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나이트(드라마)

덤프버전 : (♥ 0)




파일:MCULOGO WHITE.png
회색 배경: 일정 미공개
기울임체 : 예정된 작품

[ 영화 ]
[ 기타 ]

파일:abc백.png
시즌 1 · 2 · 3 · 4 · 5 · 6 · 7 시즌 1 · 2
파일:넷플릭스 로고 화이트.svg
시즌 1 · 2 · 3 시즌 1 · 2 · 3 시즌 1 · 2
시즌 1 · 2디펜더스퍼니셔
시즌 1 · 2
파일:hulu logo white.png
시즌 1 · 2 · 3
파일:프리폼백.png
클록 & 대거
시즌 1 · 2
단편 영상마블 원샷
컨설턴트 · 토르의 망치로 가던 길의 기묘한 사건 · 아이템 47
카터 요원 · 왕을 경배하라 · 팀 토르 · 팀 토르 2 · 팀 대릴
피터의 투 두 리스트
웹 시리즈WHiH 뉴스프런트
시즌 1 · 2
에이전트 오브 쉴드: 슬링샷
코믹스
타이인 코믹스
아이언맨: 아이 엠 아이언맨! · 아이언맨 2: 퍼블릭 아이덴티티 · 아이언맨 2: 에이전트 오브 쉴드 · 캡틴 아메리카: 퍼스트 벤저스 · 어벤져스 프렐류드: 퓨리의 대 주간 · 어벤져스: 블랙 위도우의 공격 · 아이언맨 2 어댑테이션 · 아이언맨 3 프렐류드 · 토르: 천둥의 신 어댑테이션 · 토르: 다크 월드 프렐류드 · 퍼스트 어벤져 어댑테이션 · 캡틴 아메리카: 윈터 솔져 프렐류드 · 가디언즈 오브 갤럭시 프리퀄 · 가디언즈 오브 갤럭시 프렐류드 · 어벤져스 · 어벤져스: 에이지 오브 울트론 프렐류드: 셉터드 아일 · 앤트맨 서곡 · 앤트맨 - 스콧 랭: 삼류 사기꾼 · 제시카 존스 · 캡틴 아메리카: 시빌 워 프렐류드 · 캡틴 아메리카: 시빌 워 프렐류드 인피니트 코믹 · 닥터 스트레인지 프렐류드 · 닥터 스트레인지 프렐류드 인피니트 코믹 · 가디언즈 오브 갤럭시 VOL. 2 프렐류드 · 스파이더맨: 홈커밍 프렐류드 · 토르: 라그나로크 프렐류드 · 블랙 팬서 프렐류드 · 어벤져스: 인피니티 워 프렐류드 · 앤트맨과 와스프 프렐류드 · 캡틴 마블 프렐류드 · 어벤져스: 엔드게임 프렐류드 · 스파이더맨: 파 프롬 홈 프렐류드 · 블랙 위도우 프렐류드ㆍ이터널스: 500년 전쟁
테마파크




Disney+ 오리지널
나이트 (2022)
Moon Knight
파일:279881432_1218499175355201_8083898340915262939_n.jpg
북미 포스터 ▼
파일:북미 2차 메인.jpg
장르슈퍼히어로, SF, 액션, 어드벤처, 다크 판타지, 드라마, 스릴러, 미스터리
공개일2022년 3월 30일 ~ 2022년 5월 4일
공개 회차6부작
러닝 타임285분 (4시간 45분)
제작사마블 스튜디오
제작진제작케빈 파이기
루이스 데스포지토
빅토리아 알론소
브래드 윈더바움
그랜트 커티스
오스카 아이작
모하메드 디아브
제레미 슬레이터
연출모하메드 디아브[1]
저스틴 벤슨
아론 무어헤드
극본제레미 슬레이터 外
음악헤샴 나지흐
촬영그레고리 미들턴
앤드류 드로즈 팰러모
편집아메드 하페즈
세드릭 네언-스미스
조안 소벨
미술스테파니 아셀라
의상메간 카스페를리크
출연오스카 아이작
에단 호크
가스파르 울리엘
F. 머레이 에이브러햄
메이 칼라마위 외
독점 스트리밍
Disney+

시청 등급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파일:영등위_12세이상_2021.svg 12세 이상 관람가 (1~2, 5~6화)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파일:영등위_15세이상_2021.svg 15세 이상 관람가 (3~4화)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TV-14_icon.png
링크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1. 개요
2.1. 예고편
2.2. 기타 예고편/공식 클립
2.3. 포스터
3. 시놉시스
4. 등장인물
7. 에피소드 목록
8. 평가
10. 기타
11. 둘러보기



1. 개요[편집]


파일:Moon_Knight_Title_Trailer.png
로고

어둠이 깨운 마블의 초월적 히어로

디즈니+에서 공개된 신규 히어로 문나이트 주연의 미국 드라마.


2. 공개 정보[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문나이트(드라마)/공개 전 정보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2.1. 예고편[편집]


디즈니+ 데이 티저 예고편티저 예고편[2][3]
슈퍼볼 예고편문나이트 소개 / 메이킹 영상
문나이트 파이널 30초 예고편나이트를 환영합니다 예고편


2.2. 기타 예고편/공식 클립[편집]


콘택트 렌즈 공식 클립어둠에서 깨어난 '시크릿 에이전트' 영상[4]
뉴 초이스 클립2화 미리보기
방어 클립[5]문나이트가 특별한 이유 클립
스킬 클립Here we go 예고편
아서 해로우의 의식(?)리멤버
레디문나이트 15초 예고편
스메쉬비밀
새로운 세계관"통제권을 줘" 공식 클립
진실완벽함
현상괴롭힘
피날레 예고편
[youtube()]
서사시


2.3. 포스터[편집]


파일:문나이트(드라마) 한글 티저 포스터.jpg
파일:문나이트 티저 포스터.jpg
티저 포스터북미 티저 포스터
파일:문나이트 (드라마) 한글 포스터.jpg
파일:문나이트 (드라마) 북미 포스터.jpg
1차 메인 포스터1차 북미 포스터
파일:280071576_1398644733882620_6551409527590102878_n.jpg
파일:북미 2차 메인.jpg
2차 메인 포스터2차 북미 포스터
파일:문나이트 (드라마) 스페셜 포스터.jpg
파일:문나이트 (드라마) 콜라보레이션 포스터.jpg
스페셜 포스터흑요석 작가 콜라보레이션 포스터


3. 시놉시스[편집]


기념품점에서 일하는 온화한 성격의 스티븐 그랜트. 해리성 정체 장애로 괴로운 나날을 보내고 있다. 일시적으로 기억을 잃는가 하면 또 다른 생에 대한 기억이 떠오르기 때문. 게다가 그와 몸을 공유하는 자아는 마크 스펙터라는 무자비한 용병이다. 그러나 몰려드는 적들을 상대하려면, 또 이집트의 강력한 신들을 둘러싼 위험한 미스터리를 풀어내려면 서로 다른 자아를 넘나들어야 하는 둘. 피할 수 없는 전쟁이 시작되고야 말았다.



4. 등장인물[편집]


이 문서에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 문서가 설명하는 작품이나 인물 등에 대한 줄거리, 결말, 반전 요소 등을 직·간접적으로 포함하고 있습니다.




5. 줄거리[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문나이트(드라마)/줄거리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6. 사운드트랙[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마블 시네마틱 유니버스/사운드트랙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7. 에피소드 목록[편집]



회차제목공개일러닝 타임각본감독
1금붕어 문제
The Goldfish Problem
2022. 03. 30.48분제레미 슬레이터모하메드 디아브
2슈트 소환
Summon the Suit
2022. 04. 06.53분마이클 캐스털라인저스틴 벤슨
아론 무어헤드
3친근한 성격
The Friendly Type
2022. 04. 13.53분뷰 드마요
피터 카메론
사비르 퍼자다
모하메드 디아브
4무덤
The Tomb
2022. 04. 20.54분알렉스 미네한
피터 카메론
사비르 퍼자다
저스틴 벤슨
아론 무어헤드
5도피처
Asylum
2022. 04. 27.50분레베카 커쉬
매튜 오튼
모하메드 디아브
6신과 괴물
Gods and Monsters
2022. 05. 04.44분제레미 슬레이터
피터 카메론
사비르 퍼자다
원안: 댜니엘 이만
제레미 슬레이터



8. 평가[편집]



















파일:Letterboxd 로고 화이트.svg
( XXX위
20XX-XX-XX 기준
)















## 🔶🔶🔶 일단 위키 링크는 사이트 정식 명칭 MYmovies.it로 걸어둠
파일:마이무비스.it 로고.png
[[https://www.mymovies.it/film/2022/moon-knight|
스코어
3.0 / 5.00
비평 별점
비평가 별점 / 5.00
관객 별점
4.0 / 5.00
]]
||



파일:Filmarks 로고.svg
별점 3.9 / 5.0





파일:Mtime Logo_Transparent.png
평점 7.1 / 10




파일:더우반 로고.svg
별점 7.9 / 10





파일:야후 키모.png
별점 4.5 / 5.0




파일:키노라이츠 화이트 로고.svg
지수 87.38% 별점 3.7 / 5.0







전반적으로 MCU에서도 괜찮은 완성도를 가진 명작으로 평가받고 있다. 매 화마다 긴장감을 놓을 수 없는 훌륭한 연출로 호평받고 있으며 특히 오스카 아이작의 다중 인격 연기를 비롯한 다양한 배우들의 호연도 호평 일색.[7] 전개 역시 예측 불가능한 방향으로 흘러가 보는 이들을 몰입하게 만든다. 스토리 흐름 또한 찬사를 받았다. 그리고 엔딩까지 적절한 템포와 인격분열의 뛰어난 묘사, 그리고 훌륭한 스토리를 보여줬다.

무엇보다도 MCU 작품임에도 단독 드라마만으로도 완결성이 높고 다른 MCU 작품들과의 연계가 극히 낮아 진입장벽이 낮다는 점도 매우 훌륭한 호평사항이다.[8] 그러나 과거 앤트맨이나 가디언즈 오브 갤럭시, 닥터 스트레인지처럼 기존 마블 세계관의 요소가 거의 나오지 않는 것이 동떨어졌다는 느낌을 받아 이질적이라고 생각하는 사람들도 있는 듯하다.[9]

다만 아주 난해하고 복잡한 연출 방식은 호불호가 갈리며, 다른 마블 드라마 시리즈들이 지적받았던 것처럼 액션 연출이 영화에 비해 느리고 어색하다는 평이 있다. 특히 콘슈와 암미트의 전투씬은 80년대 거대 괴수가 나오는 특촬물을 보는 듯 느리고 어색하다. 명색이 신들의 싸움인데 느릿하게 1타씩 주고받는 식으로, 드라마인 것을 감안해도 같은 디즈니 플러스에서 비교하자면 일반인인 팔콘과 기타 잡졸들과의 전투만도 못한 허접한 액션으로 보인다.[10] 무엇보다 주인공이 다중인격이라서 핀치에 몰리면 일대다로 엄청난 전투력을 발휘하는 인격이 튀어나오지만 정작 주인공은 그 순간을 전혀 기억하지 못하기에 가장 강렬하고 잔인할 것 같은 액션신은 다 통편집되고 결과만 나온다. 이게 초반만 그런 게 아니고 최종장 클라이맥스 전투 장면도 이렇다.

그러나 이 부분도 또다른 인격의 멋진 활약을 표현하는 것이 아닌 주인공의 혼란스러운 정신 상태를 표현하는 연출이기에 캐릭터성을 잘 살린 묘사라고 호평하는 의견도 적지 않다. 실제로 해당 장면에서는 필름이 끊기고 돌아오자마자 주변이 시체로 널부러진 장면과 함께 흔들리는 카메라와 혼란스러워하는 주인공의 연기로 연출을 매우 훌륭하게 했다. 아예 해당 장면을 패러디한 밈이 유행할 정도로[11]시청자들에게 강렬하게 남았다. 무엇보다도 여기서 또다른 인격의 전투신을 보여주면 쿠키영상에서 드러나는 충격적인 반전이 크게 부각되지 못했을 것이다.

문나이트슈트같은 경우는 '치유의 갑옷'이라고 언급되는 설정에서 감안해 치유의 상징인 붕대로 신체를 감싼 미라와 유사하게 표현한 묘사는 호평이지만, 원작의 우락부락하면서도 날렵한 인상이던 것과 다르게 조금 순둥하고 둥글해진 인상이라 아쉽다는 평가도 존재한다. 그러나 미스터 나이트의 슈트는 깔끔한 정장의 모습이면서도 특징을 잘 살린 연출로 호평을 받았다.

한편으로는 15세 등급을 받은 만큼 수위가 다소 높은 편이다. 4화에서는 인간의 장기를 분해하는 장면을 적나라하게 보여주며, 5화에서 나오는 마크의 과거사 역시 굉장히 어둡고 암울한 내용이라서 화제가 되었다.


9. 마블 시네마틱 유니버스와의 연계[편집]


다른 MCU 작품들과의 연계가 상당히 적은 편이다. 웬만한 팬들도 눈치채기 힘들 정도의 연계점이고, 완전히 독립된 작품으로 보고 이해해도 별 문제가 없다. 보통 MCU에 신규 등장한 히어로가 데뷔작은 독자적으로 활약해도 결말이나 쿠키를 통해 결국 다른 히어로와 연결될 것이라는 걸 암시하는 반면, 문나이트는 시즌2의 암시도 다른 히어로와의 연결점은 시사하지 않았다. 즉, 디즈니+ 론칭 이전의 MCU 드라마들과 비슷하다.


나중에 각본가가 밝히기를 원래는 더 연계될 예정이였다고 한다. 킨고는 카메오 출연으로 등장하려고 촬영까지 마쳤지만 이후 작업 중 기각 되었고, 정복자 캉[12] 이스터에그를 넣으려고 했다고 한다. 또한 콘슈가 직접 토르: 러브 앤 썬더에서 일어난 사건에 대해서 설명하려고 했으나, 러브 앤 썬더의 개봉이 문나이트 공개 이후로 결정되면서 스포일러 방지 차원에서, 작중 시점이 해당 작품의 전후 중 어디인지 조율이 되지 않아서 취소되었다고 한다.


10. 기타[편집]











11. 둘러보기[편집]






[1] 이집트계 미국인이다.[2] 백그라운드 음악은 Kid Cudi의 'Day'n'Nite'[3] 오스카 아이작과 에단 호크가 리액션한 영상 [4] 시크릿 에이전트 영상 에서는 문나이트가 쓰는 메인무기를 만드는 장면이 나왔다.[5] 시크릿 에이전트 예고편과 동일하지만, 몇가지 장면들이 추가되었다.[6] 원작에서 미드나이트 맨이라고 불렸으나 스탭롤에서 한 번도 언급되지 않았다.[7] 마크 스펙터는 미국식 영어를 구사하고, 스티븐 그랜트는 영국식 영어를 구사하는데도 오스카 아이작은 두 배역의 연기를 매끄럽게 잘 소화해냈다.[8] 특히 드라마의 종영과 동시에 개봉한 닥터 스트레인지: 대혼돈의 멀티버스높은 진입장벽으로 비판받고 있는 것과 대조적이다.[9] 나열된 영화 중 앤트맨에는 어벤져스 멤버인 팔콘과 어벤져스 업스테이트 기지가, 가디언즈 오브 갤럭시에는 인피니티 스톤이, 닥터 스트레인지에는 인피니티 스톤과 토르가 등장한다. 반면 문나이트에는 기존 마블 세계관과 연결지을만한 껀덕지가 극소수 이스터에그 외에는 존재하지 않는다.[10] 다만 같은 6화에서 나온 문나이트와 미스터 나이트의 전투 장면은 큰 호평을 받았다.[11] 라이트 세이버를 든 문나이트, 시빌 워 전투에 참전한 문나이트 등의 합성물들이 대표적이다.[12] 이집트에서 파라오를 했었다. 그리고 앤트맨 3에서 파라오 정복자 캉이 등장했다.[13] 완다 비전을 예로 들며 후속 시즌이 나올지, 후속 시즌 없이 영화에 출연할지 아무것도 모르지만 문나이트를 다시 보기까진 꽤 오랜 시간이 걸릴 것이라 얘기했다.[14] 스티븐은 소심한 성격의 이집토마니아이고, 현재 학계에 알렉산드로스 대왕의 무덤은 보고된 바가 없기 때문에, 고고학적으로 매우 중요한 유물을 처음으로 발견한 사람 치고 그가 보인 행동은 맥락상 부자연스럽다.[15] 카노푸스 단지는 미라를 만들 때 사자의 장기를 보관하던 매우 중요한 유물이기 때문에 이집트 문화 관점에서는 잔인함과 거리가 있다.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