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그 오브 레전드 2022 월드 챔피언십/선발전

덤프버전 : (♥ 0)

파일:나무위키+상위문서.png   상위 문서: 리그 오브 레전드 2022 월드 챔피언십

파일:나무위키+넘겨주기.png   관련 문서: 리그 오브 레전드 월드 챔피언십/선발전



1. 개요
2. 방식
2.1. LCK (한국) / LPL (중국)
2.1.1. LCK (한국)
2.1.2. LPL (중국)
2.2. LEC (유럽) / LCS (북미)
2.2.1. LEC (유럽)
2.2.2. LCS (북미)
2.3. 마이너 리그
3. 관련 문서


1. 개요[편집]


리그 오브 레전드 2022 월드 챔피언십에 참가할 팀을 선발하는 경기들을 모아놓은 문서이다. 별도의 선발전을 치르는 리그는 LCK와 LPL뿐이고, 타 리그는 서머 플레이오프가 선발전을 겸하는 구조이기 때문에 동시에 서술한다.

2. 방식[편집]


||


LCK와 LPL은 별도의 선발전을 치르고, LCS와 LEC는 플레이오프가 선발전을 겸한다. VCS와 PCS는 서머 플레이오프 결승전에 오른 두 팀이, 다른 마이너 리그 팀들은 서머 플레이오프 우승 팀들이 월즈에 진출한다.

2.1. LCK (한국) / LPL (중국)[편집]


LCK와 LPL은 서머 우승 팀이 1시드, 1시드 제외 스프링-서머 챔피언십 포인트 합이 가장 높은 팀이 2시드로 선발된다. 이후 포인트 순위 2위부터 5위까지 네 팀을 상대로 선발전을 치러서 3시드 팀과 4시드 팀을 결정한다.

2.1.1. LCK (한국)[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리그 오브 레전드 2022 월드 챔피언십/선발전/LCK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
(포인트 순위)
1라운드 (9/1)
3시드 결정전
2라운드 (9/2)
최종전 진출전
최종전 (9/3)
4시드 결정전
파일:DWG KIA 엠블럼.svg
DK
2위
파일:DWG KIA 엠블럼.svg31라운드
(패자
파일:Liiv SANDBOX 로고.svg2
파일:Liiv SANDBOX 로고.svg
LSB
3위
파일:Liiv SANDBOX 로고.svg1
파일:kt 롤스터 로고.svg
KT
4위
파일:kt 롤스터 로고.svg2파일:DRX 로고(2020~2022).svg3
파일:DRX 로고(2020~2022).svg
DRX
5위
파일:DRX 로고(2020~2022).svg3
노란색 : 2022 월드 챔피언십 진출 (3시드) | 빨간색 : 2022 월드 챔피언십 진출 (4시드)





2.1.2. LPL (중국)[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리그 오브 레전드 2022 월드 챔피언십/선발전/LPL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
(포인트 순위)
1라운드 (9/2)
3시드 결정전
2라운드 (9/3)
최종전 진출전
최종전 (9/4)
4시드 결정전
파일:RNG 로고 2017.svg
RNG
2위
파일:RNG 로고 2017.svg21라운드
(패자
파일:RNG 로고 2017.svg3
파일:Edward Gaming 로고 2017.svg
EDG
3위
파일:Edward Gaming 로고 2017.svg3
파일:Victory_Five.png
V5
4위
파일:Victory_Five.png1파일:LNG Esports 로고 2019.svg2
파일:LNG Esports 로고 2019.svg
LNG
5위
파일:LNG Esports 로고 2019.svg3
노란색 : 2022 월드 챔피언십 진출 (3시드) | 빨간색 : 2022 월드 챔피언십 진출 (4시드)


파일:리그 오브 레전드 월드 챔피언십 휘장 화이트.svg 리그 오브 레전드 2022 월드 챔피언십 LPL 진출팀
파일:징동 게이밍 로고 2021.svg파일:TES 로고 2019.svg파일:Edward Gaming 로고 2017.svg파일:RNG 로고 2017.svg
1시드
2시드
3시드
4시드




2.2. LEC (유럽) / LCS (북미)[편집]


LEC와 LCS는 별도의 선발전을 진행하지 않고, 서머 플레이오프 성적에 따라 진출권이 부여된다.

2.2.1. LEC (유럽)[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League of Legends European Championship Summer 2022/플레이오프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LEC Summer
우승파일:Rogue 로고.svgRGE1번 출전권 획득
준우승파일:G2 Esports 로고.svgG22번 출전권 획득
3위파일:Fnatic 로고.svgFNC3번 출전권 획득
4위파일:MAD_Lions_no_text.pngMAD4번 출전권 획득
5위파일:misfits-logo.pngMSF-
6위파일:엑셀 이스포츠 로고.svg[[파일:엑셀 이스포츠 로고 화이트.svgXL
파일:리그 오브 레전드 월드 챔피언십 휘장 화이트.svg 리그 오브 레전드 2022 월드 챔피언십 LEC 진출팀
파일:Rogue 로고.svg파일:G2 Esports 로고.svg파일:Fnatic 로고.svg파일:MAD_Lions_no_text.png
1시드
2시드
3시드
4시드


LEC는 스프링 플레이오프 성적과 서머 정규시즌 성적을 토대로 포인트를 산출하여 서머 플레이오프 겸 선발전을 진행하여 월즈 시드가 결정된다. 2022 시즌에서 LCL이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으로 인해 불참하면서 해당 시드권이 LEC에 편입되어 4장의 시드를 배정 받은 상태인데, 그 때문에 합산 포인트 1위 팀은 서머 플레이오프에서 최소 4위를 확보하기 때문에 플레이오프 결과와 상관 없이 월드 챔피언십 진출을 확정짓게 된다. 3년 연속 서머 시즌 1~4위를 G2, 프나틱, 매드, 로그가 독점하는 결과가 나왔다.

2.2.2. LCS (북미)[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Riot League Championship Series Championship 2022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LCS Championship
우승파일:Cloud9 아이콘.svgC91번 출전권 획득
준우승파일:100 Thieves 로고 심플.svg[[파일:100 Thieves 로고 심플 white.svg1002번 출전권 획득
3위파일:Evil Geniuses 로고.svg[[파일:Evil Geniuses 로고 white.svgEG3번 출전권 획득
4위파일:Team_Liquid_2020.pngTL-
5-6위파일:CLG Blue Logo.pngCLG
파일:TSM_Logo.pngTSM
7-8위파일:플라이퀘스트 로고 2021.svgFLY
파일:골든 가디언스 로고.svgGG
파일:리그 오브 레전드 월드 챔피언십 휘장 화이트.svg 리그 오브 레전드 2022 월드 챔피언십 LCS 진출팀
파일:Cloud9 아이콘.svg파일:100 Thieves 로고.svg[[파일:100 Thieves 로고 white.svg파일:Evil Geniuses 로고.svg[[파일:Evil Geniuses 로고 white.svg
1시드
2시드
3시드


LCS는 별도의 포인트제 없이, 서머 포스트시즌격 대회인 챔피언십을 치러 그 순위에 따라 월즈 시드를 부여한다.

북미 슈퍼팀 TL이 희대의 졸장 길로또 매직[1]에 힘입어 연속 진출이 끊기는 대참사가 일어났고, EG가 남은 1자리를 채웠다.

2.3. 마이너 리그[편집]


파일:리그 오브 레전드 월드 챔피언십 휘장 화이트.svg 리그 오브 레전드 2022 월드 챔피언십 마이너 진출팀
파일:CTBC_Flying_Oyster_2022.png파일:GAM Esports 로고.svg
PCS 1시드
VCS 1시드
파일:Beyond_Gamingsymbol_square.png파일:Saigon_Buffalo_logo.png파일:DFM 로고 (2016-2022).svg[[파일:DFM 로고 (2016-2022) 화이트.svg
PCS 2시드
VCS 2시드
파일:The_Chiefs_eSports_Clublogo_square.png파일:Istanbul_Wildcats_newlogo_square.png파일:Isurus Gaming.png파일:LOUD 로고.svg


마이너 리그는 별도의 선발전 없이 서머 시즌 결과에 따라 출전팀이 결정된다. 시드가 1장인 리그는 서머 우승 팀이 출전하고, 시드가 2장인 VCS와 PCS의 경우 서머 우승 팀이 1시드로 그룹 스테이지에 직행하고 준우승 팀이 2시드로 플레이-인 스테이지에 진출한다.

3. 관련 문서[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26 07:12:49에 나무위키 리그 오브 레전드 2022 월드 챔피언십/선발전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안드레 길로또. 희대의 인맥으로 슈퍼팀마다 합류하면서도 그 슈퍼팀을 모조리 탈락시킨 전설의 감독이다.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