역이다.[2] 몬트리올 외 라발, 롱괴이, 도르발 등[3] Agence métropolitaine de transport(프랑스어) Metropolitan Transportation Agency(영어)[4] 예를 들면 메트로와 만나는 Vendôme역은 엑소와 메트로역이 붙어있음에도 불구하고 엑소역은 Gare Vendôme, 메트로는 Station Vendôme으로 구분해서 불린다.[5] 출범당시 명칭 AMT[휴일] A B C D E 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