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발루스급 잠수함

덤프버전 :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현대 네덜란드 해군 함선 둘러보기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200px-Naval_Jack_of_the_Netherlands.svg.png
[ 펼치기 · 접기 ]

네덜란드 왕립해군 (1945~현재)
Koninklijke Marine
잠수함즈바르디스급초대M/R, 발루스급초대R, 도펭급R, 즈바르디스급2대R,
발루스급2대, {JFS 2025}
고속정PB01급R, 야구알급R
원양초계함홀란트급
초계함링스R, 발데르급R
호위함호위함요한 마우리츠 반 나소R, 반 암스텔급R,
다목적 호위함트롬프급R, 반 스페이크급M/R, 코르테나르급R, 카렐 도어만급, {ASWF}
방공 호위함야콥 반 헤임스케르크급M/R, 더 제번 프로빈시엔급, {FuAD}
구축함울프급R/+, 어드미랄렌급R/+, 제라드 칼렌버그급R/+, 홀란트급R, 프리슬란트급R, 피트 헤인급R, 반케르트R
순양함홀란트급R/+, 자바급R/+, 더 라위터르급R/+, 트롬프급R, 더 제번 프로빈시엔급R
순양전함프로젝트 1047 순양전함+
전함1913년 네덜란드 전함 제안안+
해방함코닝긴 레헨테스급R/+, 더 제번 프로빈시엔(1909)R/+, 에버슨급R/+
상륙정LCT(3)R, L9609R, RV40R, LCU Mk.II, LCVP Mk.Vc
상륙함LPD로테르담급
LSTLST-3R, 펠리칸급R
기뢰소해함베임스터르급R, 온버사그드급R, 도쿰급R, 알블라스급R, 알크마르급
군수지원함쥐더크루스급R, 암스테르담급R, 펠리칸급, 카렐 도어만급, {덴 헬더급}
정보수집/연구함스넬리우스급, 라우메스
경항공모함카렐 도어만M/R
기타 군함판 킨스베르헌 포함M/R
※ 윗첨자R: 퇴역 함선
※ 윗첨자M: 개조/개장 함선
※ 윗첨자+: 2차 세계 대전 종전 이전 해체 및 계획 취소되었지만 편의상 틀에 넣은 함급
※ {중괄호}: 도입 예정 함선
취소선: 계획만 되거나 건조 중 취소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_walrusklasse_onderzeeboten.jpg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S810_Bruinvis_at_Quay_15_in_Tallinn_18_October_2014.jpg

1. 개요
2. 제원
3. 개발
4. 상세
5. 수명 연장 개수 프로그램과 후계함
5.1. 추가 수명 연장과 향후 계획
6. 동형함 목록
7. 관련 문서


1. 개요[편집]


네덜란드 해군재래식 잠수함. 냉전기 당시에는 영국, 미국 해군의 잠수함들과 같이 소련의 대서양 진출을 견제하였으며, 현재는 극비 정보 수집, 첩보용으로 활동하고 있다.


2. 제원[편집]


발루스급 잠수함
Walrus Klasse Onderzeeboten
이전급즈바르디스급
다음급JFS 2025
배수량수상2,350톤
수중2,650톤
전장67.73m
전폭8.4m
흘수6.6m
동력방식디젤-전기 추진
기관SEMT 필스틱 12PA4V200SM 4행정 디젤 엔진 3기
(각 5,430마력)
홀렉 ??? 전기 모터 1기
(각 6,910마력)
추진6엽 프로펠러 샤프트 1기
최고 속력수상13노트 (약 24 km/h)
수중20노트 (약 37km/h)
항속거리9노트 (약 16.6km/h) 순항 시 18,500km
잠항심도작전220~240m
최대300m 이상
승조원50~55명
레이더대함용I/J-밴드식 시그널-데카 ZW-07
소나고정톰슨-신트라 TSM 2272 "유럽 뿔문어"[1] 함수 소나
톰슨-신트라 DUUX-5B 수동 거리 측정/감청용 소나
예인제네럴 일렉트릭 컴퍼니 2026형 예인 소나
사통장치GTHW 어뢰/하푼용 통합 사격통제장치
전투시스템시그널 SEWACO
무장533mm (21인치) 어뢰 발사관 4문
NT-37 중어뢰 20발
또는
Mk.48 Mod 5 ACDAP 중어뢰 20발
UGM-84 하푼 4발


3. 개발[편집]


네덜란드는 냉전시절 나토에서 일선급은 아니지만, 꽤 큰 규모의 해군을 보유한 국가였다.[2] 네덜란드 해군의 주요 전투함들은 전통적 해양 국가인 네덜란드의 특징과, 내해가 매우 좁은 지리적 이유로 대양작전에 적합하도록 설계되었는데, 발루스급도 다른 나라의 재래식 잠수함에 비해 그 배수량이 이례적으로 큰 이유가 대양작전, 특히 GIUK 갭에서의 대잠 매복작전 수행을 위해서였다.

네덜란드 해군은 1970년대에 즈바르디스급 2척 건조이후, 노후화 되어가던 돌팽급 4척을 대체할 차기 잠수함 건조 사업을 1978년에 시작하였다. 초도함은 1979년부터 건조에 들어갔으나, 개발 당시에는 제한된 예산과 큰 정치적/예산상의 압박으로 인해 과정이 순탄치 않았다. 잠수함의 체급과 운용 비용 때문에 의회와 국방부간의 마찰이 빚어졌었다. 몇번의 설계 변경이 있었지만, 그래도 기존의 대양 작전을 위한 대형 잠수함 설계안은 관철되었다. 다만 일련의 과정 때문에 초도함의 진수는 1985년에 이루어졌다. 이후 3척이 순차적으로 건조되어 네덜란드 해군에 배치되었다.


4. 상세[편집]


선체의 형태는 이전급인 즈바르디스급과 거의 비슷하며, 주로 수중 기동성을 높이기 위한 기술을 많이 사용하였는데, 종횡타는 일반적인 + 형 대신, 제어는 조금 더 어렵지만 수중 기동성을 높여주는 × 형을 채택하였다.[3] 이외에도 잠항 심도를 즈바르디스급에 비해 약 50% 정도 증가 시키기 위해 내압 선체에 프랑스제 MAREI 고장력강을 사용하고, 대수상 레이다나 대잠초계 항공기에 탑재되는 MAD에 대한 저피탐성을 위해 스텔스 성능을 내게 하도록 건조되는 등 신경을 많이 쓴 덕에, 재래식 잠수함임에도 깊은 심도(수중 300m 이상)에서 작전이 가능하게 되었다. 비록 고틀란트급이나 손원일급같은 최신 잠수함들처럼 AIP 기관은 탑재되지 않았지만, 등장 당시에는 비핵추진 잠수함 중에서는 가장 진보된 함급이라 여겨졌었다고 한다.

전투시스템은 자국의 시그널 사가 개발한 SEWACO(SEnsor, Wepon And COmmand)로, 2개의 다목적 단말기를 중심으로 하는 중앙처리장치와 7개의 다목적 콘솔로 이루어져 있으며, SEWACO의 하부 시스템과 예인 소나의 정보 처리를 위한 GIPSY[4] 시스템을 탑재하였다.


5. 수명 연장 개수 프로그램과 후계함[편집]


2007년 네덜란드 정부는 4척의 발루스급의 개수 사업과 전반적인 작전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추가 승무원 모집을 승인했다. 개수의 목표는 해안 가까이에서의 작전 및 새 무기 체계와의 통합에 초점을 맞추었으며, 개량점은 다음과 같다.

  • Mk.48 Mod 5에서 Mod 7로 버전 업그레이드
  • 주야간 HD 영상 촬영을 위해 L-3 KEO社의 선체 비관통형 광학 마스트로 잠망경을 교체
  • ELAC Nautik社의 기뢰/장애물 회피 소나 추가
  • 고압 선체 개수
  • 새 전투 시스템 도입

2014년 네덜란드 국방장관은 2025년부터 발루스급을 새 잠수함으로 대체해 나갈 것이라 밝혔다. 프로젝트명은 JFS 2025 (Joint Future Submarine, 통합 차기 잠수함)으로, 현재는 스웨덴의 사브社와 협약을 맺어서 공동 탐색 개발에 들어간다고 한다.


5.1. 추가 수명 연장과 향후 계획[편집]


네덜란드 해군이 당초 계획했던 것에 비해 차기 잠수함 사업이 계속 지연되고 난항을 겪자 결국 특단의 조치를 발표하게 된다.

네덜란드 국방부의 공식 발표에 따르면 앞으로 잠수함 전력 유지를 위해 진행하게 될 내용은 다음과 같다.

  • 신속한 차기 잠수함 견적 요청 및 선정
  • 발루스급 잠수함 추가 수명 연장 및 일부 조기 퇴역
  • 전체적인 잠수함 사업 관리 개선

이러한 결정이 내려짐에 따라 발루스급 잠수함의 일부를 수명 연장을 통해 2030년대 중반까지 운용하게 되었다. 잠수함의 운용은 승무원의 안전이 보장될 때에만 이루어질 것 이라며, 잠수함의 수명 연장 및 안전 보장을 위해 일부 발루스급을 퇴역시키기로 결정했다. 우선 1척의 발루스급을 근시일내에 퇴역시키고, 향후에 추가로 1척을 퇴역시키겠다는 계획이다. 이렇게 2척의 잠수함을 퇴역시켜서 나오는 부품으로 남은 2척의 잠수함의 수리 및 유지 보수를 위해 사용하기로 결정하였다. 이로써 향후 4척의 차기 잠수함이 취역하는 2034~2037년 이전까지 네덜란드의 잠수함 세력은 4척 - 3척 - 2척 순으로 점진적으로 감소될 예정이다.


6. 동형함 목록[편집]


네덜란드 왕립해군
함번함명기공일진수일취역일퇴역일모항상태
1S802HNLMS[5] 발루스 (Walrus)1979.10.111985.10.281992.3.252023.10.12덴 헬데르퇴역
2S803HNLMS 제이레우 (Zeeleeuw)1981.9.241987.6.201990.4.25-덴 헬데르현역
3S808HNLMS 돌펭 (Dolfijn)1986.6.121990.4.251993.1.29-덴 헬데르현역
4S810HNLMS 브라운피스 (Bruinvis)[6]1988.4.141992.5.251994.7.5-덴 헬데르현역


7. 관련 문서[편집]



[1] Eledone Octopus[2] 이는 베네룩스 3국의 국방 독트린 중에서 네덜란드가 해군을 전담하는것과 이웃나라 독일의 해군력이 육군에 비해 부실했기에 그를 보조하기 위한 측면도 있었다.[3] ×자 종횡타는 이미 스웨덴의 Sjöormen급이나 미군의 실험 잠수함 USS 알바코어 함에서 검증된 시기이기도 하였다.[4] Geautomatiseerd Informatieverwerkend Presentatie Systeem, 통합 정보 처리 및 자료 표시 시스템[5] 네덜란드어로는 Zr.Ms. (Zijner Majesteits)[6] 네덜란드어로 쇠돌고래를 뜻한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30 01:44:24에 나무위키 발루스급 잠수함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