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버급 초계함

덤프버전 : r (♥ 0)

파일:영국 국기.svg 현대의 영국 왕립해군 군함 파일:영국 해군기.svg
[ 펼치기 · 접기 ]

잠수함재래식암피온급R, 익스플로러급R, 포어포이즈급R, 오베론급R, 업홀더급R
SSN드레드노트초대R, 밸리언트급R, 처칠급R, 스위프트셔급R, 트라팔가급, 아스튜트급
SSBN레졸루션급R, 뱅가드급, {드레드노트급}
고속정게이급R, 다크급R, 브레이브급R, 아일랜드급R, 시미터급R, 아처급
원양초계함캐슬급R, 캐슬급(원양초계함)R, 리버급
호위함대잠 호위함12형 휘트비급R, 14형 블랙우드급R, 15형M/R,
16형M/R, 21형 아마존급R
방공 호위함41형 레오파드급R, 61형 솔즈베리급R
다목적 호위함12M형 로스시급R, 12I형 리앤더급R, 81형 트라이벌급R,
22형 브로드소드급R, 23형 듀크급,
{26형 시티급}, {31형 인스퍼레이션급}, {32형 호위함}
구축함배틀급R, 데어링급R, 슈퍼 데어링, 카운티급R, 82형 브리스톨급T/R, 42형 셰필드급R, 45형 데어링급
순양함밸파스트, 셰필드R, 넵튠급, 미노토어급, 타이거급R
전함뱅가드R
상륙함LPH오션급R
LPD피어리스급R, 베이급RFA, 알비온급
LSL라운드 테이블급RFA
경항공모함센토어급R, 인빈시블급R
항공모함빅토리어스M/R, 오데이셔스급M/R, CVA-01급, 퀸 엘리자베스급
소해함벤처러급R, 윌튼급R, 리버급R, 헌트급, 샌다운급
군수지원함RFA리프급초대~4대RFA/R, 타이드급초대RFA/R, 로버급초대RFA/R,
포트 로자리급RFA, 포트 빅토리아급RFA, 웨이브급RFA, 타이드급2대RFA, {FSS}RFA
항공훈련함/병원선RFA아거스RFA
※ 윗첨자R: 퇴역 함선
※ 윗첨자M: 개조/개장 함선
※ 윗첨자T: 기존 함을 연습함으로 전용
※ {중괄호}: 도입 예정 함선
※ 윗첨자RFA: 왕립 보조전대(Royal Fleet Auxiliary) 소속 함선
취소선: 계획만 되거나 취소된 함선




운용국 둘러보기 ▼
            
파일:태국 해군 함수기.svg 현대의 태국 왕립해군 군함 파일:태국 해군 함선기.svg
[ 펼치기 · 접기 ]

잠수함{S26T급}
초계정T91급R, T93급R, 사따힙급, 토르 991급, 토르 994급, 토르 111급, 촌부리급, T11급, 후아힌급, 램싱급
원양초계함크라비급, 파타니급
미사일 고속정Ratcharit급, Prabrarapak급
초계함방파콩급R, 라타나코신급, 타피급, 캄론신급
호위구축함삔 클라오급
호위함푸미폰 아둔야뎃급, 풋타엿파쭐라록급, 나레수안급, 차오 프라야급,
Makut RajakumarnR, 타친급R
상륙정마싸폰급, Thongkaeo급, 마눅급, 쿳급
상륙함LPD앙통급, 창급
LST시창급
기뢰소해함탈랑급, 랏 야급, 방 라찬급, Bangkeo / Ladya급
군수지원함시밀란급, 추앙급, 마트라급, Proet급, Prong급, Samui급, Jula급
정보수집/연구함Sok, Chan, {Pharuehatsabodi}
경항공모함차크리 나루에벳
기타함톤부리급R
※ 윗첨자R: 퇴역 함선
※ {중괄호}: 도입 예정 함선




파일:바레인 국기.svg 현대의 바레인 왕립해군 군함
[ 펼치기 · 접기 ]

고속정알 파테흐급, 알 리파급, 알 자림급, 마크 V, 와스프-11/20/30, 알 구라이리야급
초계함알 마나마급, 알 주바라
호위함사바급
※ 윗첨자R : 퇴역 함선
※ {중괄호} : 도입 예정 함선
취소선 : 계획되었으나, 취소된 함선
*: 테스트용으로만 사용





파일:P233-HMS-Tamar-016.jpg

1. 개요
2. Batch I
2.1. 상세
2.2. 제원
3. Batch II
3.1. 상세
3.2. 제원
3.3. 개량 작업
4. 수출
5. 동형함 목록


1. 개요[편집]


리버급(River-class)은 영국 해군연안 경비함으로, 4척의 Batch I과 5척의 Batch II로 나뉜다. 한국어로는 같은 초계함이지만 도입 국가별로 영문 표기가 다르다. 영국에서는'Patrol Vessel'이지만 브라질은 'Corvette'으로 분류했다.


2. Batch I[편집]


파일:tyne.png

2.1. 상세[편집]


영국 해군은 Batch I 3척을 아일랜드급 7척과 캐슬급 2척을 대체하기 위해 건조되었다.

수량은 크게 줄었으나 더 빠르고 효율적으로 임무를 수행할 수 있다.또한 연료, 인력을 비롯한 많은 자원 절감에 성공했다.

주요 담당 임무는 어선 보호 및 국경 근처 해안 순찰이다.


2.2. 제원[편집]


리버급 초계함 Batch I
River-class Patrol Vessel Batch I
표준배수량1,700톤
전장79.5m
전폭13.5m
흘수선3.8m
추진체계2 × Ruston 12R270(11,060마력) 2축
최대속력20노트
표준배수량20mm 오리콘 기관포 1문
범용 기관총 2문
크레인25톤


3. Batch II[편집]


파일:tyne1.png

3.1. 상세[편집]


Batch II 5척은 해외에 영구적으로 주둔하기 위한 함선으로, 듀크급 호위함의 일부 역할을 대체한다.

BAE 시스템스의 공유 인프라 운영 체제를 최초로 탑재한 영국 군함이다.[1]

주요 담당 임무는 고난이도의 보호 및 구호 작전이다.


3.2. 제원[편집]


리버급 초계함 Batch II
River-class Patrol Vessel Batch II
표준배수량2,000톤
전장90.5m
전폭13.5m
추진체계2 × MAN 16V28/33D(19,700마력) 2축
최대속력25노트
표준배수량30mm 부시마스터 기관포 1문
7.62mm M134 미니건 1문
범용 기관총 2문
크레인16톤


3.3. 개량 작업[편집]


포브스에 따르면 Batch II에 대함 미사일과 보포스 57mm 함포가 탑재될 거라고 한다.# 하지만 적합한 무기는 아직 선정되지 않았다.

4. 수출[편집]



4.1. 브라질[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아마조네스급 초계함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3척의 건조를 BAE 시스템스가 맡았다. 원래 트리니다드 토바고 수출용이었으나 2010년 9월에 주문이 취소되었다. 2011년 12월, 브라질이 구매에 관심을 보였고 결국 도입하였다. 자세한 내용은 아마조네스급 초계함 문서 참고.


4.2. 태국[편집]


파일:551.png

건조는 태국이 했지만 BAE 시스템스가 설계와 기술을 지원했다. 크라비급으로 명명되어 2척이 건조되었다.


4.3. 바레인[편집]


파일:river-class-1.png

Batch I 중 P257 HMS 클라이드는 퇴역 후 RBNS[2] 알 주바라[3]로 재명명돼 바레인에 보내졌다. 커진 데크 덕분에 AW101 멀린 헬기를 운용할 수 있다.


5. 동형함 목록[편집]


영국 해군
함번함명취역퇴역비고
Batch-1
P281HMS Tyne2003년
P282HMS Severn2017년2020년 재취역
P283HMS Mersey
P257HMS Clyde2006년2019년바레인 해군이
Al-Zubara로 운용 중
Batch-2
P222HMS Forth2018년-
P223HMS Medway2019년-
P224HMS trent2020년-
P233HMS Tamar-
P234HMS Spey2021년-
태국 해군
함번함명취역퇴역비고
551Krabi2013년-
552Prachuap Khiri Khan[4]2019년-

[1] 이 고성능의 운영 체제는 복잡한 군함의 레이더, 센서, 사격 통제 시스템을 원활하게 관리해 예비 부품 수량과 유지비를 줄일 수 있다.[2] Royal Bahrain Naval Ship[3] Al-Zubara, 동명의 방공 초계함카타르 해군에서 운용 중이다.[4] RGM-84 하푼 대함 미사일 4발 장착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02-24 16:46:25에 나무위키 리버급 초계함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