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로드 매직

덤프버전 :



유희왕 러시 듀얼테마 일람
[ㅅ]
[ㅇ]
[ㅎ]
[ 각주 ]
● 기준은 러시 듀얼 카드 테마 분류에 포함되는 테마 중 공통 효과 시리즈 분류를 제외한 나머지 테마입니다.
● 한국어판 미발매 테마들은 비공식 번역명입니다.


로드 매직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오티스
덱 관련 문서
[ 펼치기 · 접기 ]

관련 테마
푸른 눈 · 붉은 눈 · 데몬 · 블랙 매지션 · 로드 · 세븐즈로드 · 로드 매직 · 다크니스
서브 에이스에이스 몬스터
-푸른 눈 덱
푸른 눈의 백룡

붉은 눈 덱
붉은 눈의 흑룡

데몬 덱
데몬 소환

블랙 매지션 덱
블랙 매지션

세븐즈로드 & 다크니스 덱
세븐즈로드 매지션
에이스 진화체최종 몬스터
세븐즈로드 & 다크니스 덱
매지션 오브 다크세븐즈
-



로드 매직
한국판 명칭로드 매직
일본판 명칭ロード・マジック
영어판 명칭Road Magic (미발매)

1. 개요
2. 상세
3. 마법 카드
3.1. 로드 매직-익스플로전
3.2. 로드 매직-템피스트
3.3. 로드 매직-다이아스트로피즘
3.4. 로드 매직-백플로
3.5. 로드 매직-레이즈얼터
3.6. 로드 매직-다크나이트



1. 개요[편집]


유희왕 러시 듀얼의 시리즈 카드. 유희왕 SEVENS오도 유가, 오티스가 사용하는 카드들이다.


2. 상세[편집]


"로드 매직" 카드의 공통 발동 조건
【조건】 자신 필드에 앞면 표시 몬스터(레벨 7 이상 / 마법사족)가 있을 경우, 패의 몬스터(특정 속성) 1장을 묘지로 보내고 발동할 수 있다.

레벨 7 이상 마법사족 몬스터와 연동하여 사용할 수 있는 일반 마법 카드들. 일러스트에는 모두 세븐즈로드 매지션이 그려져 있으나, 일단은 레벨 7 이상 마법사족만이 발동 조건이므로 블랙 매지션 등이 있어도 사용할 수 있다. 다만 다속성 몬스터가 필요하다는 것을 고려하면 기본적으로는 세븐스로드와 가장 궁합이 좋은 편.


3. 마법 카드[편집]



3.1. 로드 매직-익스플로전[편집]


파일:ロード・マジック-エクスプロージョン.jpg
[include(틀:유희왕 러시 듀얼/카드, 마법=, 일반=,
한글판명칭=로드 매직-익스플로전,
일어판명칭=ロード・マジック-エクスプロージョン,
영어판명칭=Road Magic-Explosion (미발매\, 비공식 번역명),
조건=자신 필드에 앞면 표시 몬스터(레벨 7 이상 / 마법사족)가 있을 경우\, 패의 몬스터(화염 속성) 1장을 묘지로 보내고 발동할 수 있다.,
발동효과=[상대 필드의 카드의 수] × 400 데미지를 상대에게 준다.)]
화염 속성을 요구하는 로드 매직.

최소 400에서 최대로 2800의 데미지를 기대해볼수 있는 카드이다.

특전으로 붙었던 최강 점프 2020년 5월호의 발매일이 2020년 4월 2일로, 스타터 덱 발매일보다 빨라 최초로 발매된 러시 듀얼용 카드가 되었다.

수록 팩 일람
수록 팩카드 번호레어도발매국가기타사항
最強ジャンプ 2020年 5月号 付録カードRD/SJMP-JP001패러렐 레어일본세계 최초 수록
最強バトルデッキ 遊我 -ハイパーマシンロード-RD/SBD1-JP028노멀일본
최강 배틀 덱 유가 -하이퍼머신로드-RD/SBD1-KR028노멀한국한국 최초 수록

파일:CC-white.svg 이 문단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0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단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0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3.2. 로드 매직-템피스트[편집]


파일:ロード・マジック-テンペスト.jpg
[include(틀:유희왕 러시 듀얼/카드, 마법=, 일반=,
한글판명칭=로드 매직-템피스트,
일어판명칭=ロード・マジック-テンペスト,
영어판명칭=Road Magic-Tempest (미발매\, 비공식 번역명),
조건=자신 필드에 앞면 표시 몬스터(레벨 7 이상 / 마법사족)가 있을 경우\, 패의 몬스터(바람 속성) 1장을 묘지로 보내고 발동할 수 있다.,
발동효과=상대 필드의 몬스터를 3장까지 고르고 표시 형식을 변경한다(공격 표시는 앞면 수비 표시로\, 수비 표시는 앞면 공격 표시로 한다).)]
바람 속성을 요구하는 로드 매직.

자신 턴에 상대 몬스터 전체의 표시 형식을 변경시킬 수 있는 카드는 현재 이 카드가 유일하다. 하지만 수비 표시로 바꿀꺼면 간편한 공격봉인시에스타토레로가 있고 공격 표시로 바꿀꺼면 간편한 천 제왕의 위안이 있다. 무엇보다도 같은 마법사족에는 풍사 토르네가 훨씬 더 쉽게 표시형식 변경을 해주기 때문에 이 카드를 채용하는 유저는 많지는 않다.

수록 팩 일람
수록 팩카드 번호레어도발매국가기타사항
超速のラッシュロード!!RD/KP01-JP039레어일본세계 최초 수록
초속의 러시로드!!RD/KP01-KR039레어한국한국 최초 수록

파일:CC-white.svg 이 문단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7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단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7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3.3. 로드 매직-다이아스트로피즘[편집]


파일:ロード・マジック-ダイアストロフィズム.jpg
[include(틀:유희왕 러시 듀얼/카드, 마법=, 일반=,
한글판명칭=로드 매직-다이아스트로피즘,
일어판명칭=ロード・マジック-ダイアストロフィズム,
영어판명칭=Road Magic - Diastrophism (미발매\, 비공식 번역명),
조건=자신 필드에 앞면 표시 몬스터(레벨 7 이상 / 마법사족)가 있을 경우\, 패의 몬스터(땅 속성) 1장을 묘지로 보내고 발동할 수 있다.,
발동효과=상대 필드의 앞면 표시 몬스터 1장을 고르고\, 그 공격력을 턴 종료시까지\, [자신 묘지의 공격력이 가장 높은 몬스터의 공격력]만큼 내린다.)]
땅 속성을 요구하는 로드 매직.

상대 필드의 앞면 표시 몬스터의 공격력을 자신 묘지의 타점이 제일 높은 몬스터만큼 낮추는 로드 매직. 미리 묘지에 고타점 몬스터를 떨구고 레벨 7이상의 마법사족과 이 카드와 땅속성 몬스터가 필요하기 때문에 발동 난이도는 상당히 높다. 현재 묘지에 갈수있는 최대 타점은 백룡의 3000. 그대신 대상 몬스터에게는 아무런 제약이 없기 때문에 맥시멈 몬스터라도 얄짤없이 공격력이 떨어진다.

유희왕 SEVENS 9화에서 오도 유가하쿠부츠 칸과의 듀얼 중 사용한 마법 카드. 슈퍼 킹렉스의 공격력을 낮춰 피니쉬를 내게 만들어주었다. 이후 26화에서 사이온지 네일과의 2차전에서 다시 사용. 이번에는 천 제왕용수 위그드라고의 공격력을 낮춰 전투로 파괴하려 했으나 실패했다.

한국판에서는 다이스토로피즘으로 오역을 해버렸다.

수록 팩 일람
수록 팩카드 번호레어도발매국가기타사항
驚愕のライトニングアタック!!RD/KP02-JP036레어일본세계 최초 수록
경악의 라이트닝어택!!RD/KP02-KR036레어한국한국 최초 수록

파일:CC-white.svg 이 문단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9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단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9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3.4. 로드 매직-백플로[편집]


파일:ロード・マジック-バックフロー.jpg
[include(틀:유희왕 러시 듀얼/카드, 마법=, 일반=,
한글판명칭=로드 매직-백플로,
일어판명칭=ロード・マジック-バックフロー,
영어판명칭=Road Magic-Backflow (미발매\, 비공식 번역명),
조건=자신 필드에 앞면 표시 몬스터(레벨 7 이상 / 마법사족)가 있을 경우\, 패의 몬스터(물 속성) 1장을 묘지로 보내고 발동할 수 있다.,
발동효과=상대 필드의 몬스터 1장을 고르고 주인의 패로 되돌린다.)]
물 속성을 요구하는 로드 매직.

익스플로전에 이어 최강 점프 2020년 9월호 동봉으로 수록된 로드 매직.

표시 형식을 따지지 않고 상대 몬스터 1장을 패로 돌리는 우수한 제거 효과를 가지고 있다. 위의 다이아스트로피즘과 동일하게 아무 몬스터나 바운스 할수있어서 맥시멈 몬스터도 얄짤없다. 다음 턴 드로우 어드밴티지도 줄일 수 있는 건 덤. 마법사족에는 미스틱 딜러와 같은 우수한 물 속성 몬스터가 있기에 다른 로드 매직에 비해 발동도 어렵지 않다.

수록 팩 일람
수록 팩카드 번호레어도발매국가기타사항
最強ジャンプ 2020年 9月号 付録カードRD/SJMP-JP003패러렐 레어일본세계 최초 수록
最強バトルデッキ 遊我 -ハイパーマシンロード-RD/SBD1-JP029노멀일본
최강 배틀 덱 유가 -하이퍼머신로드-RD/SBD1-KR029노멀한국한국 최초 수록

파일:CC-white.svg 이 문단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2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단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2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3.5. 로드 매직-레이즈얼터[편집]


파일:ロード・マジック-レイズオルター.jpg
[include(틀:유희왕 러시 듀얼/카드, 마법=, 일반=,
한글판명칭=로드 매직-레이즈얼터,
일어판명칭=ロード・マジック-レイズオルター,
영어판명칭=Road Magic-Raise Alter (미발매\, 비공식 번역명),
조건=자신 필드에 앞면 표시 몬스터(레벨 7 이상 / 마법사족)가 있을 경우\, 패의 몬스터(빛 속성) 1장을 묘지로 보내고 발동할 수 있다.,
발동효과=자신 필드의 앞면 표시 몬스터 1장을 고르고\, 그 공격력을 턴 종료시까지\, [상대 필드의 공격력이 가장 낮은 앞면 표시 몬스터(레벨 8 이하)의 공격력]만큼 올린다.)]
빛 속성을 요구하는 로드 매직.

몬스터를 파괴하지는 않지만 상대 필드의 제일 약한 몬스터의 공격력을 흡수한다는 점에서 같은 빛속성인 로얄데먼즈 헤비메탈을 의식한듯한 효과이다. 헤비메탈과 동일하게 상대 필드에 앞면 표시가 최상급 1장뿐이면 큰 상승폭을 기대해볼 수도 있다.

수록 팩 일람
수록 팩카드 번호레어도발매 국가기타 사항
激闘のサンダーストーム!!RD/KP06-JP039레어일본세계 최초 수록
격투의 썬더스톰!!RD/KP06-KR039레어한국한국 최초 수록


3.6. 로드 매직-다크나이트[편집]


파일:ロード・マジック-ダークナイト.jpg
[include(틀:유희왕 러시 듀얼/카드, 마법=, 일반=,
한글판명칭=로드 매직-다크나이트,
일어판명칭=ロード・マジック-ダークナイト,
영어판명칭=Road Magic-Dark Night (미발매\, 비공식 번역명),
조건=자신 필드에 앞면 표시 몬스터(레벨 7 이상 / 마법사족)가 있을 경우\, 패의 몬스터(어둠 속성) 1장을 묘지로 보내고 발동할 수 있다.,
발동효과=상대 필드의 앞면 표시 몬스터 1장을 고르고 파괴한다.)]
어둠 속성을 요구하는 로드 매직. 6속성 로드 매직 중 가장 마지막으로 등장했다.

상대 필드의 앞면 표시 몬스터 1장을 파괴하는, 심플하면서도 강력한 효과를 지녔다. 퓨전 몬스터든 맥시멈 몬스터든 필드에 레벨 7 이상의 마법사족을 세워 놓고 이 카드를 발동하면 그냥 얄짤없이 파괴되어버린다. 특히나 어둠 속성은 암속법사 덱의 메인 속성이기 때문에 발동 난이도도 꽤나 쉽다는 것이 장점.

유희왕 SEVENS에서는 유일하게 오도 유가가 아닌 오티스가 사용하는 로드 매직으로 나온다. 오도 유가와의 3차전 듀얼 중 사용, 유가의 필드에 있던 천 제왕용수 위그드라고를 일격에 가볍게 파괴시켰다. 발동 대사는 유가와 동일.

일러스트에도 로드 매직 중 유일하게 오티스 버전의 세븐즈로드 매지션이 그려져 있다.

수록 팩 일람
수록 팩카드 번호레어도발매 국가기타 사항
メガロードパックRD/MRP1-JP019레어일본세계 최초 수록


파일:CC-white.svg 이 문단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9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단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9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각주]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44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44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25 19:18:49에 나무위키 로드 매직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