몬스터(만화)/애니메이션

덤프버전 : (♥ 0)

파일:나무위키+상위문서.png   상위 문서: 몬스터(만화)


몬스터 (2004~2005)
モンスター
MONSTER
파일:attachment/monster_title.jpg
작품 정보 ▼

장르스릴러, 미스터리, 범죄, 모험
원작우라사와 나오키
캐릭터 원안코사카 키타로
감독코지마 마사유키
감독조수나카무라 료스케
시리즈 구성우라하타 타츠히코(浦畑達彦)
캐릭터 디자인후지타 시게루
총 작화감독
총기 디자인야스다 요시타카(安田好孝)
프롭 디자인시미즈 히로시(清水 洋)
미술 감독이케다 유지(池田祐二)
색채 설계카마타 치카코(鎌田千賀子)
촬영 감독타키자와 류(滝澤 竜)
편집테라우치 사토시(寺内 聡)
음향 감독혼다 야스노리(本田保則)
음악하이시마 쿠니아키(蓜島邦明)
프로듀서야마시타 히로시(山下 洋)
나카타니 토시오(中谷敏夫)
타무라 마나부(田村 学)
유이 타쿠야(油井卓也)
마루야마 마사오
제작 프로듀서나카모토 켄지(中本健二)
애니메이션 프로듀서요시모토 사토시(吉本 聡)
애니메이션 제작매드하우스
제작닛폰 테레비
쇼가쿠칸
VAP
방영 기간파일:일본 국기.svg 2004. 04. 06. ~ 2005. 09. 27.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05. 10. 14. ~ 2006. 06. 24.
방송국파일:일본 국기.svg 닛폰 테레비 / (수) 00:40 → 00:5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투니버스 / (금) 23:00, 23:30 (2화 연속방송)
편당 러닝타임24분
화수74화
시청 등급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파일:19세 이상 시청가 아이콘.svg 19세 이상 시청가
스트리밍없음(한국 한정)[1]
관련 사이트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1] 판본이 만료되어서 이전에 VOD나 다운로드를 받은 상태가 아니라면 2020년대 부터는 해당 작품을 더빙, 자막 모두 합법적인 방법으로는 시청은 물론이고 사거나 다운해서 볼 수도 없다.

1. 개요
4. 음악
4.1. OP
4.2. ED1
4.3. ED2
5. 회차 목록
6. 해외 공개
6.1. 대한민국
6.1.1. 한국어 더빙 제작진
7. 평가



1. 개요[편집]


일본의 만화 몬스터를 원작으로 하는 TV 애니메이션.

원작이 완결되고 약 3년이 지난 2004년에 제작 및 방영했다. 감독은 코지마 마사유키, 제작사는 원작자 우라사와 나오키의 전작인 마스터 키튼 TVA를 만든 경력이 있는 매드하우스. 전 74화. 한국의 애니메이션 제작사 디알무비에서 동화 하청으로 참여했다.

일본에선 DVD 버전으로 광매체가 발매되기도 했으나 현재는 모두 절판. 블루레이 버전은 독일판이 유일하다.


2. 등장인물[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몬스터(만화)/등장인물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3. 설정[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몬스터(만화)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4. 음악[편집]



4.1. OP[편집]


OP
Grain
TV ver.
작곡하이시마 쿠니아키(蓜島邦明)
편곡
주제가 애니메이션 정보 ▼

콘티아사카 모리오
연출
작화감독아베 히사시(阿部 恒)
총 작화감독후지타 시게루



4.2. ED1[편집]


ED1
For the Love of Life
TV ver.
Full ver.
노래데이빗 실비언(David Sylvian)
작사
작곡데이빗 실비언(David Sylvian)
하이시마 쿠니아키(蓜島邦明)
편곡
주제가 애니메이션 정보 ▼

그림시미즈 히로시(清水 洋)

가사 ▼

And slowly, you come to realize
그리고 서서히, 너는 깨닫고 있어
It's all as it should be
가능성이 그 모든것이라는 걸
You can only do so much...
더 많은 것을 이룰수 있다는 걸
If you're game enough
너에게 괜찮은 게임이라면
You could place your trust in me
너는 네안의 진실에 이를수 있을꺼야
For the love of life
사랑을 위해
There's a trade-off
균형을 이루도록
We could lose it all
우리는 그 모든것을 잃을 수 있겠지만
But we'll go down fighting
가서 싸울거야
And what of the children
그리고 아이들의 그 무언가
Surely they can't be blamed
당연하게도 그들은 비난할 수 없어
For our mistakes
우리의 실수를
And slowly I've come to realize
그리고 서서히, 나는 깨닫고 있어
It's all as it should be
가능성이 그 모든것이라는 걸
That hiding space
그것은 숨겨진 장소
A lonely place
고독한 공간
How can the right thing be so wrong
어떻게 옳은 일이 잘못될 수가 있을까?
I've found mistakes
나는 그들이 속해있지 않는
Where they don't belong
실수를 발견했어
For the love of life
사랑을 위해
We'll defeat this
우리는 질거야
They may tear us down
그들은 우리를 찢어버리겠지
But we'll go down fighting
그러나 우린 가서 싸울거야
Won't we
그렇지 않니



4.3. ED2[편집]


ED2
Make it Home
TV ver.
Full ver.
노래후지코 헤밍(Fujiko Hemming)
작사하이시마 쿠니아키(蓜島邦明)
작곡
편곡
주제가 애니메이션 정보 ▼

그림시미즈 히로시(清水 洋)

가사 ▼

Yes 今この世界でわかること見つめて
Yes 지금 이 세계에서 알고 있는 것을 찾아서
Yes あなたの瞳の優しさを信じて
Yes 그대 눈동자 속의 상냥함을 믿고서
Make it home,
집으로,
To your land of harmony
그대의 조화의 땅으로
Make it home,
집으로,
To your land of purity
그대의 순수한 땅으로
Make it home...
집으로...
Yes...
Yes...
Yes 今この愛でわかること見つめて
Yes 지금 이 사랑으로 알고 있는 것을 찾아서
Yes あなたの心のぬくもりを信じて
Yes 그대 마음 속의 따뜻함을 믿고서
Make it home
집으로,
To your land of harmony
그대의 조화의 땅으로
Make it home,
집으로,
To your land of purity
그대의 순수한 땅으로
Make it home...
집으로...
Yes...
Yes...



5. 회차 목록[편집]


회차제목[1]각본콘티연출작화감독원작방영일
CHAPTER.1ヘルDr.テンマ
헤르 닥터 덴마
우라하타 타츠히코
(浦畑達彦)
코지마 마사유키코지마 마사유키아베 타쿠지
(あべたくじ)
1권日: 2004.04.07.
韓: 2005.10.14.
CHAPTER.2転落
전락
나카무라 료스케야마모토 젠야
(山本善哉)
日: 2004.04.14.
韓:
CHAPTER.3殺人事件
살인사건
타카하시 아츠시타카하시 토오루
(高橋 亨)
아카호리 시게오
(赤堀重雄)
日: 2004.04.21.
韓:
CHAPTER.4処刑の夜
처형의 밤
히라즈카 스미오
(平塚住雄)
테라모토 유키요시마즈 이쿠오
(嶋津郁雄)
日: 2004.04.28.
韓:
CHAPTER.5ハイデルベルクの少女
하이델베르크의 소녀
나카무라 료스케코바야시 토모키미나미 신이치로2권日: 2004.05.05.
韓:
CHAPTER.6失踪記事
실종사건
코지마 마사유키나가사키 켄지츠바타 요시아키
(津幡佳明)
日: 2004.05.12.
韓:
CHAPTER.7惨劇の館
저택의 참극
사토 신지이노우에 아카네
(井上 茜)
야마가타 아키
(山縣亜紀)
日: 2004.05.19.
韓:
CHAPTER.8追われる身
쫓기는 자
코지마 마사유키나카무라 료스케야마모토 젠야日: 2004.05.26.
韓:
CHAPTER.9老兵と少女
노병과 소녀
카타부치 스나오이케다 시게타카
(池田重隆)
타카오카 준이치
(高岡淳一)
日: 2004.06.02.
韓:
CHAPTER.10消された過去
지워진 과거
히라즈카 스미오테라모토 유키요시마즈 이쿠오3권日: 2004.06.09.
韓:
CHAPTER.11511キンダーハイム
511 킨더하임
카타부치 스나오나카무라 켄타로
(中村賢太郎)
미나미 신이치로日: 2004.06.16.
韓:
CHAPTER.12ささやかな実験
하찮은 실험
아오야마 히로시
(青山 弘)
하가 히토시日: 2004.06.23.
韓:
CHAPTER.13ペトラとシューマン
페트라와 슈만
후데야스 카즈유키이노우에 아카네야마가타 아키
야마자와 미노루
(山沢 実)
日: 2004.06.30.
韓:
CHAPTER.14残された男·残された女
남겨진 남자, 남겨진 여자
스나야마 쿠라스미
(砂山蔵澄)
나카무라 료스케나가사키 켄지키미즈카 카츠노리
(君塚勝教)
3권
4권
日: 2004.07.07.
韓:
CHAPTER.15ビー・マイ・ベイビー
Be My Baby
하카타 마사토시
(博多正寿)
와타나베 테츠야
(渡邊哲哉)
사쿠라이 마사아키
(桜井正明)
4권日: 2004.07.14.
韓:
CHAPTER.16ヴォルフの告白
볼프의 고백
와타나베 카즈오
(渡邊和夫)
니시무라 사토시#애니메이션 감독 니시무라 사토시미야모토 유키히로시마즈 이쿠오日: 2004.07.21.
韓:
CHAPTER.17再会
재회
나카무라 류
(中村 龍)
코바야시 토모키미나미 신이치로日: 2004.07.28.
韓:
CHAPTER.18五杯目の砂糖
설탕 다섯 스푼
우라하타 타츠히코모리타 히로유키이케다 시게타카미야와키 치즈루
(宮脇千鶴)
日: 2004.08.04.
韓:
CHAPTER.19怪物の深淵
괴물의 심연
요시노 토모미
(吉野智美)
아오야마 히로시하가 히토시5권日: 2004.08.11.
韓:
CHAPTER.20フライハムへの旅
프라이하임으로 가는 길
우라하타 타츠히코카타부치 스나오나카무라 켄타로시미즈 히로시
(清水 洋)
日: 2004.08.18.
韓:
CHAPTER.21幸せな休日
행복한 휴일
하야시 마사히로
(林 政宏)
타카하시 토오루타카오카 준이치日: 2004.08.25.
韓:
CHAPTER.22ルンゲの罠
룽게의 덫
후데야스 카즈유키젠 소이치로
(善 聡一郎)
미야모토 유키히로시마즈 이쿠오5권
6권
日: 2004.09.01.
韓:
CHAPTER.23エヴァの告白
에바의 고백
나카무라 류사토 유조아베 타쿠지6권日: 2004.09.08.
韓:
CHAPTER.24男達の食卓
남자들의 식탁
하카타 마사토시사카타 준이치
(坂田純一)
이케다 시게타카무라타 무츠미
(村田睦明)
日: 2004.09.15.
韓:
CHAPTER.25木曜日の青年
목요일의 청년
하야시 마사히로카네모리 요시노리나카무라 켄타로키미즈카 카츠노리日: 2004.09.29.
韓:
CHAPTER.26秘密の森
비밀의 숲
아베 나미코
(阿部奈美子)
시마자키 나나코
(島崎奈々子)
미야와키 치즈루日: 2004.10.06.
韓:
CHAPTER.27証拠の品
증거물
사이토 유키
(斎藤友紀)
나가사키 켄지타카오카 준이치7권日: 2004.10.13.
韓:
CHAPTER.28ただ一つの事件
하나의 사건
나카무라 료스케젠 소이치로미야모토 유키히로시마즈 이쿠오日: 2004.10.20.
韓:
CHAPTER.29処刑
처형
나카무라 료스케하마다 쿠니히코日: 2004.10.27.
韓:
CHAPTER.30ある決意
어떤 결심
나카무라 류타카하시 토오루아카호리 시게오日: 2004.11.03.
韓:
CHAPTER.31白日の下へ
훤한 대낮에
하카타 마사토시타카하시 아츠시코바야시 토모키미나미 신이치로7권
8권
日: 2004.11.10.
韓:
CHAPTER.32聖域
성역
사이토 유키나카무라 켄타로아베 타쿠지8권日: 2004.11.17.
韓:
CHAPTER.33子どもの情景
어린 아이의 정경
하야시 마사히로니이도메 토시야
(新留俊哉)
이케다 시게타카미야와키 치즈루日: 2004.11.24.
韓:
CHAPTER.34闇の果て
어둠의 끝
우라하타 타츠히코젠 소이치로미야모토 유키히로시마즈 이쿠오日: 2004.12.01.
韓:
CHAPTER.35名なしのヒーロー
이름 없는 영웅
모리타 히로미츠
(森田浩光)
아키츠 미나미
(あきつ南)
김동준
(金東俊)
日: 2004.12.08.
韓:
CHAPTER.36混沌の怪物
혼돈의 괴물
후데야스 카즈유키모리타 히로유키츠루오카 코지로
(鶴岡耕次郎)
이노우에 에이
(井上 鋭)
9권日: 2004.12.15.
韓:
CHAPTER.37なまえのないかいぶつ
이름 없는 괴물
나카무라 료스케타카하시 아츠시시미즈 히로시日: 2005.01.12.
韓:
CHAPTER.38我が目の悪魔
내 눈 속의 악마
코지마 마사유키나카무라 켄타로타카오카 준이치日: 2005.01.19.
韓:
CHAPTER.39目の中の地獄
눈 속에 비친 지옥
후데야스 카즈유키카네모리 요시노리나가사키 켄지하마다 쿠니히코日: 2005.01.26.
韓:
CHAPTER.40グリマー
그리머
우라하타 타츠히코미야모토 유키히로시마즈 이쿠오10권日: 2005.02.02.
韓:
CHAPTER.41511の亡霊
511의 망령
하야시 마사히로코바야시 토모키미나미 신이치로日: 2005.02.09.
韓:
CHAPTER.42超人シュタイナ─の冒険
초인 슈타이너의 모험
하카타 마사토시이토 토모히코아카호리 시게오日: 2005.02.16.
韓:
CHAPTER.43ス─ク刑事
스쿠 형사
나카무라 류소에타 카즈히로
(そえたかずひろ)
와카바야시 칸지
(若林漢二)
김동준日: 2005.02.23.
韓:
CHAPTER.44二つの闇
두 개의 어둠
사이토 유키타카하시 아츠시아베 타쿠지10권
11권
日: 2005.03.02.
韓:
CHAPTER.45怪物の残像
괴물의 잔상
후데야스 카즈유키나가사키 켄지야마모토 젠야11권日: 2005.03.09.
韓:
CHAPTER.46接点
접점
사토 유조이케다 시게타카마루 카나코
(丸 加奈子)
日: 2005.03.16.
韓:
CHAPTER.47悪夢の扉
악몽의 문
아사카 모리오나카무라 켄타로후쿠다 노리유키
(ふくだのりゆき)
日: 2005.03.23.
韓:
CHAPTER.48一番怖いもの
제일 무서운 것
니시카와 신고
(西川真剛)
젠 소이치로미야모토 유키히로시마즈 이쿠오11권
12권
日: 2005.03.30.
韓:
CHAPTER.49一番残酷なこと
가장 잔인한 일
후데야스 카즈유키타카하시 토오루미야와키 치즈루12권日: 2005.04.06.
韓:
CHAPTER.50バラの屋敷
장미의 저택
하야시 마사히로아키츠 미나미와카바야시 칸지김동준日: 2005.04.13.
韓:
CHAPTER.51怪物のラブレター
괴물의 러브 레터
나카무라 류츠루오카 코지로하마다 쿠니히코12권
13권
日: 2005.04.20.
韓:
CHAPTER.52弁護士
변호사
하카타 마사토시사이토 유키이케다 시게타카타카오카 준이치13권日: 2005.04.27.
韓:
CHAPTER.53決意
결심
후데야스 카즈유키시마자키 나나코아카호리 시게오日: 2005.05.04.
韓:
CHAPTER.54脱走
탈출
미야모토 유키히로시마즈 이쿠오日: 2005.05.11.
韓:
CHAPTER.55402号室
402호실
우라하타 타츠히코이토 토모히코아베 타쿠지13권
14권
日: 2005.05.18.
韓:
CHAPTER.56終わらない旅
끝나지 않는 여행
니시카와 신고타카하시 아츠시시미즈 히로시14권日: 2005.05.25.
韓:
CHAPTER.57あの日の夜
그날 밤
사이토 유키아오야마 히로유키나가사키 켄지아오야마 히로유키日: 2005.06.01.
韓:
CHAPTER.58いやな仕事
내키지 않는 일
후데야스 카즈유키나카무라 료스케야마모토 젠야日: 2005.06.08.
韓:
CHAPTER.59悪魔を見た男
악마를 본 남자
사카타 준이치이케다 시게타카츠바타 요시아키15권日: 2005.06.15.
韓:
CHAPTER.60知りすぎた男
너무 많은 것을 알아버린 남자
미야모토 유키히로시게타 토오루
(繁田 享)
日: 2005.06.22.
韓:
CHAPTER.61記憶の扉
기억의 방
나카무라 류모리타 히로유키나카무라 켄타로미야와키 치즈루日: 2005.06.29.
韓:
CHAPTER.62楽しい食卓
즐거운 식탁
니시카와 신고시마자키 나나코타카오카 준이치15권
16권
日: 2005.07.06.
韓:
CHAPTER.63無関係な殺人
무관한 살인
하카타 마사토시아키츠 미나미와카바야시 칸지김동준16권日: 2005.07.13.
韓:
CHAPTER.64赤ん坊の憂鬱
갓난아기의 공포
사이토 유키타카하시 토오루아카호리 시게오日: 2005.07.20.
韓:
CHAPTER.65ヨハンの足跡
요한의 발자취
하야시 마사히로츠루오카 코지로아베 타쿠지日: 2005.07.27.
韓:
CHAPTER.66おかえり
어서 와
하카타 마사토시타카하시 아츠시오자키 카즈타카
(尾崎和孝)
日: 2005.08.03.
韓:
CHAPTER.67ただいま
나 왔어
하야시 마사히로코지마 마사유키이케다 시게타카아오야마 히로유키17권日: 2005.08.10.
韓:
CHAPTER.68ルーエンハイム
루엔하임
후데야스 카즈유키사카타 준이치미야모토 유키히로시게타 토오루日: 2005.08.17.
韓:
CHAPTER.69安らぎの家
안식처
나카무라 켄타로야마모토 젠야日: 2005.08.24.
韓:
CHAPTER.70殺戮の町
살육의 마을
하카타 마사토시이토 토모히코와카바야시 칸지마루 카나코17권
18권
日: 2005.08.31.
韓:
CHAPTER.71超人シュタイナ─の怒り
초인 슈타이너의 분노
하야시 마사히로나카무라 료스케타카오카 준이치18권日: 2005.09.07.
韓:
CHAPTER.72名前のない男
이름 없는 남자
후데야스 카즈유키타카하시 토오루아카호리 시게오日: 2005.09.14.
韓:
CHAPTER.73終わりの風景
최후의 풍경
코지마 마사유키
타카하시 토오루
코지마 마사유키
츠루오카 코지로
츠바타 요시아키日: 2005.09.21.
韓:
FINAL CHAPTER本当の怪物
진짜 괴물
우라하타 타츠히코코지마 마사유키
이시즈카 아츠코
오오노 카즈히사
(大野和寿)
시미즈 히로시日: 2005.09.28.
韓: 2006.06.24.


6. 해외 공개[편집]



6.1. 대한민국[편집]


투니버스에서 『개국 10주년 기념작』으로 정식 수입해 2005년 10월 14일부터 2006년 6월 24일까지 약 8개월간 한국어 더빙판으로 방영했다. 연출은 신동식 PD.[2]

앞서 설명한대로 '개국 10주년 기념 대작'이라는 타이틀을 걸었기 때문인지 제작에 엄청나 공을 들인 것으로 유명하다. 대표적인 예로 147명이란 엄청나게 많은 성우진을 캐스팅 했는데[3] 이는 2023년 기준 한국어 더빙이 이뤄진 역대 외국 애니메이션을 통틀어 사상 최고 기록이다.[4] 당시 딱 한 곳을 제외한 대한민국의 모든 성우극회 소속 성우들이 출연했는데[5] 그 중엔 외화쪽에서 전문으로 활동하는터라 애니메이션에선 목소리 듣는게 극히 어려운 중견~원로급 성우들이 많아 팬들을 환호하게 만들었다. 2005년 기준 경력 30년차 이상의 베테랑 성우분들만해도 80명 가까우니 두말하면 입아픈 수준. 뒷이야기에 따르면 당시 대한민국 프로 성우 전체의 20~30%에 해당하는 대규모 인원이 나와서인지 오랫동안 연락도 못했다가 얼굴을 본 경우도 있어 상당히 반가워하기도 했다고. 그야말로 한국 더빙계의 괴물이었으며, 한국 성우계의 정점기를 장식한 작품이었다.

신동식 PD의 언급에 따르면 연극과 같은 심오한 부분이 있는 작품이라 작중에 나오는 중년 ~ 노역 연기의 사실성을 부여하고 꾸미지 않은 목소리를 원했기 때문에 그 나잇대에 맞는 중견 ~ 베테랑 성우분들을 섭외하는 강수를 뒀다고 한다.[6][7] 그리고 제작진 및 참여 성우들이 사전 캐릭터 연구와 시사를 철저히 했기에 퀄리티가 굉장히 좋게 나왔으며, 일부는 일본판을 능가하는 수준을 넘어 캐릭터 그 자체라는 평을 받은 것도 있다.[8] 주인공 덴마 박사 역을 맡은 구자형의 언급에 따르면 몇몇 중요 캐릭터는 원작 우라사와 나오키의 요청에 따라 녹음본을 일본으로 직접 보내는 테이프 오디션까지 봤다고 한다.

애니메이션에 등장하는 어려운 의학용어에 관해선 자막을 달아 설명하는 배려를 했는데, 21세기 연세클리닉 박수연 원장에게 감수를 받았다. 신동식 PD가 밝히기로는 박 원장의 전공은 신경외과가 아니라 내과지만, 일본어를 잘 하기 때문에 같이 일하게 되었다고 말했다. 일본 의학용어는 한국 의학용어와 다른 게 많아서 일본어를 아는 사람의 감수가 필요한 것이 그 이유.

2006년 6월 2일 밤 11시 30분에 방영된 68화부터는 새로 뽑힌 6기 성우들이 단역으로 목소리 출연했다. 참고로 6기 성우의 공채는 그 해 4월.

여담으로 파이브 몬스터 멤버들이 모두 출연한 애니메이션이다.

몬스터에 출연한 국내 성우진들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 가나다순 정렬.
MBC 성우극회권혁수, 김강산, 김기철, 김기현, 김명수, 김영훈, 김용식, 김용준, 김태훈, 김호성, 박영화, 박태호, 방성준, 손원일, 송준석, 신성호, 안장혁, 이상범, 이우신[9], 이윤연, 이인성, 이종혁, 장성호, 정남, 채의진, 최석필, 최성우, 최한, 탁재인, 한상혁, 황윤걸, 황일청
EBS 성우극회[10]기연호, 기영도, 김무규, 이의선[11], 조경모
CJ ENM 성우극회[12]김기흥, 김광국, 김나연, 김보영, 김선혜, 김영찬, 김장, 김정은, 김현심, 김현지, 김효선, 류점희, 박경혜, 박만영, 박성태, 서윤선, 손종환, 시영준, 신용우, 안영미, 양정화, 여민정, 윤여진, 이계윤[13], 이동은, 이병욱, 이소은[14], 이용신, 이자명, 이주창, 이지영, 이현진, 이호산, 전혜수, 정명준, 정선혜, 정승욱, 정유미, 정혜옥, 주자영, 최승훈, 최재익, 최재호, 최준영, 최지훈[15], 한신정, 한채언, 현경수, 홍범기

제일 막내 기수 성우들은 2006년 데뷔한 투니버스 6기 성우들이였고, 최고령은 1939년생인 정기항[16] 1960년 전 CBS 5기[17]로 데뷔한 황일청[18], 1964년 데뷔한 KBS 7기 성우 유강진[19], 안종국[20] 이렇게 4명의 성우가 제일 최고참이다. 워낙 쟁쟁한 원로급 성우분들도 출연하는터라 당시 중견급으로 불리던 20년차 성우들도 바짝 긴장했다고 하며, "난 XX이가 태어났을때부터 성우했는데~"라고 농담을 건네면 후배들이 벌벌 떨었다는 풍문이 전해진다(...).

여담으로 게스트 중 김기철, 방성준, 전숙경, 채의진은 본래 투니버스 성우극회 소속이었다가 다른 곳으로 이적한 성우들이다.[21]

주인공 텐마 켄조 역의 구자형 성우가 이 작품의 열렬한 팬이라 아직 애니화가 되지 않은 1990년대 후반 친분이 있는 신동식 PD에게 작품 찬양을 하고 혹여나 소식이 들리면 텐마 역을 자신에게 맡겨 달라는 언질을 줬다고 한다. 또한 뉴타입 2002년 인터뷰에서도 몬스터 예찬론을 펼치며 텐마와 요한 1인 2역을 해보고 싶다는 열의를 보였다. 그리고 이현진 역시 홍시호 성우의 유튜브 채널인 홍SHOW에서 본인이 가장 아끼는 배역으로 안나 리베르트를 꼽았다. 그리고 작중에서 창녀들이 간간히 나오는데, 보통의 애니메이션에선 이런 설정의 배역을 직접적으로 다루는 경우가 거의 없다시피하기 때문에 여자 전속 성우들이 "우리가 이 작품 아니면 언제 이런 연기도 해볼 수 있겠냐."며 열심히 시사를 했다는 일화도 있다.[22]

한가지 흠이라면 연출을 맡은 신동식 PD 특유의 중복 캐스팅이 많다는 점. 아래의 제작진 목록을 보면 알겠지만, 각종 단역의 중복 캐스팅이 정말 엄청나 보이지만 사실 저런 배역들 대다수가 대사가 길면 몇마디 하는 단역이고 이름있는 주조연에선 중복 캐스팅은 없어서 크게 거슬리지 않는다. 애초에 지나가는 행인까지 하나하나 성우를 다르게 캐스팅하는 건 프리랜서가 대부분인 한국 성우업계에선 불가능에 가까운 일이고[23] 제작 협력으로 특정 성우 사무소 소속 성우 다수를 투입하기로 사전 계약을 맺는 일본에서 주로 보이는 제작 방식이다.

또한 일본쪽 판권사의 비협조와 작품에 관련된 각종 판권이 대차게 꼬여 있어서 더빙판 제작 및 방영에 상당한 애를 먹었다고 한다. 대표적으로 엔딩 곡의 경우 노래의 저작권을 가지고 있는 음반 업체 쪽에 문제가 있어 반주만 겨우 내보낼수 있었고, 작품 내에 언급되는 '알 그린'은 아예 다루지도 못했다.[24] 또한 고증에 안맞는 이름을 가진 등장인물들이 있어 이를 바로잡기 위해 판권사측에 독일어로 표기한 인물 명단 자료나 설정집을 달라고 요청했는데 모두 씹혔다고 한다.

이 저작권 문제 때문에 본방 이후 재방송을 별로 못했으며, 2021년 현재는 판권 만료로 공식적인 루트를 통해 더빙판을 볼 수 있는 방법이 전무하다. 인터넷에 돌아다니는 건 전부 2005년 방영 당시 480p 화질의 불법 녹화본. 게다가 광매체도 이 영향을 받아 본진인 일본에서도 DVD로만 잠시 출시하고 절판된데다 블루레이는 아예 나오지도 못해 한국에서 정발할 가능성은 제로에 가깝다. 사실상 환상의 작품이 된 상황으로, 일본 애니메이션 명더빙작을 꼽으라면 항상 상위권에 위치하는터라 다시 보고 싶어하는 팬들이 정말로 많다는 걸 생각하면 정말 아쉬운 부분. 참고로 일본어 원판은 2010년대 초반 몇몇 IPTV에서 서비스 해줬지만, 현재는 계약 만료로 전부 내려갔고 넷플릭스라프텔 같은 곳에서도 수입을 해주지 않아 시청이 불가능하다.

신동식 PD가 본인 블로그에서 올린 몬스터 제작 관련 일화가 몇개 있는데, 흥미로운 내용이 많으니 참고하자.

  • 몬스터 성우 캐스팅 관련 일화
  • 몬스터 제작비 관련 이야기
  • 몬스터 제작관련 뒷이야기
  • 몬스터 녹음 당시 일화[25]
  • 카우보이 비밥과 몬스터[26]


6.1.1. 한국어 더빙 제작진[편집]


  • 목소리 출연
    • 구자형 - 겐조 덴마 役
    • 이현진 - 안나 리베르트 / 니나 / 어린 요한 / 어린 안나 / 어린 니나 / 아이2(19화) / 아이(34화) / 어린 쌍둥이들 役
    • 이계윤(이명선) - 의사 남성 약혼자 / 에바 하이네만 / 엄마(9화) / 여자(15화) 役
    • 온영삼 - 하이네만 원장 役
    • 권혁수 - Dr. 베커 / 주임경관(22화) / 독일인 교사 남자(49화) 役
    • 김익태 - Dr. 보이어 / 부프너 役
    • 이주창 - Dr. 아이젠 / 의사2(3화) / 경찰1(62화) / 살인범1(63화) 役
    • 박만영 - 오펜하이머 외과과장 / 신부(3화) / 남자(40화) / 벨보이(41화) / 형사(42화) / 정복경찰2(43화) / 형사(44화) / 남자2(46화) / 개구리1(47화) / 형사2(48화) / 트럭 기사(56화) / 경찰2(57화) / 교사(70화) / 군인(71화) / 경찰2(72화) 役
    • 강구한 - 룽게 경감 / 아나운서(1,2화) / 남자2(15화) / 직원2(38화) / 남자2(47화) / 그리머 父 役
    • 최문자 - 터키 여인(1화) / 간호사3(2화) / 간호사2(3화) / 터키 여인(52화) 役
    • 정유미 - 터키 여인의 아이(1화) / 간호사2(2화) / 간호사1(3화) / 여자아이(4화) / 베아데 / 간호사1(8화) / 잉게 / 간호사2(12화) / 여자(22화) / 어린 카알 / 여직원(29화) / 매춘부(30화) / 도서관 사서(33,34화) / 직원(35화) / 방송(36화) / 여자(37화) / 피해자2(39화) / 아이2(40화) / 아이3(41화) / 이지 / 매춘부3(49화) / 아이2(50화) / 부인(51화) 役
    • 이종구 - 바이스바하 / 무스타파 / 의사1(1화) / 이사장(3화) / 증인1(61화) 役
    • 방성준 - 아돌프 융켈스 / 의사2(1화) / 꽃집주인(5화) / 부장(7화) / 이와이 / 남자3(38화) / 피해자3(39화) 役
    • 정혜옥 - 간호사1(1화) / 간호사4(2화) / 간호사3(3화) / 요한 담임교사(5화) / 간호사2(8화) / 소녀(9화) / 디터 / 간호사(22화) / 여학생(27화) / 아이1(29화) / 여자1(34화) / 간호사1(36화) / 리포터(39화) / 역내 방송(40화) / 아이2(41화) / 아줌마(42화) / 리포터(44화) / 간호사(46화) / 매춘부2(49화) / 아이3(50화) / 톤 役
    • 이용신 - 간호사2(1화) / 간호사1(2화) / 카알 / 여자3(5화) / 간호사(11화) / 간호사1(12화) / 술집 손님(16화) / 여자2(17화) / 앙게리카 / 미망인(28화) / 로제마리 / 간호사(34화) / 간호사2(36화) / 아이3(40화) / 아이1(41화) / 혼더 / 매춘부1(49화) / 아이4(50화) / 슈멜 役
    • 정승욱 - 기자1(1화) / 놀던 / 볼프 부하1(16화) / 대표자1(17화) / 손님1(18화) 役
    • 주자영 - 헹켈 / 여자2(5화) / 룽게부인 / 경찰1(23화) / 아이2(29화) / 헤세부인 / 소년(33화) / 매춘부2(34화) / 아이(36화) /간호사(39화) / 아이1(40화) / 안토닌 / 야루카 / 간호사(48화) 役
    • 김기흥 - 간츠 / 가이델 / 경찰(7화) / 의사1(8화) / 그로스 / 마을사람1(13화) / 행인(15화) / 볼프 부하2(16화) / 볼프 부하1(17화) / 손님4(18화) / 형사4(19화) / 조직원1(21화) / 기자5(22화) / 주정뱅이(23화) / 학생4(25화) / 직원1(26화) / 남자1(27화) / 비서(28화) / 술집주인(30화) / 살인범(31화) / 노인2(33화) / 남자2(34화) / 야마모토 / 직원2(36화) / 사회자(37화) / 경찰1(40화) / 남자2(42화) / 정복경찰1(43화) / 투룬카 / 조사관 남자(45화) / 남자1(46화) / TV 뉴스 기자(46화) / 인터뷰 남자(48화) / 타르바하 / 슈트라스크 형사 / 취조관2(52,53화) / 바텐더(55화) / 경찰1(57화) / 남자(59화) / 아나운서(60화) / 바이스바하 부하1(63화) / 경호원2(65화) / 의사2(66화) / 경호원2(67화) / 남자(70화) / 남자1(71화) / 경찰1(72화) 役
    • 현경수 - 의사1(3화) / 남자1(5화) / 정원사(6화) / 형사1(7화) / 형사1(8화) / 아나운서1(10화) / 부동산 업자(11화) / 조직원1(16화) / 볼프 부하2(17화) / 형사2(19화) / 조직원3(21화) / 기자2(22화) / 학생3(25화) / 직원2(26화) / 남자2(27화) / 헤르츠 / 남자2(30화) / 직원3(36화) / 경찰2(40화) / 남자1(42화) / 사복형사1(43화) / 기자1(44화) / 초인 슈타이너 TV 나레이터(46화) / 남자3(47화) / 웨이터(48화) / 브라제크 형사 / 크링거 / 간수3(53,54화) / 학생2(55화) / 남자1(57화) / 마피아2(58화) / 마피아1(60화) / 남자4(67화) / 남자1(69화) / 아나운서(70,72화) / 슈타이너 役
    • 홍범기 - 기자(3화) / 오토 / 남자2(5화) / 형사2(7화) / 형사2(8화) / 회원(17화) / 형사2(18화) / 형사5(19화) / 경찰2(20화) / 기자1(22화) / 학생5(25화) / 학생(26화) / 웨이터(28화) / 남자1(30화) / 남자1(34화) / 직원1(35화) / 남자1(37화) / 남자1(38화) / 역원(40화) / 남자1(41화) / 체코인2(46화) / 형사1(48화) / 후바 / 학생1(55화) / 기자2(57화) / 마피아1(58화) / 마피아2(60화) / 총기판매상(60화) 役
    • 신용우 - 요한 리베르트 / 기자2(7화) / 볼프 부하3(16화) / 대표자2(17화) / 형사2(22화) / 체코인1(46화) / 형사3(48화) / 노인(51화) / 웨이터(52화) / 아나운서(53화) / 학생3(55화) / 남자2(57화) / 남자2(69화) 役
    • 탁원제 - 경찰(4화) / 노인(독일 해군, 5화) 役
    • 이윤선 - 니나 아버지(포르트너 씨) / 형사(4화) 役
    • 이향숙 - 니나 어머니(포르트너 부인) / 남자아이(4화) 役
    • 이봉준 - 크로네커 교수 / 경찰3(73화) 役
    • 한신정 - 클라라 役
    • 김광국 - 페터 / 기자2(6화) / 기자1(7화) / 의사2(8화) / 엠뷸런스 운전사(8화) / 라우파 / 남자3(71화) / 경찰3(72화) 役
    • 장승길 - 마우라 / 집주인(5화) 役
    • 한채언 - 여자1(5화) / 기자1(6화) / 아나 / 토마스 / 뮌 / 어린 시절의 밀란 코라슈 役
    • 박영화 - 메스너 / 헤스 / 형사(9화) / 상사(13화) / 형사(50화) / 경관 (51화)役
    • 김관진 - 뮤러 / 원장(8화) / 운전사(용달차, 8화) / 기사(9화) / 콜 경감 / 트럭운전사(20화) 役
    • 신성호 - 휴고 베른하르트 役
    • 김소형 - 헤켈 / 경찰1(11화) / 마을사람2(13화) / 형사1(14화) / 형사1(22화) / 호텔주인(23화) / 노인(34화) / 형사(35화) / 경감(73화) 役
    • 이우신(이병식) - 막스 / 의사(11화) 役
    • 서윤선 - 남자(10화) / 경찰2(11화) / 간수2(52~54화) 役
    • 최준영 - 카알 / 전직 공무원(11화) 役
    • 김병관 - 바텐더 / 하르트만 役
    • 최성우 - 에르나 / 아나운서2(10화) 役
    • 노민 - 슈만 / 형사2(14화) / 가게주인(터키인, 15화) / 호객꾼(49화) 役
    • 안경진 - 페트라 / 샤롯데 / 보모1(49화) 役
    • 김기철 - 하인츠 / 남자1(15화) 役
    • 김효선 - 간호사(13화) / 터키여인(15~17화) / 여자(18화) / 마르틴 엄마 役
    • 한상혁 - 게데리츠 교수 / 가게주인(13화) / 남자(14화) 役
    • 조동희 - 쇼네 / 부장 형사 / 갓난아기 / 손님5(18화) / 종업원(60화) / 경찰1(65화) / 의사1(66화) 役
    • 김정은 - 선배(13화) / 정원사(14화) / 스쿠 친구1(43화) / 기자3(44화) / 친구1(48화) 役
    • 류점희 - 슈만 부인 / 룽게 딸 / 여자2(34화) 役
    • 황윤걸 - 민타크 / 경호원(15~17화) / 형사(17화) / 형사1(18화) 役
    • 윤여진 - 콜레터 / 아이쉐 / 여자1(17화) / 종업원(18화) 役
    • 황일청 - 헬무트 볼프장군 / 대표자3(17화) / 손님3(18화) 役
    • 이병욱 - 조직원2(16화) / 방화범(17화) / 손님2(18화) 役
    • 한상덕 - 데니스 / 바텐더(16화) / 롯소 役
    • 이종혁 - Dr. 길렌 / 노인(28화) / 남학생(32화) / 남자2(37화) / 직원1(38화) / 남자2(62화) 役
    • 시영준 - 유르겐스 / 조직원2(21화) / 행인2(28화) 役
    • 김강산 - 형사3(19화) / 경찰1(20화) / 탐정(20화) 役
    • 김태훈 - 남자(19화) / 존스 (로버트 父) 役
    • 임수아 - 아이1(19화) / 레이어(로버트 母) 役
    • 박경혜 - 아이3(19화) / 프리츠 役
    • 김선혜 - 아이4(19화) / 바바라 役
    • 손종환 - 로베르트(헤세) / 기자4(22화) / 피해자1(39화) / 알프레드 바울 / 남자4(71화) 役
    • 홍승표 - 지벨 / 바주인(23화) 役
    • 김영훈 - 키포 기자(22화) / 남자(23화) 役
    • 윤기황 - 기자3(22화) / 경찰2(23화) / 남자(24화) 役
    • 김기현 - 한스 게오르그 슈발트 / 상사원2(35화) / 랑케 부하(50화) / 경찰4(73화) 役
    • 김장 - 카알 / 직원2(35화) / 남자3(37화) / 형사1(63화) / 조종사(73화) 役
    • 이자명 - 로테 프랑크 / 소년 엄마(33화) / 여자(38화) / 슬레이먼 / 어린 시절의 페트르 챠베크 役
    • 강희선 - 말고트 랭거 (헤렌카 노바코바) / 오르다 役
    • 성선녀 - 가짜 말고트 랭거 (붉은 힌덴부르크) / 린트너 부인 / 방송(35화) / 여자2(36화) 役
    • 장성호 - 쿤츠 / 학생1(25화) / 아나운서(31화) / 콘스탄틴 / 다카하시 役
    • 안장혁 - 마르틴 / 학생2(25화) 役
    • 장광 - 리하르트 役
    • 유강진 - Dr. 라이히와인 / 사회자(32화) / 아나운서(54화) / 경찰2(62화) 役
    • 이의선 - 린트너 씨 / 관리인(26화) 役
    • 김나연 - 리하르트 전처 役
    • 성병숙 - 리베르트 부인 / 여자(28화) / 메레스 / 여자1(36화) / 파베르 / 부인(50화) 役
    • 기연호 - 리베르트 씨 / 행인1(28화) / 신부(30화) / 가게 주인(36화) 役
    • 문영래 - 브로커 / 도서관 직원(33화) 役
    • 김태연 - 오토 / 바인들러 / 게르만 / 의사(39화) 役
    • 정기항 - 노인(32,33화) 役
    • 정선혜 - 사서(32화) / 마르틴 / 매춘부1(34화) / 사서(35화) 役
    • 전숙경 - 여주인(32화) / 마르틴 엄마 役
    • 여민정 - 룬 / 어린 덴마 / 보모2(49화) / 꼬마(50화) 役
    • 김용준 - 살인범(35화) / 직원1(36화) / 형사(36,37화) 役
    • 이장우 - 카우프만 / 상사원1(35화) / 남자2(38화) 役
    • 오인성 - 볼프강 그리머 / 프론트맨 役
    • 김정호 - 페드로프 (라인하르트 비요만) 役
    • 김명수 - 갈브레히트 / 아저씨(42화) 役
    • 민응식 - 제만 경감 / 노인(40화) / 남자2(41화) 役
    • 최재호 - 얀 스쿠 / 개구리2(47화) / 형사2(63화) / 형사1(65화) / 경찰5(73화) 役
    • 김태웅 - 헨리크 서장 / 남자(44화) / 노바크 형사 役
    • 서윤석 - 파테라 / 은행원(45화) 役
    • 윤세웅 - 야나체크 役
    • 윤병화 - 파로벡 / 기자4(44화) / 서장(45,48화) / 구급대원(46화) / 남자1(47화) 役
    • 이상헌 - 스쿠 친구2(43화) / 기자2(44화) / 친구2(48화) 役
    • 이상범 - 잔더 형사 / 사복형사2(43화) / 기자5(44화) 役
    • 이영주 - 스쿠 어머니 / 간호사(47화) 役
    • 김무규 - 신문기자(46화) / 개구리3(47화) / 사장(48화) 役
    • 안종국 - 랑케 役
    • 김세한 - 프란츠 보나파르트 / 경찰2(65화) / 포페 役
    • 설영범 - 페트르 챠베크 / 기자1(57화) / 간수(63화) 役
    • 이지영 - 밀로시 役
    • 손정아 - 미하르 / 아이1(50화) / 쌍둥이 엄마 안나 / 아이2(65화) / 리포터(73화) 役
    • 박태호 - 조바크 / 케파 役
    • 김영민 - 군터 미르히 役
    • 성완경 - 슈테판 바데만 / 간수4(54화) / 경찰3(62화) / 경감(63화) / 경찰6(73화) 役
    • 정남 - 이루자 바데만 / 프란츠 엄마(53,54화) 役
    • 조경모 - 취조관1(52,53화) / 웨이터(54화) 役
    • 서문석 - 간수1(52~54화) 役
    • 김호성 - 구스타프 / 간수3(52화) / 직원(53화) 役
    • 탁재인 - 재판관(52화) / 변호사(53화) / 프란츠 아빠(53,54화) 役
    • 전혜수 - 프란츠 / 헤레나 役
    • 손원일 - 리프스키 / 호텔 지배인(55화) / 남자3(67화) / 점원(68화) 役
    • 이진화 - 리베르트 부인 / 호텔 청소부 아줌마(55화) 役
    • 이호인 - 리베르트 / 손님(55화) / 택시 기사(56화) / 바텐더 / 남자2(71화) 役
    • 이재용 - 마르틴 役
    • 이장원 - 로비 役
    • 기영도 - 남자(58화) / 청소원(60화) 役
    • 정명준 - 크리스토프 役
    • 채의진 - 에다 / 어린 마르틴 役
    • 이윤연 - 딩어 / 부장(61화) / 남자1(62화) 役
    • 김용식 - 엘르노 / 밀란 코라슈 / 바이스바하 부하2(63화) 役
    • 송준석 - 증인2(61화) / 아나운서(62화) / 살인범2(63화) 役
    • 이동은 - 쇼걸(64화) / 아이1(65화) / 간호사(66화) 役
    • 최한 - 페트르 경호원1(에드발트, 64,65화) / 택시기사(66화) / 경호원1(67화) 役
    • 최석필 - 페트르 경호원2(64화) / 형사2(65화) / 아저씨(66화) 役
    • 차명화 - 어린 크리스토프 / 아줌마(66화) 役
    • 양석정 - 쌍둥이 아빠 / 요한친구(67화) 役
    • 이원준 - 남자1(67화) / 경찰(68화) / 마을 경찰(69화) 役
    • 이인성 - 마니아 / 남자2(67화) / 호텔주인(68화) 役
    • 이근욱 - 콘라트 / 남자5(67화) / 역원(69화) 役
    • 나수란 - 힐만 부인 (루트비히 주인) / 여자(67화) 役
    • 양정화 - 빔 / 간호사1(74화) / 수녀(74화) 役
    • 박은숙 - 프랑카 헤니히 부인 役
    • 최재익 - 헬베르트 役
    • 김규식 - 노인(68~70화) 役
    • 최옥희 - 노부인(68~70화) 役
    • 황원 - 헤니히 役
    • 윤미나 - 엘자 役
    • 김보영 - 아이1(68~70화) / 아이2(71화) 役
    • 김현지 - 아이2(68~70화) / 아이4(71화) 役
    • 안영미 - 아이3(68~70화) / 아이3(71화) 役
    • 이소은(이소영) - 여자1(70화) / 아이1(71화) / 여학생(74화) 役
    • 김현심 - 어린 그리머 / 여자2(70화) / 간호사2(74화) 役
    • 최승훈 - 경찰1(73화) 役
    • 이호산 - 경찰2(73화) 役
    • 김영찬 - 경찰7(73화) 役
    • 박성태 - 구급대원1(73화) 役
    • 최지훈 - 구급대원2(73화) 役

<우리말 제작>
의학용어 감수 : 박수연
그래픽 : 장우신
종합편집 : 이지혜, 장성준
번역 : 윤희선
녹음/믹싱 : 전문성
우리말 연출 : 신동식


7. 평가[편집]









원작의 스토리 분량이 상당히 많았음에도 방송화수가 충분했기 때문에 이런저런 생략없이 모두 충실히 살렸다.

우라사와 나오키의 그림을 잘 그리기로 유명한 애니메이터 후지타 시게루가 모든 에피소드의 총 작화감독을 담당해 우라사와 나오키의 그림을 거의 똑같이 재현해 작화로 좋은 평을 받는 작품이다.

연출 면에서도 감독 코지마 마사유키를 비롯해 매드하우스의 실력있는 연출가들이 다수 참가해 종종 원작을 초월하는 서스펜스 연출을 보여주기도 한다.[27]

원작의 후광을 제하더라도 애니메이션 자체로도 상당히 뛰어난 퀄리티의 작품으로 명작 애니메이션을 꼽을 때라면 언제라도 언급되곤 한다.

무라야마 코스케가 좋아하는 작품이라고 하며, DVD도 전권 소장하고 있다고 한다.

본작의 악역 요한 리베르트 요한 리베르트가 IGN 선정 최고의 애니메이션 악역 1위로 선정되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몬스터(만화) 문서의 r361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몬스터(만화) 문서의 r361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28 07:51:57에 나무위키 몬스터(만화)/애니메이션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국내 번역 제목은 정식 방영사인 투니버스 방영판을 기준으로 한다.[2] 마스터 키튼 애니메이션 더빙판의 연출을 맡은 경력이 있다.[3] 신동식 PD의 언급에 따르면 당초 133명으로 기획했으나, 뭔가 모자른 것 같아 14명을 더 기용했다고 한다. 참고로 이 중 10명은 당시 새로 입사했던 투니버스 6기 성우들.[4] 이전 기록은 헌터×헌터 구판의 80여명. 사실 150~200명에 가까운 성우진이 출연한 나루토 애니메이션, 원피스 애니메이션, 명탐정 코난이 1위를 먹는게 맞지만, 거의 20년 이상을 해온 초장기 방영작들인데다 다양한 단역들이 나올 수 밖에 없는 구조라 논외로 취급한다.[5] 참고로 대원방송 성우극회는 2008년에 1기 성우를 뽑았기 때문에 몬스터 더빙판이 만들어지던 시기엔 아예 존재하지 않았을 뿐더러, 프리랜서가 된 것도 2010년대의 일이다. 그리고 CPBC 성우극회는 1990년에 딱 한 기수만 뽑고 공채를 중단한데다 소속 성우 대부분이 애니메이션쪽 활동은 안하는터라 섭외가 불가능에 가까웠다. 그외에도 잘 알려지지 않았지만 MBC-CM 성우(MBC에서 1973~1983년에 별도로 CM 성우를 뽑았으며, MBC 성우극회와는 별도의 극회로 분류된다.)들도 CPBC 성우극회처럼 소속 성우들이 애니메이션쪽에서 활동하지 않아 출연한 사람이 없다.[6] 당시 투니버스 성우들 중에서 나잇대에 부합하면서 중년 및 노역 연기까지 가능한 성우가 없어 외부 출신 캐스팅을 할 수 밖에 없었을 것이다. 손종환, 신용우처럼 그쪽 연기가 가능한 실력파 성우진이 있긴 했지만, 각자 맡은 중요한 배역이 있어 영향을 줄까봐 포기한듯.[7] 신동식 PD가 약 5년 전에 연출한 마스터 키튼 더빙판에서도 이러한 성향의 성우 캐스팅이 이뤄졌다. 게다가 출연 성우진이 꽤나 겹치는 편.[8] 대표적으로 하인리히 룽게 경감을 맡은 강구한.[9] 방영 당시 이병식 명의.[10] 소속 성우들의 공통점은 과거 VHS 시절 동양비디오삼부프로덕숀에서 출시된 비디오물에 자주 나왔던 성우들이다.[11] EBS 5기 성우. 몬스터 이전엔 대원방송에서 방영한 인어의 숲에서 게스트로 출연한 적이 있다.[12] 투니버스에서 방송되었던 만큼 2006년 시점까지의 극회원 전원이 참여했다. 다만 당시 소속 중 유일하게 김선희는 이 작품에 불참하였다. 자세히는 알 수 없으나 내레이션이나 CM 외에는 성우 일감을 맡지 않고 쇼호스트 같은 다른 방면 활동에 집중하고 있어서 출연을 고사한 듯.[13] 방영 당시 이명선 명의.[14] 방영 당시 이소영 명의.[15] 방영 당시 최수현 명의.[16] 1960년에 연극부 활동한 탓인지 1967년 만 27세 나이에 TBC 3기(현재는 KBS 9기) 성우로 늦게 데뷔했지만, KBS 4기(1961년 4월 데뷔)인 김순원보다 1살 더 많기 때문에 가장 최연장자이다.[17] 1980년 언론통폐합 이후에는 KBS 3기로 분류. 참고로 출연 성우 중 언론통폐합 이전 CBS에서 먼저 데뷔했다가 나중에 KBS로 편입된 성우도 몇 명 있다.[18] 현재는 1965년 MBC 2기.[19] 데뷔는 TBC 1기로 했으나, 1980년 언론통폐합 이후 KBS로 편입.[20] 데뷔는 DBS 성우극회 2기로 했으나, 1980년 언론통폐합 이후 KBS로 편입.[21] 사실상 박선영, 표영재를 제외한 성우들 빼고 다 나왔다고 보면 된다. 표영재는 이후 배틀짱에서 캐스팅된다.[22] 여담으로 모 여자 성우가 지상파 외화에서 창녀 역할로 외화 데뷔를 하게 됐는데 지상파 심의상 자신이 나온 장면이 전부 잘려서 자신이 처음 녹음한 장면이 하나도 나오지 않아 속상했다고 밝힌 적이 있는데, 그런 일화를 생각하면 몬스터는 애니메이션치고 꽤 대단한 편이다.[23] 갓 데뷔한 전속성우 시절에는 이게 가능하다. 그래서 아래 캐스팅 목록을 보면 알겠지만, 더빙판 제작을 맡은 투니버스와 같은 모기업 소속인 CJ ENM 성우극회 전속 성우들의 단역 비중이 상당히 높은 편.[24] 일본쪽 판권사측에서 저작권 문제가 있는 요소들은 전부 배제할 것을 강하게 요구한터라 따를 수 밖에 없었다고.[25] 구자형 성우가 감기 기운이 있어 평소 목소리톤으로 연기가 안되는 문제가 있었는데, 최종화에서 텐마가 몸이 영 안좋은 상태임에도 빗속을 뛰어다니는 장면이 있다는 걸 기억하고 리얼함 살려보자며 최종화 녹음을 먼저 진행하는 식으로 일정을 연기하지 않았다는 내용.[26] 신동식 PD는 카우보이 비밥 TVA의 더빙판 연출 경력이 있는데, 몬스터 더빙판 제작이 한창이던 당시 카우보이 비밥 극장판: 천국의 문의 제작까지 맡게 되었다.[27] 서스펜스는 시간을 사용하는 연출이라 만화로 표현하기 힘든 연출이다. 원작자 우라사와 나오키는 이걸 만화로 잘 표현한다는 평을 받지만 역시 한계점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