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장소녀 캐트리

최근 편집일시 : (♥ 0)

파일:세계명작극장.png
세계명작극장
[ 펼치기 · 접기 ]

1969년1969~1970년
1972년
1971년1973년1974년
도로로와 햐키마루무민
신(新) 무민
안데르센 이야기산다람쥐 로키 처크알프스의 소녀 하이디
1975년1976년1977년1978년1979년
플랜더스의 개엄마찾아 삼만리꼬마 너구리 라스칼펠리네 이야기빨강머리 앤
1980년1981년1982년1983년1984년
톰 소여의 모험가족 로빈슨 표류기 이상한 섬의 플로네남쪽 무지개의 루시알프스 이야기 나의 안네트목장소녀 캐트리
1985년1986년1987년1988년1989년
소공녀 세라폴리아나작은 아씨들소공자 세디피터 팬의 모험
1990년1991년1992년1993년1994년
키다리 아저씨트랩 가족 이야기대초원의 작은 천사 부시베이비작은 아씨들 - 조의 아이들일곱 바다의 티코A
1995년1996년1996~1997년2007년2008년
로미오의 푸른 하늘명견 래시집 없는 아이 레미레 미제라블 소녀 코제트포르피의 기나긴 여행
2009년----
안녕 앤 ~Before Green Gables~----
A: KBS2에서 돌고래 요정 티코라는 제목으로 국내 방영을 한 적이 있다.




목장소녀 캐트리
牧場の少女カトリ
Katri, Girl of the Meadows
파일:목장소녀캐트리.png
작품 정보 ▼
장르동화
원작아우니 누오리바라(アウニ・ヌオリワーラ)
감독사이토 히로시(斉藤 博)
각본미야자키 아키라(宮崎 晃)
캐릭터 디자인타카노 노보루(高野 登)
미술아베 타이자부로(阿部泰三郎)
촬영 감독쿠로키 케이시치(黒木敬七)
편집세야마 타케시(瀬山武司)
녹음 감독코마츠 노부히로(小松亘弘)
음악후유키 토오루(冬木 透)
애니메이션 제작닛폰 애니메이션
제작닛폰 애니메이션
후지 테레비
방영 기간1984. 01. 08. ~ 1984. 12. 23.
방송국파일:일본 국기.svg 후지 테레비 / (일) 19:3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MBC / (월) 18:45
편당 방영 시간24분
화수49화
국내 심의 등급미정
관련 사이트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1. 개요
2. 개략
3. 등장인물
4. 주제가
5. 회차 목록
6. 여담



1. 개요[편집]


1984년 방영된 일본의 TV 애니메이션.

세계명작극장 시리즈의 한 작품으로, 핀란드의 작가 아우니 누오리바라(1883-1972)의 1936년작 소설인 '목장의 소녀'(원제 : Paimen, piika ja emäntä)를 원작으로 하고 있다. 세계명작극장 시리즈 내에서는 안데르센 이야기 이래로 북유럽을 무대로 한 두번째 작품이다. 하지만, 원작에서는 이름과 설정만 따왔고, 오싱의 영향을 받은 소녀입지전극으로 내용 대부분을 업그레이드하였다. 그리고 내용에 핀란드 입장에서 민감한 내용도 들어갔기 때문에 그곳에서는 방영되지 않았다고 한다.

한국에선 1984년 10월 29일부터[1] 1985년 5월 13일까지 <목장의 소녀 캐트리>란 제목으로 MBC를 통해 매주 월요일 오후마다 전파를 탔으며,[2] 일본판과는 달리 매 1화당 2편으로 묶어 방송했다. 방영 당시 번역은 허환, 녹음연출은 이창우 PD였다. (MBC 방영 당시 자료)


2. 개략[편집]


러시아 통치 아래에 있었던 1914년의 핀란드 대공국. 캐트리의 홀어머니는 생활비 문제로 독일로 간다. 그리고 그 직후 충격적 사태가 터져 소식이 두절된다. 조부모와 함께 사는 캐트리는 생계 문제가 시급해 다른 집에서 가축지기를 하게 된다.

마지막에는 1917년 10월 혁명으로 들어선 블라디미르 레닌 정부가 독일과의 전쟁을 중단하고[3], 핀란드는 독립을 선언(1917년 12월 6일)하고 핀란드 내전을 거친 이듬해 봄 투르쿠의 병원에서 티푸스에 걸린 어머니와 재회하게 된다. 종막에는 건강을 회복한 어머니와 함께 고향으로 돌아가게 된다.


3. 등장인물[편집]


  • 캐트리 우콘네미 - 성우는 오이카와 히토미 / 김진숙
  • 사라 우콘네미 - 캐트리의 엄마로, 성우는 후지타 토시코.
  • 마르티 할마 - 캐트리가 8살 때 가축을 돌보기 위해 고용된 소년으로 친구가 된다. 성우는 후루야 토오루.
  • 페카 - 펜티라 저택에서 가축을 돌보는 소년으로 캐트리와는 단짝이다. 성우는 시오야 요쿠.
  • 아키 란타 - 휴학한 대학생으로 핀란드 독립운동가. 성우는 이노우에 카즈히코.
  • 로타 쿠셀라 - 쿠셀라 저택의 안주인. 성우는 타키자와 쿠미코.
  • 클라우스 쿠셀라 - 로타의 아들. 성우는 코사카 마코토.
  • 소피야 닐라넨 - 아키의 친구로 등장시점에서는 인턴. 무려 운전면허가 있지만 운전실력이 거칠다. 일본어 위키백과에는 소피아가 아닌 소피야(ソフィヤ)임에 주의하라고 되어 있다. 성우는 마츠시마 미노리

한국판 성우진은 정희선을 비롯해 안정현, 우문희, 윤지하, 한영숙, 김용식, 이진성[4], 김윤정, 이영달, 전국근, 강미, 김기성[5], 김은영, 이수나, 송도영, 이규연, 김기현, 권혁수, 양윤선, 기경옥, 박인숙, 최성우, 유명옥, 박태호 등이 출연했다.


4. 주제가[편집]


  • 오프닝 테마 - 'Love with You ~사랑의 선물~'(Love with You ~愛のプレゼント~)
작사 : 이토 카오루, 작곡 : 미키 타카시, 편곡 : 사기스 시로, 노래 : 코바야시 치에

  • 엔딩 테마 - '바람의 자장가'(風の子守歌)
작사/작곡 : 이토 카오루, 편곡 : 사기스 시로, 노래 : 코바야시 치에


5. 회차 목록[편집]


  • 전화 각본: 미야자키 아키라(宮崎 晃) / 전화 연출: 사이토 히로시(斉藤 博)
회차제목콘티작화감독방영일
제1화別れ
이별
清瀬二郎[6]타카노 노보루
(高野 登)
日: 1984.01.08.
韓:
제2화友だち
친구
모리토모 노리코
(森友典子)
日: 1984.01.15.
韓:
제3화春のあらし
봄바람
사토 요시하루日: 1984.01.22.
韓:
제4화決意
결의
타카노 노보루日: 1984.01.29.
韓:
제5화出発
출발
호야 히로에
(保谷裕江)
日: 1984.02.05.
韓:
제6화主人
주인
모리토모 노리코日: 1984.02.12.
韓:
제7화奥様
부인
쿠스바 코조
(楠葉宏三)
사토 요시하루日: 1984.02.19.
韓:
제8화災難
재난
清瀬二郎모리토모 노리코日: 1984.02.26.
韓:
제9화愛情
애정
타카노 노보루日: 1984.03.04.
韓:
제10화約束
약속
쿠스바 코조사토 요시하루日: 1984.03.11.
韓:
제11화喧嘩
다툼
清瀬二郎모리토모 노리코日: 1984.03.18.
韓:
제12화手紙
편지
쿠스바 코조타카노 노보루日: 1984.03.25.
韓:
제13화素敵な贈物
멋진 선물
清瀬二郎사토 요시하루日: 1984.04.01.
韓:
제14화はじめての招待
첫 초대
모리토모 노리코日: 1984.04.08.
韓:
제15화おもいがけないお給料
뜻밖의 급료
쿠스바 코조타카노 노보루日: 1984.04.15.
韓:
제16화迷子になった羊
미아가 되어버린 양
清瀬二郎사토 요시하루日: 1984.04.22.
韓:
제17화狼を退治する日
원숭이를 퇴치한 날
모리토모 노리코日: 1984.04.29.
韓:
제18화二つの火事
두 가지 화재
타카노 노보루日: 1984.05.06.
韓:
제19화隣どうし
이웃끼리
쿠스바 코조사토 요시하루日: 1984.05.13.
韓:
제20화来た人と去る人
오는 사람과 가는 사람
清瀬二郎모리토모 노리코日: 1984.05.20.
韓:
제21화アベルが狙われた
아벨이 노려지고 있다
타카노 노보루日: 1984.05.27.
韓:
제22하春を待ちながら
봄을 기다리면서
清瀬二郎
쿠스바 코조
사토 요시하루日: 1984.06.03.
韓:
제23화熊と牛はどちらが強いか
곰과 소 어느 쪽이 강하지?
모리토모 노리코日: 1984.06.17.
韓:
제24화出会いと別れ
만남과 이별
타카노 노보루日: 1984.06.24.
韓:
제25화島での出来事
섬에서 있었던 일
清瀬二郎사토 요시하루日: 1984.07.01.
韓:
제26화助けてくれた人
구해준 사람
모리토모 노리코日: 1984.07.08.
韓:
제27화都会育ち
도시 출신
타카노 노보루日: 1984.07.15.
韓:
제28화新しい生活
새로운 생활
사토 요시하루日: 1984.07.22.
韓:
제29화夢を見ていた
꿈을 꾸었다
모리토모 노리코日: 1984.08.05.
韓:
제30화美しい白鳥のように
아름다운 백조처럼
타카노 노보루日: 1984.08.12.
韓:
제31화本が送られて来た
책을 부치고 왔어
사토 요시하루日: 1984.08.19.
韓:
제32화魔法の本と悪魔
마법의 책과 악마
모리토모 노리코日: 1984.08.26.
韓:
제33화喜びと悲しみ
기쁨과 슬픔
타카노 노보루日: 1984.09.02.
韓:
제34화ヘルシンキ行き
헬싱키 행
사토 요시하루日: 1984.09.09.
韓:
제35화父と娘
아버지와 딸
모리토모 노리코日: 1984.09.16.
韓:
제36화奥様の決意
부인의 결의
타카노 노보루日: 1984.09.23.
韓:
제37화迷子のアベル
미아 아벨
사토 요시하루日: 1984.09.30.
韓:
제38화それぞれの道
각자의 길
모리토모 노리코日: 1984.10.07.
韓:
제39화ハルマ屋敷のパーティ
할마 저택의 파티
타카노 노보루日: 1984.10.14.
韓:
제40화道づれ
길동무
사토 요시하루日: 1984.10.21.
韓:
제41화トゥルクの人々
투르크의 사람들
모리토모 노리코日: 1984.10.28.
韓:
제42화絵のない絵本
그림 없는 그림책
타카노 노보루日: 1984.11.04.
韓:
제43화自動車に乗った!
자동차를 탄다!
사토 요시하루日: 1984.11.11.
韓:
제44화にくらしい娘
밉살스런 딸
모리토모 노리코日: 1984.11.18.
韓:
제45화疲れた一日
지친 하루
타카노 노보루日: 1984.11.25.
韓:
제46화美しいもの
아름다운 것
사토 요시하루日: 1984.12.02.
韓:
제47화お土産のランドセル
선물받은 란도셀
모리토모 노리코日: 1984.12.09.
韓:
제48화ああ入学
아아 입학
타카노 노보루日: 1984.12.16.
韓:
제49화おかあさんの帰国
어머니의 귀국
사토 요시하루日: 1984.12.23.
韓:


6. 여담[편집]


  • 핀란드를 배경으로 한 작품답게 장 시벨리우스의 곡들이 BGM으로 많이 사용되었다.
  • 스페인, 독일, 프랑스, 이탈리아, 포르투갈, 네덜란드 등의 유럽 국가에서도 방영되었는데, 정작 본 작의 무대가 된 핀란드에서는 간접적이나마 핀란드 내전 등 민감한 주제가 언급되기 때문에, 방영된 적이 없다.[7] 여담으로 네덜란드판에서는 이름이 나탈리(Nathalie)로 바뀌었다.
  • 13화에서는 아키 란타가 칼레발라 4장에서 베이네뫼이넨의 대사를 읊조리는데 바로 아래 글이다.

아가씨, 다른 이들을 위해 할 게 아니라 이 몸을 위해 구슬 목걸이를 두르고 십자가를 가슴에 대 다오.

Eläpä muille, neiti nuori, kuin minulle, neiti nuori,kanna kaulanhelmilöitä, rinnanristiä rakenna,pane päätä palmikolle, sio silkillä hivusta!

이후에도 칼레발라 문구는 약방의 감초격으로 나온다.
  • 원작 소설은 다정한 사람들은 원작에는 대부분 등장하지 않는다. 내용도 막장 드라마가 따로 없으며 주인공의 처지도 애니판의 밝은 분위기가 안드로메다로 날아간 듯 안습이다. 원작의 등장인물 중 애니메이션에 등장하는 사람은 캐트리의 직계가족들 뿐이며 나머지 모든 인물은 애니메이션에 등장하지 않는다.
  • 원작은 러시아 혁명, 핀란드 내전과는 전혀 무관한 1850년대의 이야기이다.[8] 당시에는 인기가 꽤 있었는지 1938년 영화화되기까지 했다. 유튜브에는 없지만 동유럽 쪽 사이트 어딘가에는 영상이 있을 가능성이 높다. 핀란드어를 거의 알아듣지 못하겠지만 원작은 3부까지지만, 영화화된 건 2부뿐이며 나머지 부분의 내용은 지금 알기 어렵다. 원작 자체의 제목이 '목동, 하녀, 안주인'이라는 뜻으로, 하녀인 캐트리가 대단한 가문의 안주인이 된다는 것을 나타낸다. 그런데, 이 막장 스토리는 놀랍게도 실화로, 저자의 조모의 일생을 소설로 쓴 것이라고 전해진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2-07-12 06:18:32에 나무위키 목장소녀 캐트리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28 06:38:49에 나무위키 목장소녀 캐트리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해당 애니의 편성으로 <톰과 제리>가 화~금만 편성됐다.[2] 초기에는 오후 6시 45분이었으나, 1985년 1월 21일부터 6시 30분, 4월 29일부터 7시 10분으로 각각 변경됐다.[3] 48화에서 캐트리가 들어간 레스토랑에서 누구라고 직접 명시되진 않지만 레닌이 등장한다(...)[4] MBC 성우극회 3기.[5] MBC 8기 성우.[6] 사이토 히로시(斉藤 博)의 명의.[7] 대략 이란에서 이란 혁명이나 네팔에서 네팔 왕실 참극, 대한민국에서 6.25 전쟁, 중국에서 문화대혁명천안문 6.4 항쟁 등 자국 근현대사의 민감한 사건들을 보는 시선과 유사하다고 보면 될 듯 싶다.[8] 책이 나온 1930년대에는 이러한 일들이 생긴 지 20년도 되지 않은 시점이다. 상식적으로 그 시절에 살던 사람들이 아직도 건재한데 이런 스토리를 다룬다는 것이 가능한 일은 아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