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안 버스 목포-금동

덤프버전 : (♥ 0)

파일:무안군 CI.svg 무안군 농어촌버스
[ 펼치기 · 접기 ]

주의! 아래 서술된 번호들 중 몇몇 노선들은 지도와 정보가 다르니 유의바람. 무안군 군내버스 시간표 사이트를 참고하자(노선번호 X).
무안군내 버스뿐만이 아닌 무안군내를 경유하는 버스노선들도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 경우 파랑색(목포시) 또는 초록색(함평군)으로 노선을 구분해놓았으니 유의바랍니다.
시내좌석버스200[d]8001000[a]
공공형버스5055
농어촌버스무안100[e]500[e]280[b1]280-2
삼향11-22-19
2030-160245-1
280-1
일로108230230-1230-2
230-3230-4230-5230-6
230-7230-8232232-2
232-3232-4232-5232-6
232-7242242-7245-4
일로 - 지장
청계240-1242-1242-5270-1
270-3[b2]
몽탄250250-2250-3250-5
250-7250-8
망운225-1225-3225-6290-6
현경210240-3242-2290
290-1290-7290-8500[e]
운남220220-1[b1]220-2220-3
220-4220-5220-6220-7[b1]
220-8222222-2222-3
222-4222-5222-6225
해제210-1210-2210-3210-4
210-5210-6211211-1
211-2211-3211-4211-5
211-7225-5225-7260
[a] 코로나19로 인한 운휴 / [b1] 평일에만 운영 / [b2] 주말에만 운영 / [c] 하늘색 배경은 목포시 시내버스 / [d] 목포시와 공동배차 / [e] 함평군 농어촌버스



파일:무안교통 7008호.jpg

1. 노선 정보
2. 개요
3. 역사
4. 특징
4.1. 시간표
5. 연계 철도역
6. 둘러보기



1. 노선 정보[편집]


<"#ff7f00"> 파일:무안군 CI_White.svg 무안군 농어촌버스 목포-금동
기점전라남도 목포시 상동(목포종합버스터미널)종점전라남도 무안군 삼향읍 왕산리(금동)
종점행첫차06:40기점행첫차06:55[1]
막차17:20(평일)
14:50(휴일)
막차17:40(평일)[2]
15:10(휴일)[3]
평일배차1일 5회주말배차1일 4회
운수사명무안교통인가대수1대
노선목포종합버스터미널[4] 지산 → 월호 → 금동 → 장안두 → 마갈 → 왕산 → 마동 → 중등포 → 대양검문소 → 석현동 → 중앙병원 → 호반리젠시움 → 목포종합버스터미널

<"#ff7f00"> 파일:무안군 CI_White.svg 무안군 농어촌버스 목포-금동(막차)
기점전라남도 목포시 상동(목포종합버스터미널)종점전라남도 무안군 청계면 도림리(청계시외버스정류장)
종점행첫차18:30기점행첫차-
막차18:30막차-
배차간격1일 1회
운수사명무안교통인가대수-
노선목포종합버스터미널 → 마동 → 왕산 → 복구 → 마길 → 마갈 → 정안두 → 장안두 → 금동 → 월호 → 지산 → 청계


2. 개요[편집]


무안교통에서 운행중인 무안군 농어촌버스 노선으로 목포터미널과 무안군 금동마을을 오간다. 총 운행거리는 18.4km이다.

3. 역사[편집]


  • 2016년경 17:20 차량이 주말/공휴일에 운행하지 않게 되었다. 그러다 2021년 코로나19 여파로 아예 운행하지 않았다가 곧 평일 한정 운행으로 돌아왔다.

  • 2022년 10월 18일부터 2022년 11월 15일까지 목포시 시내버스 파업으로 인해 1-2번이 운행하지 않는 관계로 첫차와 막차를 제외한 나머지 시간대 양방향 모두 유교삼거리를 경유하며, 기존 버스 경로와 반대 방향으로 순환했었다.

  • 2022년 12월 12일부터 2023년 2월 13일까지 태원유진의 가스비 미납으로 인해 1-2번이 운행하지 않는 관계로 첫차와 막차를 제외한 나머지 시간대 양방향 모두 유교삼거리를 경유하며, 기존 버스 경로와 반대 방향으로 순환했었다.

4. 특징[편집]



  • 이 노선은 특이하게도 목포에서 출발하여 목포에서 종착하는 노선이다. 실질적으로 터미널에서 출발하여 터미널에 도착하는 일방순환노선에 가깝다.

  • 운행구간 중 절반은 비록 시 외곽이긴 하지만 목포시 구간이다.

  • 막차는 운행방향이 반대이며 지산군부대에서 목포로 가는 것이 아니라 청계면으로 간다.

  • 주말/공휴일에는 17:20분 차량이 운행하지 않기에 금동에서 목포로 들어가는 주말 막차는 14:50분이다.

  • BIS 기준 280-1번이지만, BIS 기준으로 280번인 무안-함평 노선과는 만나는 구간이 전혀 존재하지 않는다. 사실상 별개의 노선.

  • 카카오맵, 네이버 지도와 버스정보에선 245-3번이 금동을 경유하여 목포로 간다고 되어 있지만 그런 노선은 없다. 245-1번으로 뜨는 노선도 실제로는 이 노선의 막차이며 BIS 상에서도 245-1번이다.

  • 막차시간을 잘 맞출 경우 청계까지 100번, 200번과 비슷한 소요시간으로[5] 목포터미널에서 청계까지 더 싼 가격으로 갈 수 있다.

  • 목포터미널을 제외한 목포시 구간과 1번 국도 구간에서는 금동방면으로는 승하차 둘 다 불가능하고 목포방면으로는 하차만 가능하다.


4.1. 시간표[편집]


대략적인 통과 시간이므로 5분 전 미리 탑승준비 요함
무안 버스 목포-금동 운행 시간표
2020년 7월 15일 기준
운행 계통횟수목포금동청계비고
280-1106:4006:55
209:0009:18
312:5013:10
414:5015:10
517:2017:40평일만 운행
245-1618:3018:4019:05막차이며, 막차는 목포가 아닌 청계까지 간다.[6]

5. 연계 철도역[편집]


없음.

6. 둘러보기[편집]


파일:목포시 CI.svg 파일:무안군 CI.svg 목포시 ↔ 무안군 버스
목포시 시내버스

무안읍
청계면
몽탄면
삼향읍 · 일로읍
남악신도시
남악신도시: 남악신도시 지역만 경유.

무안군 농어촌버스

좌석버스
농어촌버스
50임성리역
55임성리역
임성리역: 임성리역만 경유.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28 10:38:26에 나무위키 무안 버스 목포-금동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대략적인 통과 시간[2] 대략적인 통과 시간[3] 대략적인 통과 시간[4] 지산군부대까지 무정차[5] 경로는 조금 더 돌아가지만 농어촌버스 특성상 수요가 더 적기 때문.[6] 청계에서 복길, 강정리 경유 후 청계로 돌아와서 무안교통까지 운행한 후 운행을 종료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