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리치 더 크라운

덤프버전 :

파일:Reach_the_Crown.jpg
이름リーチザクラウン
Reach the Crown
출생2006년 2월 5일 (18세)
성별수컷
털색흑갈색 (靑鹿毛, 아오카게)
아비스페셜 위크
어미크라운피스(クラウンピース)
외조부Seattle Slew
생산자샤다이 팜
마주우스다 히로요시
니시야마 시게유키
조교사하시구치 코지로 (릿토)
→ 스기우라 히로아키 (미호)
성적26전 4승 [4-4-1-17]
총상금2억 5783만 6000엔
주요
우승
G2요미우리 마일러즈 컵(2010)
G3키사라기상(2009)
주요 자마쿄헤이(2014)
크라운 프라이드(2019)
아텔 아스트레아(2019)
상세 정보파일:netkeiba_logo.png | JBIS

1. 개요
2. 혈통
3. 커리어
4. 종마 생활
4.1. 주요 산구
5. 기타
6. 경주 성적



1. 개요[편집]


일본의 경주마.


2. 혈통[편집]


1대2대3대
스페셜 위크
スペシャルウィーク
1995
Sunday Silence
1986 파일:미국 국기.svg
Halo
Wishing Well
캠페인 걸
キャンペンガール
1987
마루젠스키
マルゼンスキー
레이디 시라오키
レディーシラオキ
크라운피스
クラウンピース
1997
Seattle Slew
1974 파일:미국 국기.svg
Bold Reasoning
My Charmer
Classic Crown
1985 파일:미국 국기.svg
Mr. Prospector
Six Crowns
* Hail to Reason 4×5 9.375%
* Bold Ruler 5×5 6.25%


3. 커리어[편집]




4. 종마 생활[편집]


새로운 마주가 된 니시야마 시게유키의 전폭적인 지원을 받아 2013년 애로우 스터드에서 종마 생활을 시작했다. 교배료 10~20만 엔을 오가던 흔한 마이너 종마였으나 2016년, 초년도 산구들이 데뷔하자마자 승리를 엄청나게 쌓아올리며[1] 자마 데뷔 2개월 만에 샤다이 스탈리온 스테이션에 입성하게 된다. 샤다이 스탈리온 스테이션이 일본 내의 다른 종마장에서 활동하던 종마를 영입한 사례는 리치 더 크라운이 최초.

그러나 GI 산구가 없는 점, 샤다이SS로 오면서 암말의 질이 크게 상승했음에도 초년도의 모습을 보여주지 못하는 점 등으로 인해 방출되어 애로우 스터드로 돌아가게 되었다. 현재 교배료는 50만 엔.

하지만 이후 샤다이 시절 산구들 중 하나인 크라운 프라이드가 더트 전선에서 나름 활약하고 있고, 애로우 스터드에서 지내던 같은 스페셜 위크 산구인 토호 자칼이 사실상 은퇴[2] 상태라서 사실상 유일한 스페셜 위크 직계 종마로 지내고 있다.

4.1. 주요 산구[편집]


2014년산

2019년산


5. 기타[편집]




6. 경주 성적[편집]



파일:일본중앙경마회 흰색 로고.svg 마일러즈 컵
(GII)
우승마
[ 펼치기 · 접기 ]

1970 · 1971
토메이
1972
롱 원
1973
타이 템
1974
마치카네 하치로
1975
키타노 카치도키
1976
실버 랜드
1977
골드 이글
1978
인터 글로리아
1979
뱀브턴 코트
1980
니치도 아라시
1981
카츠라노 하이세이코
1982
카즈시게
1983
롱 히엔
그레이드제 도입, 중앙 GII 지정 후
1984
롤러 킹
1985
니혼 필로 위너
1986
롱 하야부사
1987
콘서트마스터
1988
미스터 보이
1989
미스틱 스타
1990
메지로 워스
1991 · 1992
다이타쿠 헬리오스
1993
니시노 플라워
1994
노스 플라이트
1995
빅 쇼리
1996
니혼 필로 프린스
1997
오스미 타이쿤
1998
빅 선데이
1999
에가오 오 미세테
2000
마이네르 맥스
2001
조텐 브레이브
2002
밀레니엄 바이오
2003
로엔그린
국제 GII 지정 후
2004
마이 솔 사운드
2005
로엔그린
2006
다이와 메이저
2007
콘고 리키시 오
2008
컴퍼니
2009
슈퍼 호넷
2010
리치 더 크라운
2011 · 2012
실포트
2013
그랑프리 보스
2014
월드 에이스
2015
레드 아리온
2016
클루거
2017
이슬라 보니타
2018
선그레이저
2019
다논 프리미엄
2020
인디 챔프
2021
케이던스 콜
2022
소울 러시
2023
슈넬 마이스터



파일:일본중앙경마회 흰색 로고.svg 키사라기상
(GIII)
우승마
[ 펼치기 · 접기 ]

1961
스기히메
1962
라이징 마사루
1963
아이즈 불
1964
플라밍고
1965
다이 코터
1966
다이슈
1967
시바후지
1968
마치스
1969
타카츠바키
1970
타니노 무티에
1971
히카루 이마이
1972
히데 하야테
1973
쿠리 온워드
1974
키타노 카치도키
1975
쓰리 플럼
1976
스피릿 스왑스
1977
류 키코
1978
인터 구시켄
1979
네하이 제트
1980
노토 다이버
1981
리드 원더
1982
와카 텐잔
1983
니혼 필로 위너
그레이드제 도입, 중앙 GIII 지정 후
1984
골드 웨이
1985
이부키 커널
1986
후미노 어플러즈
1987
토치노 룰러
1988
마이네르 프리셰
1989
나이스 나이스 나이스
1990
하쿠 타이세이
1991
심볼리스키
1992
히시 마사루
1993
츠지 유토피안
1994
삼손 빅
1995
스키 캡틴
1996
로열 터치
1997
히코 키구모
1998
스페셜 위크
1999
나리타 탑 로드
2000
실버 콕핏
2001
아그네스 골드
2002
메지로 마이어
2003
네오 유니버스
2004
마이네르 브룩
2005
콩고 리키시오
2006
드림 패스포트
2007
아사쿠사 킹스
2008
레인보우 페가수스
국제 G3 지정 후
2009
리치 더 크라운
2010
네오 반돔
2011
토센 라
2012
월드 에이스
2013
타마모 베스트 플레이
2014
토센 스타덤
2015
루주 벅
2016
사토노 다이아몬드
2017
아메리카스 컵
2018
사토노 페이버
2019
다논 체이서
2020
코르테지아
2021
라곰
2022
마텐로 레오
2023
흐림팍시





[1] 29두가 총 124번 출주해서 8두가 12승, 그 중 1두는 중상 2승을 거뒀다. 이 1세대의 전체 성적은 출주두수 32두에 승마두수 25두, 승마율 78.125%. 아무리 기본적인 산구 수가 적다지만 리치 더 크라운이 받았을 암말의 질을 생각하면 아주 높은 수치다.[2] 일단 종마는 교배요청이 들어오면 애로우 스터드로 가서 하겠다고 하지만 애로우 스터드를 나오기 전부터 산구수는 한 자리 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