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바이언(말)

덤프버전 :

이름Bayern
마번0050008
출생2011년 5월 3일 (13세)
성별수컷
털색갈색(Bay)
아비Offlee Wild
어미Alittlebitearly
성적15전 6승 [6-1-3-5]
총상금4,418,680 미국 달러
주요
우승
G1하스켈 인비테이셔널 스테이크스(2014)
브리더스컵 클래식(2014)
G2우디 스테판스 스테이크스(2014)
펜실베이니아 더비(2014)
레이팅WBRRS118 (2014)
주요 자마Leggs Galore(2017)
Biddy Duke(2017)
Hazelbrook(2018)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라온더파이터(2018)
상세 정보파일:한국마사회 로고.svg | HORSEPIA

1. 개요
2. 혈통
3. 현역 시절
4. 종마 생활
4.1. 주요 자마
5. 여담
6. 경주 성적



1. 개요[편집]


미국의 경주마. 미국에서 종마로 활약하다가 현재 최상기 마주가 소유하며 제주도 그레이트힐팜에서 씨수말 생활을 하고 있다.


2. 혈통[편집]


1대2대3대
Offlee Wild
2000
Wild Again
1980
Icecapade
Bushel-n-Peck
Alvear
1989
Seattle Slew
Andover Way
Alittlebitearly
2002
Thunder Gulch
1992
Gulch
Line of Thunder
Aquilegia
1989
Alydar
Courtly Dee
* Raise a Native 5×4 9.375%
* Native Dancer 5×5 6.25%


3. 현역 시절[편집]


3세에 데뷔하여 2연승을 하였다. 아칸서스 더비(G1)에서 3위를 하며 주목받았다. 그 다음 경기인 더비 트라이얼 스테이크스(G3)에서 코 차이로 가장 먼저 들어왔으나 곧 2위로 강착을 당했다. 2위인 Embellishing Bob와 반복적으로 부딪히며 문제를 일으켰기 때문이다.[1]

더비 트라이얼 스테이크스(G3) 영상
이후 바이언은 켄터키 더비 다음으로 펼쳐지는 트리플 크라운의 두 번째 경주인 프리크니스 스테이크스(G1)에 Napravnik 기수와 함께 출전하였다. 이 경기에서 12, 9-1의 배당률을 받았지만 켄터키 더비 우승마인 캘리포니아 크롬 에 밀려 10마리 중 9위로 들어오며 부진하였다. 바이언은 삼관의 마지막인 벨몬트 스테이크스(G1)에 참가하지 않았으며 대신 6월 7일에 펼쳐진 7f 경기인 우디 스테판스 스테이크스(G2)에 출전해 7.5마신 차이로 우승, 첫 대상경주 타이틀을 획득하였다. 그리고 이어진 하스켈 인비테이셔널 스테이크스(G1)에서 9f을 1:47.82에 골인하며 7마신 이상의 차이로 자신의 첫 G1 우승을 성공하였다.

2014 우디 스테판스 스테이크스(G2)

2014 하스켈 인비테이셔널 스테이크스(G1)

8월 23일에 트래버스 스테이크스에 참가하였다. 이 경기에서는 벨몬트 스테이크스 우승마인 토널리스트(Tonalist)와 켄터키 더비 준우승마 커맨딩 커브(Commanding Curve), 우드 메모리얼 스테이크스 우승마 위키드 스트롱(Wicked Strong)이 포함되었으며 바이언도 이 경기의 우승 후보로 꼽혔다. 그러나 바이언은 이 경기에서 10위로 들어오며 부진한 모습 보여주었다. 이후 펜실베이니아 더비(G2)에 참가하였다. 바이언은 이 경기에서 전 경기의 충격을 떨쳐내듯 좋은 모습을 보이며 9f을 1:46.96에 주파하며 트랙 레코드를 세웠다. 이러한 좋은 모습을 보이자 바이언 진영은 브리더스컵 클래식 참가를 표방하였다. 11월 1일, 바이언에겐 6.1/1의 배당률이 책정되었으며 이 경기에 쉐어드 빌리프(Shared Belief), 캘리포니아 크롬, 토널리스트 등의 말이 참가하였다. 바이언은 게이트를 빠져나온 이후 왼쪽으로 방향을 틀어 달아났고 토스트 오브 뉴욕(Toast Of New York)에게 레이스 내내 추격받았다. 그러나 바이언은 와이어 투 와이어로 브리더스컵을 우승하며 화려한 한해를 보냈다.

펜실베이니아 더비


2014년 이클립스 어워드에서 위와 같은 활약을 인정받아 바이언은 미국 챔피언 3세 수말 투표에서 캘리포니아 크롬에 이어 2위를 차지하였으며 미국 연도대표마 투표에서 캘리포니아 크롬과 메인 시퀀스(Main Sequence)에 이어 3위를 차지하였다. 2015년 1월 론진이 발표한 2014년 World's Best Racehorse Rankings(WBRR) 에서 바이언은 세계에서 9번째로 우수한 경주마로 평가받았다.

이렇게 내년을 기대받은 바이언이었지만 4세 시절에 급격하게 폼이 하락하며 2경기에서 연달아 최하위를 기록하는 모습을 보였다. 다음 경기에서 3위를 기록하였으나 일정치 않은 폼으로 인하여 우승과는 거리가 멀어졌다. 이에 따라 은퇴 여부에 대한 논의가 촉발됐고 2015년에 은퇴하였다.


4. 종마 생활[편집]


바이언은 은퇴 후 씨수말로 활동 중이며 현재는 안과의사 출신의 최상기 마주가 소유하고 있다. 바이언은 미국에서부터 블랙타입 우승마를 여럿 배출하였다. 비록 G1마는 배출하지 못했으나 G1 경주에 참가하는 우수한 말들을 생산 중이며 현재 G2와 G3에서 우승한 말은 자주 나타나고 있다. 국내에서는 라온더파이터가 두각을 드러내며 주목받고 있다.[2]


4.1. 주요 자마[편집]


  • 2017년산
    • Biddy Duke - 세나터 켄 매디 스테이크스(2020)
    • Leggs Galore - 부에나 비스타 스테이크스(2022)
  • 2018년산
    • Hazelbrook - 헨드릭 스테이크스(2022), 온타리오 패션 스테이크스(2022)
    • 라온더파이터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서울마주협회장배(2021),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KRA컵 클래식(2022),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오너스컵(2022)
  • 2019년산
  • 2020년산
    • Speed Boat Beach - 세실 B.데밀 스테이크스(2022)


5. 여담[편집]


  • 목장 인스타그램에 올라온 글에 의하면 당근에 사족을 못 쓴다고 한다. 목장 인스타 글

  • 외부마들과도 교배하는 같은 목장의 타 종마들과 달리 철저히 목장 소유의 종빈마를 대상으로만의 교배를 하고 있다. 이는 향후 라온더파이터 등의 후계종마가 등장해도 방침을 고수할 예정이라고.



6. 경주 성적[편집]



경주일경마장
경기명
그룹트랙순위기수1착마
(2착마)
2014년 (3세)
1.4산타 아니타메이든더트 7f1위게리 스티븐스(Prettyboyfloyd)
2.13산타 아니타조건전더트 8f1위(Tap it Rich)
4.12오크론아칸서스 더비G1더트 9f3위Danza
4.26처칠 다운스더비 트라이얼 스테이크스G3더트 8f2위[강착]Roise NapravnikEmbellishing Bob
5.17핌리코프리크니스 스테이크스G1더트 9.5f9위California Chrome
6.7벨몬트 파크우디 스테판스 스테이크스G2더트 7f1위게리 스티븐스(Top Fortitude)
7.27몬마우스 파크하스켈 인비테이셔널 스테이크스G1더트 9f1위마틴 가르시아(Albano)
8.23사라토가트래버스 스테이크스G1더트 10f10위V.E. Day
9.20팍스 레이싱펜실베이니아 더비G2더트 9f1위[레코드](Tapiture)
11.1산타 아니타브리더스컵 클래식G1더트 10f1위(Toast of New York)
2015년 (4세)
5.2처칠 다운스처칠 다운스 스테이크스G2더트 7f6위마틴 가르시아Private Zone
6.6벨몬트 파크메트로폴리탄 핸디캡G1더트 8f10위Honor Code
7.25델 마산 디에고 핸디캡G2더트 8.5f3위Catch A Flight
8.22델 마퍼시픽 클래식G1더트 10f9위라파엘 베자라노Beholder
9.26산타 아니타어썸 어게인 스테이크스G1더트 9f3위마틴 가르시아Smooth Roller


파일:BC_white_on_purple.jpg 브리더스컵 클래식
(GI)
우승마
[ 펼치기 · 접기 ]

1984
와일드 어게인
1985
프라우드 트루스
1986
스카이워커
1987
퍼디난드
1988
알리시바
1989
선데이 사일런스
1990
언브라이들드
1991
블랙 타이 어페어
1992
에이피 인디
1993
파일:프랑스 국기.svg 아르캉그
1994
콘선
1995
시가
1996
알파벳 수프
1997
스킵 어웨이
1998
어썸 어게인
1999
캣 시프
2000 · 2001
티즈나우
2002
볼포니
2003
플레전틀리 퍼펙트
2004
고스트재퍼
2005
세인트 리엄
2006
인바소르
2007
컬린
2008
파일:영국 국기.svg 레이븐즈 패스
2009
젠야타암컷
2010
블레임
2011
드로셀마이어
2012
포트 라니드
2013
무초 마초 맨
2014
바이언
2015
아메리칸 패로아
2016
애로게이트
2017
건 러너
2018
액셀러레이트
2019
비노 로소
2020
오센틱
2021
닉스고
2022
플라이트라인
2023
화이트 아바리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29 13:02:07에 나무위키 바이언(말)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해당 경기에 관한 구체적인 각주는 참조링크[2] 다만 반타작도 안 나오는 수태율이 문제.[강착] [레코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