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박시원(2004)

덤프버전 : (♥ 0)

||
[ 펼치기 · 접기 ]

1군
4 육선엽 · 17 김대우 · 19 양현 · 20 이승현
· 21 오승환 · 27 김태훈 · 35 이승민 · 40 최지광
· 43 레예스 · 52 코너 · 54 최성훈 · 55 이호성
· 57 이승현 · 62 김재윤
2군
1 이재익 · 11 홍정우 · 15 이상민IL-15 · 18 원태인
· 26 장필준 · 29 백정현IL-15 · 37 최하늘 · 45 임창민
· 46 홍무원 · 48 김시현 · 49 박권후 · 51 최충연
· 53 김서준 · 56 최채흥 · 61 황동재 · 65 홍원표
· 66 박준용 · 67 정민성 · 100 이민호 · 102 유병선
· 109 박시원 · 110 신경민 · 113 김태우 · 115 한연욱
· 117 장재혁 · 120 김대호 · 122 김성경 · 123 김동현
최종 편집: 2024년 6월 15일
코칭스태프투수포수내야수외야수군 입대 선수등록 선수
다른 KBO 리그 팀 명단 보기


박시원의 역대 수상경력 / 등번호
[ 펼치기 · 접기 ]


삼성 라이온즈 등번호 109번
김세민
(2021~2022)
박시원
(2023~)
현역

파일:박시원프로필.jpg
삼성 라이온즈 No.109
박시원
Park Siwon
출생2004년 3월 16일 (20세)
경기도 부천시
국적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학력신도초 - 안산중앙중 - 유신고
신체188cm, 88kg
포지션투수
투타우투우타
프로입단2023년 9라운드 (전체 88번, 삼성)
소속팀삼성 라이온즈 (2023~)
연봉3,000만원 (2023년)
MBTIENTP[1], ENFP[2]
SNS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1. 개요
2. 선수 경력
2.1. 아마추어 시절
3. 피칭 스타일
4. 여담
5. 관련 문서



1. 개요[편집]


삼성 라이온즈 소속 우완 투수.

2. 선수 경력[편집]



2.1. 아마추어 시절[편집]


파일:박시원 1.jpg

사이드암 투수임에도 고교 1학년 때 이미 최고구속이 140km/h를 넘길 정도로 빠른 성장세를 보여, 1살 더 많은 인천고의 윤태현과 더불어 2021년 고교 사이드암 최고 투수를 경쟁할 것이라는 평가가 나왔을 정도로 상당한 기대를 받았었다. 그러나 2학년 들어 구속을 올리려고 팔각도를 높였다가 어깨 부상을 당했는데, 그 후 다시 팔각도를 낮췄다가 도리어 밸런스를 잃고 스피드가 떨어지며 스카우트들의 관심에서 밀려났다. 3학년 때 청룡기 MVP를 수상했지만, 바뀐 투구폼에 대한 의구심 때문에[3] 9라운드까지 지명 순번이 밀려났다.

2.2. 삼성 라이온즈[편집]


하위 라운더여서 육성선수로 시즌을 시작했다. 4월에 3경기 나오고 오랫동안 결장하다 9월 10일 NC 2군전에 등판했는데 고교 시절과 달리 오버스로로 팔각도를 올렸다. 당일 해설진에 따르면 어깨 부상 때문에 투구폼을 바꿨다고 한다. 2군 성적은 4경기 3⅔이닝 0승 1패 ERA 19.64.


3. 피칭 스타일[편집]



4. 여담[편집]


  • 임창용의 투구를 보며 처음 야구를 시작했고, 고교 시절에는 정우영을 롤모델로 삼았다.

  • 앞서 9라운드에 지명받고 운 김현준, 장재혁과 경기 중 우는 모습을 보인 9라운드 지명 선수 박승규에 이어 박시원도 지명 후 울었다고 한다.

  • 달고 싶은 등번호는 박권후와 같은 1번이라고 한다.[4]
  • 고교 시절 땐 사이드암이었지만 그 "노예"를 만나서 팔 각도 자체가 오버스로우로 변경되었다. 이를 두고 많은 삼성 팬들이 제발 홍준학과 같이 나갔으면 좋겠다는 의견이 여기저기서 쏟아지고 있는 분위기다.

5. 관련 문서[편집]


[1] 영상 3분 13초.[2] 영상 4분.[3] 다수 스카우트들은 박시원의 백스윙 동작이 부상 우려가 크다고 평가했다.[4] 현재 1번의 주인은 양창섭이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29 20:44:55에 나무위키 박시원(2004)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