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효신/공연

덤프버전 : (♥ 0)




1. 콘서트
1.1. 콘서트 목록
2. 뮤지컬
2.1. 뮤지컬 목록
2.2. 영화


1. 콘서트[편집]



박효신은 콘서트에 자신의 모든 것을 쏟아부어 완벽함을 추구하는 것으로 유명하다. 자신의 노래는 물론이고 무대나 연출 등 모든 분야에 공을 들인다. 본인은 음악 말고 잘하는 게 없기 때문에 음악 만큼은 누구보다 잘하고 싶고 여러가지를 해보고 싶다고 한다.[1] 이런 노력의 결과로 2017년 멜론 뮤직 어워드에서 2016 I am A Dreamer 콘서트로 올해의 무대상을 수상하기도 했다.

2000년부터 꾸준히 단독 혹은 합동 콘서트를 열었고 소공연이나 지인의 콘서트 게스트로 출연하기도 했다. 2000년대 초는 주로 대학 공연장에서 공연했고 점차 올림픽홀, 체조경기장으로 규모를 넓혀 나갔다. 2009년부터는 핸드볼경기장과 잠실실내체육관을 이용했으며 2010년부터 올림픽체조경기장에서 단독 공연을 할 정도로 관객의 수가 많아졌다. 현재 박효신의 단독 콘서트 관객 동원력은 남자 솔로 가수 중에서도 최상위권이다.

2016년에는 콘서트 장소에 대한 우려가 많았는데 올림픽체조경기장은 리모델링 공사 중이었고[2] 2016년 6월 팬미팅 장소였던 잠실실내체육관이나 음향 문제로 확률은 낮지만 고척 스카이돔에서 공연할 가능성이 컸다. 잠실 주경기장도 가능은 하겠지만 음향 문제가 걸렸고 혹시나 매진되지 않을 가능성도 있었다.[3]

2016년 8월에는 소속사 이적과 더불어 정규 컴백과 콘서트 소식이 들려왔다!! 예상대로 잠실 실내체육관에서 6일간 열릴 예정이다. 아무리 6일이라도 체조보다 수용인원이 적은 잠실이라 부족하다는 의견도 있었지만 공개된 좌석배치도를 보면 360도 좌석이다! 보통 콘서트가 180도 이하 좌석이므로 체조에서 2~3일 공연하는 것보다 훨씬 규모가 커졌다.[4]

그리고 마침내 오픈된 9월 8일 일반예매에서 12분만에 5회 공연 55,000석 전석을 매진 시켜 또 한 번 넘치는 티켓 파워를 과시했다. 플랜팅 데이까지 합치면 65,000명을 동원했다. 무대 중앙 천장의 대형 스크린에 시선을 집중시키고 기존의 4배나 되는 음향 시설을 설치해 완벽한 퀄리티를 냈다. 2014년에 선보인 LED 팔찌를 통한 연출 또한 여전했으며 전국 11개의 CGV 상영관에서 콘서트 생중계를 선보여 5분만에 매진시키면서 콘서트를 예매하지 못한 안방에서 즙짜던 팬들을 만족시켰다.

20주년을 맞아 2019년 6월 단독 콘서트 '박효신 LIVE 2019 LOVERS : where is your love?'의 좌석배치도를 공개하며 국내 솔로가수 중 최초로 총 10만 관객의 대규모 공연을 예고했다. 이후 1차 예매와 2차 예매에서 약 9만석의 좌석이 순식간에 매진되었다. 이러한 열기에 시야 제한석을 추가 오픈하여 10만 관객이라는[5] 올체 역사상 가장 큰 규모의 콘서트를 앞두고 있다. 이윽고 7월 13일 5시간 30분의 러닝타임을 끝으로 마지막 공연을 마쳤다. 체조경기장 평균 무대 제작비의 7배인 33억, 스텝 800명이 투입된 어마어마한 공연이었다.


예전부터 콘서트에서 파격적인 모습을 많이 보여줬다. 그냥 얌전한 발라드 가수 콘서트라고 생각하면 큰 오산


1.1. 콘서트 목록[편집]


게스트로 참여한 공연과 위문열차 공연은 포함하지 않은 서술입니다.

번호제목장소일시비고
1결식아동돕기 자선콘서트정동문화회관2000.3.18첫 단독 콘서트
2첫 라이브 콘서트대학로 라이브극장2000.4.17~4.18첫 유료 콘서트[6]
3앵콜 라이브 콘서트정동 A&C2000.6.9~6.11
4데뷔 1주년 기념 콘서트성균관대 새천년홀2000.11.4~11.5
5'Relax' 2집 발매 기념 콘서트힐튼호텔 컨벤션홀2001.5.5~5.6
6전국 투어 콘서트인천종합문예회관 대극장2001.6.30인천
아주대 체육관2001.7.8서울
대구 EXCO 컨벤션홀2001.7.21대구
전주삼성문화회관2001.7.28전주
롯데호텔 부산2001.8.19부산
양재동 교육문화회관2001.9.7~9.9서울 앵콜
72001 시월에 눈 내리는 마을연세대 노천극장2001.10.27~10.28<이소라, 성시경 합동>
8시대개막 콘서트경희대 평화의 전당2002.4.20~21
9Next Destination...NewYork잠실실내체육관2002.11.29~11.30서울
부산 BEXCO2002.12.21부산
인천실내체육관2003.1.18~1.19인천
대구EXCO 전시컨벤션센터2003.1.25대구
경희대 평화의전당2003.2.15~2.16서울 앵콜
102003 시월에 눈 내리는 마을연세대 노천극장2003.10.25~10.26<이소라, 성시경 합동>
11이소라&박효신 'Sentimental City'코엑스 대서양홀2003.12.24~12.27서울, <이소라 합동>
부산 BEXCO2003.12.31부산
12HOT & SHY쉐라톤워커힐호텔 제이드가든2004.9.10 / 9.12서울
경북대 대강당2004.9.18~9.19대구
부산 KBS홀2004.10.2부산
배재대 스포렉스홀2004.10.23~10.24대전
부천실내체육관2004.10.31부천
13KTF Drama 콘서트 'HOT & SHY'올림픽공원 올림픽홀2004.12.4~12.5
14Breathe Again한전아트센터2005.9.22~25서울
대구시민회관 대강당2005.10.1~10.2대구
부산 KBS홀2005.10.8~10.9부산
경기도문화의전당2005.10.15~10.16수원
광주문화예술회관2005.10.22~10.23광주
창원 KBS홀2005.10.29~10.30창원
충남대 정심화홀2005.11.6대전
연세대 대강당2005.11.19~11.20서울 앵콜
15IN MY SOUL올림픽공원 체조경기장2005.12.10<김조한, 박정현 합동>
16KTF Drama 콘서트 'Breathe Again'올림픽공원 올림픽홀2005.12.18
17The Breeze Of Soul올림픽공원 올림픽홀2007.5.19~5.20서울
창원컨벤션센터2007.5.24창원
경기도문화의전당2007.5.26~5.27수원
충남대 정심화홀2007.6.2~6.3대전
대구시민회관 대극장2007.6.9~6.10대구
김대중 컨벤션센터2007.6.16광주
남서울대 성암문화체육관2002.6.17천안
부산 KBS홀2007.6.22~6.23부산
어울림극장2007.6.3고양
울산 KBS홀2007.7.7울산
올림픽공원 올림픽홀2007.7.28~7.29서울 앵콜
18The Soul올림픽공원 체조경기장2008.12.20~21, 23~24서울 <휘성, 정엽, 거미 합동>
부산 BEXCO2008.12.31부산
19Gift Live Tour올림픽공원 펜싱경기장2009.10.16.~10.18서울
부산 KBS홀2009.11.7부산
대구 EXCO2009.11.14대구
대전무역전시관2009.11.21대전
인천산삼체육관2009.11.29인천
20Gift +잠실실내체육관2009.12.30~12.31서울 앵콜
21Japan First Concert 2010 'GIFT'나카노 선 플라자홀2010.1.23도쿄
22김광석 추모 콘서트고양아람누리 아람극장2010.06.05게스트
23Giftx2 Live Tour올림픽공원 체조경기장2010.9.25~9.26서울
부산 KBS홀2010.10.9부산
대구 EXCO2010.10.24대구
대전무역전시관2010.10.30대전
인천삼산체육관2010.11.6인천
24The Last Concert 'GIFT'올림픽 주 경기장 내 돔씨어터2010.12.19서울
252012 시월에난지한강공원2012.10.14서울
26WAR IS OVER올림픽공원 체조경기장2012.12.28~12.29서울
27김광석 다시 부르기세종문화회관 대극장2013.2.16게스트
KBS 부산홀2013.4.27
28마법에 걸린 숲연세대 대강당2013.5.4팬미팅 공연
29HAPPY TOGETHER올림픽공원 체조경기장2014.12.12~12.14서울
염주실내체육관2014.12.20광주
사직실내체육관2014.12.24부산
대구 EXCO2014.12.27대구
인천삼산월드체육관2014.12.31인천
30마법에 걸린 숲 -두번째 이야기-경희대 평화의전당2015.1.31팬미팅 공연
31SO HAPPY TOGETHER올림픽공원 체조경기장2015.2.14~2.15서울 앵콜
32THE CABIN잠실실내체육관2016.5.21팬미팅 공연
33I AM A DREAMER잠실실내체육관2016.10.8~10.16서울, 6회, 360도 공연
34Planting Day with me PICNIC잠실종합운동장 보조경기장2017.6.24팬미팅 공연
35LOVERS : where is your love?올림픽공원 체조경기장2019.6.29~7.13서울, 6회
36STPD 2019 LOVERS:behind the scenes올림픽공원 체조경기장2019.7.2~7.9팬미팅, 2회
37STPD 2023 GOING HOME올림픽공원 88잔디마당2023.9.9~9.10팬미팅, 2회


2. 뮤지컬[편집]




가요계뿐 아니라 뮤지컬에서도 활약하고 있는데, 4번에 걸쳐 뮤지컬을 할 때마다 전석을 매진시키는 티켓 파워를 발휘했다. 박효신은 뮤지컬이 자신의 인생에서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며 애정을 표현했다. 콘서트에서 자신이 출연했던 뮤지컬의 넘버들을 재연하기도 하는 등 정말로 뮤지컬을 상당히 중요하게 여기는 것 같다.

첫 뮤지컬은 2000년에 맡은 락햄릿이지만 다음 작품을 맡을 때까지 무려 13년이 넘게 걸렸다.
13년도 이후론 꾸준히 뮤지컬 배우로도 활동하고 있으며 창법 역시 장르에 따라 적절하게 구별해 가며 사용하고 있다. 당연히 대중가요와 뮤지컬은 장르 자체가 다르기 때문에 창법에도 분명한 차이가 있다.[7] 그러나 박효신의 경우는 적어도 이런 가창력에 있어서만큼은 의심할 여지가 없는 탑클래스. 엘리자벳, 모짜르트, 팬텀, 웃는남자, 베토벤. 그가 출현한 뮤지컬을 보면 몸을 쓰는 것 역시 상당한 수준급으로 다른 배우에게도 밀리지 않았고 여기까진 팬이 아닌 다른 관객도 인정하는 부분이다. 다만 연기에 있어서만큼은 분명한 호불호가 있었다. 쉽게 말하면 연기가 뮤지컬이 아닌 연극을 보는 것 같다는 것. 박효신의 과거 뮤지컬 작품을 보며 다소 과장된 몸짓과 발성으로 연기를 하는데 이것이 연극을 연상시키며 호불호를 가르는 요인이 된 것이다. 물론 이것이 못한다, 나쁘다, 그런 뜻은 아니다. 말 그대로 역동적이고 격한 움직임을 즐기는 사람은 좋아하고, 반대로 자연스러운 움직임을 좋아하는 사람은 불호로 나뉘었을 뿐이다. 무엇보다 연기를 못하는 것도 아니고 가창력 자체가 워낙 탑클래스라 불호인 사람들에게도 이런 단점은 덮고도 남았다.

이런 연기 방식은 18년도 웃는남자까지 계속되었으나, 22년도 웃는남자(재연)에서부턴 창법 자체를 과거보다 부드럽고 섬세하게 바꾸고, 연기 역시 과거엔 과장되고 역동적이었던 것이 많이 차분해지고 자연스러워졌다.

2018년, 빅토르 위고의 소설 웃는 남자를 원작으로 한 뮤지컬 '웃는 남자'에서 입이 찢어졌지만 관능적인 청년 '그윈플렌' 역으로 출연했다. 지금 이 순간의 작곡가 프랭크 와일드혼이 처음부터 박효신을 염두에 두고 작곡을 맡았다. 2014년에 엘리자벳에서 처음 만났던 로버트 요한슨 연출도 박효신을 향한 신뢰를 드러냈다.[8]

웃는 남자는 한 달 만에 10만 관객을 돌파하는[9] 인기에 힘입어 일주일의 공연 일정을 추가했다. 타이틀롤인 박효신은 팬텀 때보다 더 많은 공연 회차를 소화했고 대부분의 회차를 매진시켰다.


2.1. 뮤지컬 목록[편집]


번호제목장소일시비고
1락햄릿장충체육관2000.4.4~4.11첫 뮤지컬, 햄릿 역
2엘리자벳예술의전당 오페라극장2013.7.26~9.7토드 역
부산문화회관 대극장2013.9.14~9.15
대구 계명아트센터2013.9.21~9.21
광주문화예술회관 대극장2013.9.28~9.29
창원 성산아트홀 대극장2013.10.19~10.20
3모차르트!세종문화회관 대극장2014.6.11~8.3모차르트 역
광주문화예술회관 대극장2014.8.23~8.24
창원 성산아트홀 대극장2014.8.30~8.31
부산문화회관 대극장2014.9.13~9.14
대구 계명아트센터2014.9.19~9.21
4팬텀충무아트홀 대극장2015.4.28~2015.7.26팬텀 역
블루스퀘어 삼성전자홀2016.11.26~2017.2.26
대전 예술의전당 아트홀2017.3.4~3.5
광주문화예술회관 대극장2017.3.12
부산문화회관 대극장2017.3.18~3.19
대구 계명아트센터2017.3.25~4.2
성남아트센터 오페라하우스2017.4.8~4.9
5웃는 남자예술의전당 오페라극장2018.7.10~2018.8.26그윈플렌 역
블루스퀘어 인터파크홀2018.9.4~2018.11.4
세종문화회관 대극장2022.06.10~2022.08.22
6베토벤예술의전당 오페라극장2023.01.12~2023.03.26루트비히 판 베토벤
7베토벤 시즌2세종문화회관 대극장2023.04.14~2023.05.15루트비히 판 베토벤

2.2. 영화[편집]


  • 뷰티풀 투모로우 (2017) - 박효신 역. - 박효신 7집 앨범 I am A Dreamer를 주제로 쿠바에서 촬영한 영화(블럭 뮤비). 2017년 10월 26일 CGV 단독 개봉하고 홍대 CGV에는 박효신 층 박효신 관을 만들어 팬들끼리 단체 관람을 즐겼다.




파일:CC-white.svg 이 문단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박효신 문서의 rr1685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단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박효신 문서의 rr1685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30 00:02:23에 나무위키 박효신/공연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https://youtu.be/vdVWyTvDhgg [2] 2018년 7월 15일 올림픽 체조경기장의 리모델링 공사가 완공됨에 따라 다음 콘서트 장소는 체조경기장이 될 확률이 높아졌다. 박효신은 음향 문제에 예민하기 때문에 음향 시스템 지적이 많은 고척 스카이돔에서 공연 할 확률은 크지 않다.[3] 다만 2018년 현재 2만 명이 넘는 정회원의 수와 티켓파워를 고려할 때 주경기장의 최소 관객 정도는 동원할 수 있을 것 같다. 주경기장은 숱한 레전드 가수들이 공연했던 곳으로 좌석 개방과 무대 설치에 따라 3만 ~ 5만까지 수용할 수 있어 체조의 약 3배, 고척의 약 2배 규모나 된다.[4] 체조에서 3일이면 약 45,000 명, 잠실에서 6일이면 약 36,000 명의 관객을 동원할 수 있는데 박효신이 계획 중인 360도 좌석은 기존 좌석의 2배 수준인 하루 11,000석 이상이므로 플랜팅 데이를 제외하고 5회 공연의 총 좌석은 약 55,000명. 플랜팅 데이까지 포함하면 6만 석 이상이다. 매진은 쉽지 않지만 최근 박효신 콘서트를 찾는 사람들이 많아지기도 했고 항상 예매 때문에 고생하는 팬들을 위한 배려같기도 하다.[5] 시야제한석을 추가로 오픈 했으며 이 역시 매진됐다.[6] 이하나의 페퍼민트에서 이하나가 갔었다고 하는 대학로 콘서트가 바로 이 콘서트[7] 간혹 넘버를 부를 때 가사 전달이 좀 안 된다는 평이 있긴 했는데 이에 대해 3옥타브장인에서 성악을 전공한 분의 말에 의하면, 우리가 보는 것은 촬영을 한 것으로 이미 음질이 1차적으로 손상을 받았고, 두 번째로 박효신이 성량을 유지하기 위해 최대한 혀와 입안 구조를 움직이지 않으려 하다 보니 발음이 좀 무너졌다고 느끼는 것이고, 세번째로 편집해서 일부만 들어서 그렇지 실제로 공연장에 가서 처음부터 끝까지 작품을 보면 내용을 이해하는데 아무런 문제가 없다고 평했다.[8] http://www.themusical.co.kr/News/Detail?num=11533 [9] https://entertain.naver.com/read?oid=011&aid=00033898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