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르노-닛산 C 플랫폼

덤프버전 :


파일:르노-닛산-미쓰비시 얼라이언스 로고.svg
파일:메간2-3.jpg
최초 적용 차량인 르노 메간(2세대)
Renault-Nissan C Platform

1. 개요
2. 플랫폼 설명
3. 적용 차량
4. 둘러보기


Renault-Nissan C Platform


1. 개요[편집]


르노-닛산-미쓰비시 얼라이언스에서 2002년부터 활용하고 있는 전륜구동 및 전륜구동 기반의 4륜구동 준중형차용 자동차 플랫폼이다.


2. 플랫폼 설명[편집]


르노의 메간(2세대)이 최초로 사용했다. 참고로 같은 시기에 등장한 B 플랫폼은 닛산이 먼저 사용했다면, 이 플랫폼은 르노가 먼저 사용했다. 닛산에서는 MS 플랫폼[1]을 대체한다.

B 플랫폼처럼 르노의 설계 방식을 따르고 있기 때문인지 모든 적용 차량들의 주유구와 머플러는 각각 우측, 좌측에 위치하고 있다.[2] 초기에는 B 플랫폼처럼 휠 볼트 개수가 4개였으나 개량하면서 5개로 개선을 하였다.

파워트레인은 직렬 4기통 엔진이 탑재되며, 5~6단 수동변속기와 4~6단 자동변속기, CVT가 탑재된다.

전륜 현가장치는 맥퍼슨 스트럿 서스펜션, 후륜 현가장치는 토션빔 서스펜션 혹은 세미 트레일링 암 기반 멀티링크 서스펜션이 적용된다.

플랫폼 적용 차량의 생산지는 프랑스 오드프랑스, 터키 마르마라주 부르사, 일본 칸다마치, 대한민국 부산광역시 등이다.

후속 플랫폼은 르노-닛산 CMF-CD 플랫폼이지만 르노의 캉구 Z.E.와 닛산의 세레나는 이 플랫폼을 아직까지도 병행 사용한다.


3. 적용 차량[편집]


파일:르노 로고.svg 르노의 C 플랫폼 적용 차량
적용 차량적용 기간비고
파일:메간2-3.jpg
2002 ~ 2009
메간 (2세대)
파일:2003 르노 세닉.png
2003 ~ 2009
세닉 (2세대)
파일:renault-koleos-2009.jpg
2007 ~ 2016르노삼성 QM5의 수출용 모델.
콜레오스 (1세대)
파일:캉9후.jpg
2008 ~ 현재
캉구 (2세대)
파일:메간3-2.jpg
2008 ~ 2016
메간 (3세대)
파일:2010 르노 세닉.png
2009 ~ 2016
세닉 (3세대)
파일:186B1974-B89B-4B64-B634-0DB60014117E.jpg
2009 ~ 2019
플루언스

파일:닛산 로고.svg 닛산의 C 플랫폼 적용 차량
적용 차량적용 기간비고
파일:2004 닛산 라페스타_(1).jpg
2004 ~ 2012
라페스타 (1세대)
파일:2005 닛산 세레나 20RS 에어로 패키지 II_(1).jpg
2005 ~ 2011
세레나 (3세대)
파일:UUO8tDF.jpg
2006 ~ 2014
캐시카이 (1세대)
파일:xtr2-2.jpg
2007 ~ 2015
엑스트레일 (2세대)
파일:로그1-1.jpg
2007 ~ 2016
로그 (1세대)
파일:2010 닛산 세레나 20G_20S_(1).jpg
2010 ~ 2016
세레나 (4세대)
파일:2011 닛산 티다_(1).jpg
2011 ~ 현재
티다 (2세대)
파일:2012 중국 사양 닛산 실피_(1).jpg
2012 ~ 현재
실피 (3세대)
파일:닛산 센트라.png
2012 ~ 2021
센트라 (7세대)
파일:2016 닛산 세레나_(1).jpg
2016 ~ 2022
세레나 (5세대)
파일:2023 닛산 세레나.jpg
2022 ~ 현재
세레나 (6세대)

파일:스즈키 주식회사 로고.svg 스즈키의 C 플랫폼 적용 차량
적용 차량적용 기간비고
파일:스즈키란디1.jpg
2007 ~ 2010
랜디 (1세대)
파일:스즈키랜디2.jpg
2010 ~ 2016
랜디 (2세대)
파일:스즈키랜디3-1.jpg
2016 ~ 2022
랜디 (3세대)

파일:르노삼성자동차 로고.svg 르노삼성자동차의 C 플랫폼 적용 차량
적용 차량적용 기간비고
파일:2014 NEW QM5.jpg
2007 ~ 2016
QM5
파일:tQe1YDp.jpg
2009 ~ 2020르노 플루언스의 대한민국 시장용 모델.
SM3 (2세대)

파일:메르세데스-벤츠 아이콘.svg 메르세데스-벤츠의 C 플랫폼 적용 차량
적용 차량적용 기간비고
파일:벤츠 시탄 패널 밴.png
2012 ~ 2021
시탄 (1세대)

파일:베누시아 현 로고.png 베누시아의 C 플랫폼 적용 차량
적용 차량적용 기간비고
파일:T70 초기형.png
2014 ~ 현재
파일:베누시아 T70X.png
T70 / T70X
파일:둥펑 베누시아 T90.png
2016 ~ 현재
T90
파일:2020 베누시아 D60.png
2017 ~ 현재
D60


4. 둘러보기[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26 05:28:58에 나무위키 르노-닛산 C 플랫폼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닛산 세레나 2세대, 엑스트레일 1세대, 르노삼성 SM3 1세대에 사용하였던 플랫폼이다.[2] 르노 캉구는 예외적으로 주유구가 좌측에 위치해 있다. 3세대부터는 CMF-CD 플랫폼의 설계방식을 따르게 되면서 주유구가 우측으로 바뀌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