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규현(농구)

덤프버전 : (♥ 0)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동명이인에 대한 내용은 박규현 문서
박규현번 문단을
박규현#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박규현의 수상 및 영예 / 역임 직책
[ 펼치기 · 접기 ]







[ 펼치기 · 접기 ]

1997 시즌1997-98 시즌1998-99 시즌1999-2000 시즌2000-01 시즌
이훈재
기아 / 포워드
김영만
기아 / 포워드
추승균
현대 / 포워드
양경민
삼보 / 포워드
양경민
삼보 / 포워드
2001-02 시즌2002-03 시즌2003-04 시즌2004-05 시즌2011-12 시즌 *
김승기
삼보 / 가드
박규현
LG / 가드
김주성
TG삼보 / 포워드
추승균
KCC / 포워드
김주성
동부 / 포워드
2012-13 시즌 **2013-14 시즌2014-15 시즌2015-16 시즌2016-17 시즌
양동근
모비스 / 가드
양희종
KGC / 포워드
양동근
모비스 / 가드
이승현
오리온 / 포워드
이승현
오리온 / 포워드
2017-18 시즌2018-19 시즌2019-20 시즌2020-21 시즌2021-22 시즌
박찬희
전자랜드 / 가드
박찬희
전자랜드 / 가드
문성곤
KGC / 포워드
문성곤
KGC / 포워드
문성곤
KGC / 포워드
2022-23 시즌2023-24 시즌2024-25 시즌2025-26 시즌2026-27 시즌
문성곤
KGC / 포워드
* 1997 시즌부터 2011-12 시즌까지는 '우수 수비상' 수상자. 우수 수비상은 2005-06 시즌 폐지되었다가 2011-12 시즌부터 다시 시상.
** 2012-13 시즌부터 '최우수 수비상'으로 시상.




[ 펼치기ㆍ접기 ]

1997 시즌1997-98 시즌1998-99 시즌1999-2000 시즌2000-01 시즌
김유택
기아 / 센터
김용식
나산 / 가드
신종석
나래 / 포워드
황문용
기아 / 포워드
강혁
삼성 / 가드
2001-02 시즌2002-03 시즌2003-04 시즌2004-05 시즌2005-06 시즌
정재근
KCC / 포워드
박규현
LG / 가드
표명일
KCC / 가드
이병석
모비스 / 포워드
이창수
모비스 / 센터
2006-07 시즌2007-08 시즌2008-09 시즌2009-10 시즌2010-11 시즌
우지원
모비스 / 포워드
김일두
KT&G / 포워드
함지훈
모비스 / 포워드
박종천
모비스 / 포워드
이현호
전자랜드 / 포워드
2011-12 시즌2012-13 시즌 *2013-14 시즌2014-15 시즌2015-16 시즌
이정현
KGC / 가드
변기훈
SK / 가드
주희정
SK / 가드
유병훈
LG / 가드
신명호
KCC / 가드
2016-17 시즌2017-18 시즌2018-19 시즌2019-20 시즌2020-21 시즌
정병국
전자랜드 / 가드
김주성
DB / 포워드
김낙현
전자랜드 / 가드
최성원
SK / 가드
장재석
현대모비스 / 센터
2021-22 시즌2022-23 시즌2023-24 시즌2024-25 시즌2025-26 시즌
전현우
한국가스공사 / 포워드
박지훈
KGC / 가드
* 2012-13 시즌부터 기존의 '우수후보 선수상' 대신 '식스맨상'으로 시상.




||
[ 펼치기 / 접기 ]

#20272C,#d3dade ||<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gcolor=#fff,#1f2023><rowbgcolor=#C30452><rowcolor=#ffff00> 1997~1999 || 1999~2000 || 2000~2002 || 2004~2006 || 2006~2009 || ||<width=20%> [[박재헌]] ||<width=20%> [[박규현(농구)|박규현]] ||<width=20%> [[오성식(농구)|오성식]] ||<width=20%> [[김영만(농구)|김영만]] ||<width=20%> [[박규현(농구)|박규현]] || ||<rowbgcolor=#c30452><rowcolor=#fff000> 2009~2010 || 2010~2011 || 2011~2012 || 2012~2016 || 2016~2017 || ||<width=20%> [[강대협]] ||<width=20%> [[조상현]] ||<width=20%> [[김현중(농구)|김현중]] {{{#000000,#ffffff →}}} [[전형수]] ||<width=20%> [[김영환(농구)|김영환]] ||<width=20%> [[김영환(농구)|김영환]] {{{#000000,#ffffff →}}} [[기승호]] || ||<rowbgcolor=#a50034><rowcolor=#fff><bgcolor=#c30452><color=#fff000> 2017~2018 ||<bgcolor=#c30452><color=#fff000> 2018~2019 ||<bgcolor=#a50034><color=#fff> 2019~2022 ||<bgcolor=#a50034><color=#fff> 2022~ || || ||<width=20%> [[조성민(농구)|조성민]] ||<width=20%> [[양우섭]] ||<width=20%> [[강병현(1985)|강병현]] ||<width=20%><bgcolor=#e0ffdb,#073300> [[이관희]] || ||




파일:LG 박규현 선수 주장 시절.jpg
이름박규현
출생1974년 4월 19일 (50세)
국적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출신지부산광역시
학력부산 대신초등학교
토성중학교
부산중앙고등학교
고려대학교 (체육교육학 / 졸업)
포지션슈팅 가드
신체185cm, 78kg, A형
종교불교
별명거미손
취미당구
프로 입단1997년 창원 LG 세이커스
소속 구단창원 LG 세이커스 (1997~2004, 2006~2009)
울산 모비스 오토몬스 (2004)
인천 전자랜드 블랙슬래머 (2004~2006)
등번호4, 5[1]

1. 개요
2. 선수 경력
3. 지도자
4. 관련 문서



1. 개요[편집]


대한민국의 前 농구 선수.


2. 선수 경력[편집]


파일:LG 박규현 선수.jpg
고려대학교 농구부 시절까지는 주목받지 못했으나, 창원 LG 세이커스 입단 후에는 극단적인 수비농구와 버나드 블런트를 중심으로 한 극단적인 공격농구로 대표되는 이충희 당시 LG 감독의 농구에서 그의 수비재능이 주목받기 시작했다. 이에 따라 준주전급으로 나서게 되어 LG의 창단 첫 2위 돌풍에 혁혁한 공을 세웠다.

가드로서 극강의 스피드를 앞세운 스틸 능력과 쏠쏠하게 터지는 3점을 앞세워 그는 KBL 최고의 식스맨 혹은 준주전으로써 입지를 굳혔고, 상대의 에이스 스탑퍼(특히 허재)로서 이름을 날렸다. 하지만 그에게는 가드로서는 당시 스타 출신 슈팅 가드였던 김병철과는 다르게 치명적인 리딩능력의 부재와 더불어 공격옵션이 다양하지 못하다는 단점이 있었고, 이것은 그가 주전으로 올라서지 못한 결정적인 원인이 되었다.

2004년 모비스로 트레이드 된 후 바로 FA를 선언하여 전자랜드로 이적했으나, 출장시간은 늘어난데 비해 위의 한계 때문에 공격에서 제 역할을 제대로 못했고, 팀도 흑역사의 정점을 찍었다.

2006~2007 시즌에는 4년만에 LG에 복귀하면서 주장으로서 팀의 정규리그 2위에 공을 세웠고, 그 후 두 시즌을 더 활약한 후 2008~2009 시즌을 대학 후배였으며 자존심이 강했던 슈퍼스타 출신으로 많이 혼냈던 현주엽과 함께 같이 은퇴를 했다.

LG 소속으로 최다경기 출장을 했는데 이후 2013-2014 시즌 자신의 은퇴 이후 후배들인 기승호양우섭 이전의 최다경기 출장의 주인공이 바로 창단 멤버였던 박규현이었다.

박규현은 353경기를 LG에서 활약했으며 전체 2위였다. 1위는 신선우 감독이 KBL 드래프트 1라운드 9순위로 뽑고간 기박사라 불렸던 기승호[2]의 356경기 였고 3위는 김진 감독이 트레이드로 데리고 왔던 자신과 비슷한 늑대 양우섭의 335경기였다.

실제로 박규현 선수는 2006-2007 시즌부터 2008-2009 시즌까지 LG의 3년 연속 주장이었다.[3]

팬들은 그에게 거미손이라는 별명을 주었으며 LG 팬들의 사랑을 받었던 조연이었다.


3. 지도자[편집]


사실 스타 출신이 아니라서 그런지 근황이 많이 나오는 편은 아니다.

한 때 그래도 고려대학교 농구부와 창원 LG 세이커스하면 떠오르는 선수였는데, 역시 유소년들을 지도하고 있는걸로 알려졌다. 고등학생이 아닌 중학생을 지도하고 있었다.

2019년 4월 모교이면서 고향인 부산의 동아중 코치로 재직하면서 부산시 농구협회에서도 일하고 있는 걸로 알려졌다. [달려라 부산체육] 59년의 전통 동아중 농구부


4. 관련 문서[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30 01:01:56에 나무위키 박규현(농구)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01-02 시즌 중반에 공익근무요원에서 소집해제 되면서 달았던 등번호다.[2] 실제로 쓴 건 강을준 감독이었고 작전타임때 현주엽 다음으로 많이 혼났던 블루워커였다.[3] 후임 주장은 2002 부산 아시안게임 대표팀 금메달의 주역이었던 조상현이었다. 이후 강을준 감독은 3년 연속 6강과 함께 퇴임을 하게 되었고 KBL 대표명장인 김진 감독이 부임한 이후 김현중과 임시주장이었던 전형수를 거쳐 김영환이 4년 반을 넘게 주장을 맡으면서 2013-2014 시즌 정규리그 우승의 주역으로 선배의 업적을 넘게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