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다울

덤프버전 : (♥ 0)




박다울
Park Da Wool
파일:박다울 프로필.jpg
출생1992년 10월 4일 (31세)
국적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병역예술체육요원
학력국립국악중학교 (졸업)
국립국악고등학교 (졸업)
서울대학교 (국악과 / 졸업)
소속 그룹KARDI, 방울성, 박백수
포지션거문고
MBTIINTP
링크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파일:유튜브 아이콘.svg[코코더]

1. 개요
2. 상세
3. 수상
4. 음반
5. 방송
5.1.1. 프로듀서 오디션
5.1.2. 본선 1라운드
5.1.3. 본선 2라운드
5.1.4. 본선 3라운드
5.1.5. 본선 4라운드
5.1.6. 결선 1라운드
5.1.7. 결선 2라운드
6. 활동
7. 여담



1. 개요[편집]


대한민국거문고 연주자, 국악인.


2. 상세[편집]


국립국악고등학교, 서울대학교 국악과를 졸업하고 오경자, 정대석, 천재현에게 사사했다. 여러 경연에서 실력을 검증받은 출중한 실력의 보유자이나, 단순한 연주자에 머물지 않고 거문고 주법의 한계를 확장하기 위해 다양한 창작 실험에도 참여하고 있다.

서울문화재단 최초예술지원작 <Spirit Fingers>, 2021-2022 거문고 패러독스 <거문고는 타악기가 아니다> 음악감독, 전통문화진흥재단 <동화음악회> 음악감독, 여우락 페스티벌, 2022/2024 싱크넥스트 등으로 활발하고 참신한 활동을 이어가고 있다.

슈퍼밴드2를 통해 결성된 밴드 KARDI 소속이다.


3. 수상[편집]




4. 음반[편집]


구분앨범명발매일
EP박다울의 한갑득류 거문고산조2018.08.16
설치예술 협업위상감각 Vol.12021.02.01
싱글거문장난감[1]2021.11.13
설치예술 협업병풍시나위 : 박다울(위상감각을 위한 퍼포먼스)2022.01.12
OST붉은 단심 OST Part 32022.05.17
EP박다울류 거문고산조2022.11.02


5. 방송[편집]



5.1. 슈퍼밴드2[편집]



5.1.1. 프로듀서 오디션[편집]



윤상: "접신...한 줄 알았어요."

  • 자작곡 거문장난감을 선보였다.
  • 거문고의 타악적인 요소가 돋보이는 곡. 루프스테이션과 바이올린 활을 활용하여 독창적인 퍼포먼스를 펼쳤다. 후반부에 짧은 정적 후 루프 스테이션을 다시 밟는 장면이 인상적이다.
  • 음원으로 발매되었다.


5.1.2. 본선 1라운드[편집]



윤상: 파격이란 이런 것!

  • 프런트맨으로서 보컬 없이 기타리스트(일렉) 정나영, 기타리스트(어쿠스틱) 김진산과 함께 지드래곤의 GOOD BOY를 선곡해 파격적인 무대를 선보였다.[2]
  • 중반부로 전환하는 순간 목공용 칼로 거문고의 현을 끊는(!) 절현 퍼포먼스에 전율이 인다.[3]
  • 드라마틱하고 실험적이나, 멜로디 라인이 약해 현대미술처럼 난해하다는 평을 받았다.

  • 슈퍼밴드2 갈라콘서트에서 윌리K, 황현조, 은아경이 추가되어 특별 무대를 꾸몄다.



5.1.3. 본선 2라운드 [편집]



"울지 말고 일어나, 넘어져도 괜찮아"

  • 클래식 기타리스트 장하은, 싱어송라이터 다비, 첼리스트 김솔다니엘과 함께 자작곡 청개구리를 선보였다.
  • 도입부에서 첼로와 거문고가 같이 활을 사용하며 아련한 분위기를 잡는다. 곡에 맞게 거문고를 여러 방법으로 활용하여 조화로운 무대를 꾸몄다.
  • 박다울의 천재성이 다시 한 번 드러났다는 평이 많다.


5.1.4. 본선 3라운드[편집]



  • 프런트맨으로 전라운드 상대 팀 보컬 김한겸, 베이시스트 양장세민, 드러머 유빈을 영입하여 자작곡 동이 튼다를 선보였다. 정글 컨셉의 독보적인 사운드가 감명 깊은 무대.
  • 거문고 이외에도 북, 꽹과리를 연주했다. 안무와 컨셉 등을 기획하는 면모를 보이기도 했다.


5.1.5. 본선 4라운드[편집]



  • 보컬 김예지, 기타리스트 황린, DJ&프로듀서 황현조와 함께 롤드컵 오프닝곡인 Legends Never Die를 선곡하여 강렬한 무대를 선보였다.
  • 도입부에서 나각을 불고, 중반부 거문고 독주로 이어가면서 고대 전쟁 컨셉 무대의 신비로움을 강조하였다.


5.1.6. 결선 1라운드[편집]



  • 보컬 김예지, 기타리스트 황린, 베이시스트 황인규, 드러머 전성배와 함께 밴드 카디를 결성하여 자작곡 7000RPM을 공연하였다. 곡 전반을 이끄는 거문고 리프가 매력적인 뉴메탈 형식의 곡이다.
  • 결선 1차에 2위의 성적을 얻었다.


5.1.7. 결선 2라운드[편집]



  • 밴드 카디로 자작곡 Ready to Fly를 선보였다. 상쾌한 스타일의 곡으로 중간에 꽹과리를 연주하였다.
  • 슈퍼밴드2 최종 3위의 성적을 얻었다.


6. 활동[편집]


  • 2020, 2021 거문고 패러독스 <거문고는 타악기가 아니다>의 음악감독으로 공연을 주최하였다. Drug Black Swan
  • 서울문화재단 최초예술지원작 <Spirit fingers>의 총감독이었다.
  • 설치미술가 서성협 작가와 협업하여 개인전 <위상감각을 위한 퍼포먼스>와 현대자동차그룹 주관 <2021 ZER01NE DAY> 전시에 참여하였다. 위상감각을 위한 퍼포먼스 take3[4] 2021 ZER01NE DAY <병풍시나위:박다울>
  • 전통공연예술재단 동화음악회에서 <이파라파냐무냐무>, <돌 씹어먹는 아이>의 예술감독을 맡았다. '이파라파냐무냐무' 예고편

  • 자타공인 광고계의 블루칩. 인스타그램, 한국전력, 기아 K8, 현대차[5] 등과 콜라보 광고를 찍었다.
  • 슈퍼밴드2 촬영 이후 DAZED 코리아에서 WE ARE SUPER BAND라는 제목으로 윈터 에디션 화보를 촬영하였다. 현장에서 한갑득류 거문고산조 자진모리를 연주하였다.
  • 네이버 NOW에서 주관하는 온에어 라이브 플레이리스트 낮밤선율에 참여하였다.
  • 화사I'm a B MV에 출연하여 거문고 연주를 선보였다. 이후 화사쇼에 게스트로 참여하여 멍청이(feat.박다울)을 공연하기도 했다.

  • 2021 여우락 페스티벌에서 <고고고> 공연에 참여하였고, 2022 여우락 페스티벌에서 '거문고 패러독스 <거문고는 타악기가 아니다>'를 공연하였다. 회전무대 위의 다양한 오브제와 안무가들의 몸짓이 인상적인 공연이었다.

  • 세종문화회관 2022 싱크넥스트의 아티스트로 참여하여 <ㄱㅓㅁㅜㄴㄱㅗ>를 공연하였다. 제목에서 알 수 있듯이 보편화된 거문고를 분해하여 파편의 조각들을 유연히 재생하고자 했다. 슈퍼밴드2에 함께 출연했던 피아니스트 김준서가 피아노를 맡아 공연하였다.[6]
  • 2024 싱크넥스트에서는 소리꾼 유태평양, 현대미술가 류성실과 협업하여 <돌고 돌고>를 공연한다. 피아니스트 김준서도 함께한다. 주제는 돌고 도는 우리의 호젓한 청춘에 바치는 시 한 편.

  • 2024년 4월 19일, 20일에 거문고 연주자 박우재[7]와 함께 <검고막다른>을 공연하였다. 각자의 독주에 이어 서로의 자작곡 6곡을 듀엣으로 연주하였다. 박다울은 십년 전 대학 시절 박우재의 공연을 보고 '이런 식으로 음악을 해도 말이 되겠다, 머릿속으로만 생각했던 미래의 실물을 보니 확신이 생겼다'고 인터뷰했다.

  • 타악 연주자 방지원, 아쟁 연주자 김용성과 함께 방울성[8]으로 활동한다. 창작음악 뿐만 아니라 민속악, 정악 등을 두루 섭렵하는 개성 있는 작품들을 선보이며 전통음악의 지평을 확장하고 있다.
  • 문화체육관광부, 한국문화예술위원회의 온라인미디어 예술활동 지원사업에 선정된 제작사 박백수의 멤버이다. 박다울, 멀티악기 연주자이자 음악감독 백하형기, 생황과 피리 연주자이자 기획자인 한지수가 팀을 구성한다. 신나박이 Mother Earth



7. 여담[편집]


  • 국립국악중학교에 강사로 출강하고 있다.
  • 장남이며 두 동생이 각각 대금피리를 전공하였다.
  • 유애나다. 2022 골든디스크어워즈에서 카디 소속으로 오프닝 공연을 한 이후, 아이유에게 사인을 비롯한 선물을 받고 인스타그램에 피드를 올리기도 했다.
  • 코코더[9]에 꽤 진심인지 유튜브 계정까지 있다. 카디 소속으로 불후의 명곡에 출연하여 개인기로 코코더를 선보이기도 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4-06-15 17:33:12에 나무위키 박다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코코더] [1] 거문고 패러독스 버전. 수림 뉴웨이브 버전의 확장팩도 있다.[2] 이 팀 조합으로 인스타그램과 LG 광고를 진행했다.[3] 윤종신은 밴드에게는 퍼포먼스도 중요한 요소인데 이를 잘 살린 팀이라는 평가를 내렸다.[4] 음원으로도 발매되었다.[5] 영상이 비공개 처리되었다.[6] mbti가 같아서 그런지 약 10살의 나이 차이에도 불구하고 친하다. 공연 <교차모순>에 김준서를 게스트로 초청한 것을 시작으로 다양한 공연에서 함께한다.[7] 거문고 활 주법의 창시자. 앞서 실험적인 행보로 전통 음악계의 새로운 지평을 열어온 이들인 정대석을 1세대로, 허윤정을 2세대로 둔다면 박우재는 3세대라고 할 수 있다. 창작 음악 앙상블 ‘바람곶’, 거문고와 전자음악이 만난 프로젝트 그룹 ‘무토(MUTO)’ 활동과 함께 솔리스트로서 독자적인 행보를 보이고 있다.[8] 방지원의 방, 박다울의 울, 김용성의 성을 조합하여 만든 이름이다.[9] 코로 부는 리코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