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모두의마블 for kakao/캐릭터

덤프버전 :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모두의마블 for kakao



1. 개요
2. 카드 관련 요소
2.1. 카드 강화
2.2. 카드 조합
2.3. 카드 합성
2.5. 앨범 (구 외형변경)
2.6. 캐릭터 능력치
3. 목록
3.1. 일러스트
4. 재료 카드



1. 개요[편집]


모두의마블 for kakao의 캐릭터에 대해 다루는 문서. PC판엔 존재하지만 모바일엔 없는 캐릭터도 있고, 반대의 경우도 있다.

모두의마블의 캐릭터는 카드의 형태로 이루어져 있으며, 캐릭터 카드를 장착하는 것으로 해당 캐릭터를 사용할 수 있다. 초창기 카드들은 테두리가 두꺼워서 S 이상 등급의 황금색 겉면을 보고 지르는 유저들이 대다수였지만, 좀비맵 업데이트 이후 테두리가 얇고 상단에 캐릭터명이 쓰인 모습으로 바뀌었다. 캐릭터명을 상단에 명기하는 방식은 신선했지만, 테두리 면적이 감소했기에 S급 이상에서의 화려함이 소박해졌고 심지어 C~B 클래스는 너무 허전해져 비주얼이 영 좋지 않게 변해버린지라 업데이트 전 이미지를 바라는 유저들도 생겼다.


2. 카드 관련 요소[편집]



2.1. 카드 강화[편집]


캐릭터 카드는 다른 카드를 재료로 사용하여 강화를 할 수 있는데, C클래스는 5, B는 10, A는 20, A+과 S는 25, S+는 30레벨까지 강화할 수 있다. 본래는 강화 대상 카드와 강화 재료 카드가 같아야만 강화를 할 수 있었지만, 업데이트를 통해 모든 종류의 카드를 재료로 사용할 수 있게 되었다. 추가로 같은 카드는 경험치를 두배로 준다. 재료 카드 1장당 추가되는 강화 비용은 사용할 재료 카드의 등급이 강화 대상 카드보다 낮을수록 저렴해지며 재료 카드의 등급이 강화 대상 카드의 등급과 비슷하거나 재료 카드가 대상 카드보다 등급이 높을 경우 점점 비싸진다. S+카드 풀강을 할 때 운이 나쁘면 200만 골드가 넘게 든다. 강화할 때 마다 Success, Great, Excellent (각각 ×1, ×1.5, ×2)로 카드 경험치가 랜덤으로 상승하게 해놨다.

C 클래스는 5레벨, B 클래스는 10레벨, A 클래스는 20레벨, A+ 클래스와 S 클래스의 경우 25레벨이최고 레벨이다. 이 중 이벤트 카드, 재료카드, C~B급은 풀강 행운아이템을 얻을 수 없다. A~S 등급을 강화하면 풀강 행운아이템을 지급받을 수 있다. 대부분 캐릭터들의 풀강 행운아이템은 쓸데없는 것들이 많지만, 출시일 기준으로 뽑으면 괜찮은 행운아이템으로 스페이스 보드, 뮤즈의 미니 하프, 치히로의 풍월주 등의 예가 있었으니 긴혹 그런 캐릭터들을 얻으면 최고 레벨까지 강화해보자. S+ 클래스의 캐릭터를 최고레벨까지 강화하면 캐릭터별 고유 행운아이템 대신 S등급 행운아이템인 초월재료의 빛을 준다.며, 이는 S+ 행운아이템을 만들 때 필수 재료로 사용된다.단 역시 재료카드는 아무런 보상이 없고, 세력전 시즌1 캐릭도 주지 않는다.


2.2. 카드 조합[편집]


초창기에는 합성 대신 카드 조합이란 시스템이 있었다. 카드 5장을 넣고 조합을 누르면 룰렛 형식의 목록이 돌아가면서 카드를 1장 얻는 방식이다. 같은 등급의 카드를 넣을수록 상위 카드가 올라갈 확률이 높아졌고, 해당 등급보다 낮은 등급의 카드를 넣으면 어느 정도의 확률로 더 낮은 등급의 카드가 나왔다. 룰렛이 돌아가는 모습만 보면 상위 캐릭터를 무척 쉽게 얻을 수 있을 것 같지만, 여기에는 함정이 있어서 절대 생각만큼 쉽게 상위 캐릭터를 뽑을 수 없었다.

먼저 룰렛 내 등장하는 상위 캐릭터 목록과 실제 등장하는 상위 캐릭터의 빈도가 매우 차이난다는 것이 걸림돌이 되었다. 대박뽑기와 과거 있었던 일반뽑기처럼 초창기부터 눈속임으로 계파를 유도하는 시스템 중 하나로, 걷으로 보기에 재료가 되는 카드 등급보다 1~2등급 높은 클래스가 많이 포함되어 돌아가는 것 같지만 실제로는 그럴싸하게 C등급 캐릭터에서 룰렛이 멈춘다. A급 4장과 C급 1장이여도 운이 나쁘면 B나 C등급이 될 수 있었고, 다른 S급 캐릭터로 바꾸려다가 A+로 강등되는 경우도 다분했다. 이렇게 일반조합에서 C등급이 나오는 것은 매우 흔하며 A등급 이상의 클래스라면 십중팔구 망하기 때문에 행운조합을 사용해서 최저 등급을 보장하는 방법을 사용하지만, 행운조합은 등급에 따라 다이아 소비량이 극심하게 오르고 역시 재료 카드의 등급만 되돌아오는 경우가 많아 성장이 극심하게 어려운 방법이었다. 단순한 룰렛일 뿐이지만 유일한 승률 상승의 희망이었기 때문에, 당시 재화의 희소성과 겹쳐 이것 하나만으로 현재의 복잡하고 치밀하게 이루어진 현질유도 시스템만큼이나 매출을 올려먹을 수 있었다. 너무 운에 의존하는 비효율적 시스템이었고 스쁠 등장부터 카드조합 비용 조정도 문제가 되었기 때문에, 이후 카드 합성 시스템으로 바뀌었다.


2.3. 카드 합성[편집]


MAX레벨까지 강화한 카드 두 장을 일정량의 골드 지불로 한 단계 상위 등급의 카드로 올릴 수 있다. C끼리의 합성은 10000골드, B끼리는 25000골드, A끼리는 50000골드, A+끼리는 100000골드, S끼리는 200000골드. 하지만, 합성해서 나온 상위 카드는 1레벨의 카드이기 때문에 강화를 하지 않는다면 합성하기 전 카드보다 능력치가 낮다. 특히 S클래스와 S+클래스는 강화하기가 매우 어렵기 때문에 합성하기 전에 강화하면서 사용할 카드 정도는 남겨두자.

대규모 업데이트로 합성 시스템에 변화가 생겼는데, S클래스 카드의 경우 합성을 진행할 경우 왼쪽에 있는 카드의 합성 횟수가 1회 증가한다. 합성 횟수가 증가할수록 해당 카드의 S+클래스가 나올 확률이 증가하며, 10회를 모두 채우면 해당 카드의 S+클래스가 확정적으로 등장한다. 단, 10회를 채우기 전에 해당 카드가 나와도 합성 횟수가 0회로 초기화된다.

2.4. 카드 보석[편집]


해당 문서 참조.


2.5. 앨범 (구 외형변경)[편집]


2013년 12월 18일에 외형변경 시스템이 추가되었다. 다이아를 사용하여 일반 카드를 스킨 카드로 바꿀 수 있다. 예를 들어 혜나는 200다이아로 팝스타 혜나로 외형변경을 할 수 있다. 추가로 RP의 획득량을 약간 올려준다.

이후 외형 변경 시스템이 사라지고 캐릭터 앨범 시스템이 추가되었다. 컬렉션을 만족하면 보상을 지급하는 형식이다. 예를 들면, S 크리스틴, A+ 순찰대 타란튤라, A+ 팝스타 혜나, A+ 아라 네 장을 가지고 있다면 S 신부 크리스틴을 추가로 얻을 수 있다. 보상을 받을 때 기존에 있던 앨범 재료 카드는 사라지지 않는다. 같은 캐릭터라서 강화재료로 할시에 두배로 올려준다.

조건을 만족하는 카드를 가지고 있으면 카드를 한 장 더 주는 시스템이라 언뜻 보면 좋은 시스템 같지만 사실 돈마블현질유도가 숨겨져 있다. 앨범으로만 얻을 수 있는 신규 캐릭터를 출시하고 앨범을 다이아를 무지막지하게 사용해야만 완성할 수 있을 정도로 만들어 놓는 것. 이제 신규 캐릭터를 얻으려면 현질 뿐만이 아니라 운도 필요하게 되었다(...). 특히 S와 S+ 디바 모이라 카드를 얻기 위한 앨범 중 하나인 '모이라의 잔상'은 제작진이 얻을 수 없다고 공인해 진짜로 앨범으로 얻을 수 없는 캐릭터가 등장했다. 그래도 합성으로는 잘 나온다

2016년 12월 9일 이후 종료.


2.6. 캐릭터 능력치[편집]


모두의마블 for kakao/캐릭터 능력치 문서 참조. 다만 S+ 미만 잡

S+부턴 능력치에 특별한 변화가 없고, 대신 내장 행운아이템이라는 개념이 생겼다. 처음엔 자유도가 5개인데 성능까지 기존 행템과 동일하면 밸붕일 것을 우려했는지 기존 행템보단 수치가 낮았지만, 시간이 지나며 기존 행템의 상위호환에 해당하는 내장템도 등장하였다.

또 내장템이 등장한지 얼마 되지 않은 2014년을 지나며 2015년 상반기부터 모든 신캐들에는 스킬이라는 새로운 능력을 부여하였다. 이 역시 초창기인 사이퍼 때는 기존 행템들의 성능에 전혀 못 미치는 보조능력 정도가 대다수였지만, 얼마 지나지 않아 오히려 특별한 신규 능력들을 시험용으로 내장템보다 이쪽에 많이 몰아넣게 되었다. 그리고 이름도 처음엔 듀얼 스킬로 2인자 능력 정도로 취급했었지만, 2015년 하반기부턴 스페셜 스킬로 개명하고 부가설명으로 듀얼이라고 표기하면서 스킬이라는 능력의 가치 상승을 볼 수 있다.

오랜 시간이 지나 2016년부턴 내장템에도 스킬 같이 고유한 능력들을 많이 넣어주면서 내장템과 스킬의 경계가 다시 모호해졌고, 이렇게 점점 능력이 무분별하게 혼재된 탓에 2018년 월초캐 이벤트 공지에서 롤랑의 두 능력을 아예 '스킬 1', '스킬 2'로 명시하면서 사실상 둘의 차이는 없다고 봐도 무방해졌다. 그리고 자청비에 이르러서는 내장 행운아이템에 해당하는 능력 명칭을 '내장 스킬'로 혼용하였다. 캐릭터 전용스킬도 잠시 혼용했었다.


3. 목록[편집]


모두의마블 for kakao 캐릭터
[ 펼치기 · 접기 ]

기본적인 분류
C~A+ 등급
캐릭터 합성
합성 획득 불가한 S~S+ 등급
큐브 보상링크 캐릭터
별사탕 상점신규/복귀
합성 획득 가능한 S~S+ 등급
~2014년2015년~2016년2017년
2018년2019년2020년
2021년2022년2023년
(이벤트) 한정 저격
유형 없음다크화이트
세계여행리그각성
재료콜라보기타
전 캐릭터 출석부
[ 펼치기 · 접기 ]

데니스슬기카트리나야나기밍밍
스티브에르난데스아라휘트니타란튤라
아폴론콕스리차드우혜나뽀로로
크롱유라마리아노에드워드크리스틴
마리아노나나앙리빅토리아칼리프
모이라제시카다이애나코코크라우스
트리샤카디엘베아트리체사이퍼아르테스
코델리아앨리스춘자카인하루나
글라시엘뮤즈레이나헬로키티치히로
초선칼리루시데커드다니엘
클로이미라쥬엠마플레어프시케
잔다르크이안헬렌클레오파트라프로이트
스쿨드울드슐레이만베르단디
세헤라자데제니&프랭크레오나르도카라스클라리스
오딘로즈라비와 달토끼프레이왓슨
셜록캐넌레바테인니르바나로나
마이아소피마히로닉시에스텔
모르가나바리롤랑아그네스앙투아네트
루시아페이트유진아서리나
옹성우이올린강다니엘박우진라이관린
루시드베라데커드앨빈벤자민
클라우디아캐롤배트맨아테나무휼
에이스오데트레나루이미스티
아스타로트스텔라에단엘라니콜
시엘제로한채령연희모가로스와 우디
루디골로스로미카마엘라미나
베데트마구돌이루루벨아르테미스퀸 이사벨
엘리제므네미온윤랑에이바
쥬니쥬나가이아하령릴리
키문백작 카자드제월지크오데트
그레타마몬발키리 뮤즈염라오반장
랜디니케루아이아론메리엘
유리나엘린불주먹 아테나힐다
데스나오미크로우리안프릴
양치기 바리야누스트리스티만월윈터
샌디쇼콜라






3.1. 일러스트[편집]


###



4. 재료 카드[편집]


B~S+:경험치 2배

위 카드들은 두 배로 경험치를 올려준다. 같은 인물의 캐릭터를 넣을 경우나 이벤트 카드를 넣을 때도 2배로 경험치를 올릴 수 있다. 그러나 이벤트 카드는 리카,리코 출시 이벤트 당시 재료였던 에메랄드를 시작으로 대부분이 경험치 2배 취급을 받고 있지 않다. 단 하나의 예외로, 학생회장 연화와 부회장 하루나는 다른 인물이지만 같은 이벤트와 같은 공간적 배경에서 활동한다는 설정 때문에 서로 2배 취급을 받는다.

2018년부로 통통이, 로디, 해리 카드 대신 전부 '경험치 2배'라는 물약카드가 등장하게 되면서 앞의 재료 카드들은 더 이상 얻을 수 없게 되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28 01:15:21에 나무위키 모두의마블 for kakao/캐릭터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