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레티시아 오르티스 로카솔라노

덤프버전 :

스페인 펠리페 6세의 왕비
레티시아 오르티스 로카솔라노
Reina Letizia
파일:2_reina_gala_20200210.jpg
이름레티시아 오르티스 로카솔라노
(Letizia Ortiz Rocasolano)
출생1972년 9월 15일 (51세)
에스파냐국 아스투리아스 오비에도
신장170cm
배우자알론소 게레로 페레즈 (1998년 결혼 / 1999년 이혼)
펠리페 6세 (2004년 결혼)
자녀장녀 레오노르, 차녀 소피아
아버지헤수스 호세 오르티스 알바레
어머니마리아 데 라 팔로마 로카솔라노 로드리게스
형제텔마, 에리카
종교가톨릭
서명파일:Letizia_spain_sig.svg.png
1. 개요
2. 펠리페 6세와의 결혼
3. 왕실 입성 이후
4. 자녀
6. 둘러보기



1. 개요[편집]


스페인 펠리페 6세의 왕비. 스페인 역사상 최초 평민 출신 왕비이다. 스페인 국영방송에서 아나운서기자로 일한 언론인 출신이다.


2. 펠리페 6세와의 결혼[편집]


2004년 펠리페 왕세자와 결혼하여 왕세자비가 되었다.

펠리페 6세와 결혼하기 전에 다른 남자와 결혼했다가 이혼한 적이 있다. 이 때문에 "이혼을 금하는[1] 가톨릭 교리와 충돌하는 게 아니냐?"는 논란이 제기되기도 했다. 하지만 "레티시아의 첫 번째 결혼은 가톨릭교회법에 따른 정식 결혼(혼인성사)이 아니었기 때문에, 그 결혼에서 이혼했더라도 가톨릭 교회가 금하는 이혼에 해당하지 않는다"는 유권 해석이 내려져 결혼이 성사되었다.


3. 왕실 입성 이후[편집]


스페인을 제외한 다른 나라에서는 여배우 페넬로페 크루스를 연상케 하는 아름다운 패셔니스타[2]로 유명하지만, 화려한 과거와 잦은 성형수술로 인한 부자연스러운 얼굴에 지나친 다이어트 등으로 한때 스페인 내에서의 지지율은 상당히 낮았다. 그래도 언론인 출신인지라 박식한 지식에 뛰어난 언어구사 능력이 있어서 수많은 사람과 기자들이 모인 장소에서도 분위기를 능수능란하게 주도하는 매력이 있다. 또 세자비 시절부터 열심히 적극적으로 공무를 수행했던 점을 인정받았다. 이러한 점은 왕비가 되고 나서도 그대로라 현재는 지지율이 점점 좋아지는 중. 무엇보다 후안 카를로스 1세가 저지른 온갖 사고들과 크리스티나 공주 부부의 횡령 등시댁에서 튀어나윤 문제가 오히려 펠리페-레티시아 부부의 지지도를 올려주는 데 꽤 큰 공헌을 했다.

2014년 펠리페 왕세자가 새 국왕으로 즉위함에 따라, 레티시아 왕세자비도 왕비가 되었다. 2019년 남편 펠리페 6세와 함께 대한민국을 공식 방문했고, 명예 서울시민증을 받았다.


4. 자녀[편집]


자녀이름출생
1녀아스투리아스 여공 레오노르
(Leonor, Princess of Asturias)
2005년 10월 31일 (18세)
2녀인판타 소피아
(Infanta Sofía of Spain)
2007년 4월 29일 (17세)

펠리페 6세와의 사이에서 두 딸을 낳았다. 스페인 왕실의 왕위 계승은 남자 우선이지만, 펠리페 6세에게는 아들이 없기 때문에 장녀 레오노르 공주가 장차 여왕이 될 예정이다.

레티시아가 아들을 낳지 못했다는 이유로 시부모인 후안 카를로스 1세 부부에게 구박받았다는 루머가 있었다. 원래 이혼녀였던 레티시아를 탐탁찮게 여겼거나 보수적인 사람들은, 레티시아가 딸만 낳은 것으로 비난했다. 최근 몇년 전까지만 해도 펠리페 부부가 아들을 얻기 위해 셋째를 가지려 노력했으나 두 딸들을 모두 제왕절개로 출산한 바 있는 레티시아의 몸 상태가 좋지 못해[3] 결국 포기했다는 루머도 있었다.

5. 고부갈등[편집]


2018년 4월, 주님부활대축일 미사를 끝내고 성당을 나가다가 사제들과 시민들이 지켜보는 가운데 시어머니 소피아 왕대비와 노골적으로 싸움을 벌이는 모습을 보여 구설수에 올랐다.

소피아 왕대비가 두 손녀 레오노르 공주소피아 공주를 끌어당겨 안으며 사진을 찍으려고 포즈를 잡는데, 레티시아 왕비는 마치 사진 촬영을 방해하려는 것처럼 그 앞을 서성거렸다. 그러더니 시어머니가 큰딸의 머리에 키스하자, 레티시아 왕비는 마치 더러운 것이 닿았다는 식으로 시어머니의 손을 치우며, 시어머니의 입술이 닿은 큰딸의 머리를 손으로 문질러 닦았다.

당황한 펠리페 6세는 아내 레티시아 왕비의 팔을 잡으며 말리는데, 그러거나 말거나 소피아 왕대비와 레티시아 왕비는 서로 레오노르 공주의 머리를 차지하려고(?) 싸우는 듯한 모습으로 말다툼을 했고, 결국 어린 레오노르 공주는 짜증스러운 표정으로 어머니와 할머니의 손을 모두 뿌리쳐버렸다. 그리고 이 모습이 생생하게 동영상으로 찍혀 언론과 인터넷에 퍼졌다.[4]

카더라 통신에 의하면 전부터 고부갈등이 있었다는데, 공식적인 자리에서 시어머니와의 갈등을 대놓고 드러낸 레티시아 왕비에 대해서 스페인 국민들의 반응이 안 좋은 듯하다. 스페인 국민들의 스페인 왕가 인물들에 대한 호감도 여론조사를 보면 소피아 왕대비는 펠리페 6세 다음으로 인기가 많은 인물이지만, 레티시아 왕비는 시아버지 후안 카를로스 1세와 함께 가장 인기가 없는 인물로 분류되고 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45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45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6. 둘러보기[편집]



한국인 [ 펼치기 · 접기 ]

상훈 연도결정일수여일이름직책국적비고
1949년8월 15일이승만대통령대한민국
1960년8월 13일윤보선대통령대한민국
1963년12월 5일12월 17일박정희대통령대한민국
1967년6월 23일육영수영부인대한민국
1979년12월 7일최규하대통령대한민국12.12 군사반란으로 하야
1979년12월 7일홍기영부인대한민국
1980년8월 29일8월 29일전두환대통령대한민국무궁화대훈장 이외의 모든 훈장 취소
1980년8월 29일8월 29일이순자영부인대한민국
1988년2월 24일2월 25일노태우대통령대한민국무궁화대훈장 이외의 모든 훈장 취소
1988년2월 24일2월 25일김옥숙영부인대한민국
1993년2월 11일2월 23일김영삼대통령대한민국
1993년2월 11일2월 23일손명순영부인대한민국
1998년2월 17일2월 25일김대중대통령대한민국
1998년2월 17일2월 25일이희호영부인대한민국
2008년1월 28일노무현대통령대한민국
2008년1월 28일권양숙영부인대한민국
2013년2월 12일이명박대통령대한민국
2013년2월 12일김윤옥영부인대한민국
2013년2월 19일박근혜대통령대한민국
2022년5월 3일문재인대통령대한민국
2022년5월 3일김정숙영부인대한민국

외국인 [ 펼치기 · 접기 ]

상훈 연도결정일수여일이름직책국적비고
1964년12월 3일12월 8일하인리히 뤼프케대통령서독외국인 최초 상훈자
1964년12월 3일12월 8일빌헬미네 뤼브케영부인서독외국인 최초 상훈자
1966년2월 1일2월 7일이스마일 나시루딘국왕말레이시아
1966년2월 1일2월 7일틍쿠 인탄 자하라왕비말레이시아
1966년2월 1일2월 10일푸미폰 아둔야뎃국왕태국
1966년2월 1일2월 10일시리낏 끼띠야콘왕비태국
1966년2월 1일2월 15일장제스총통중화민국
1968년5월 10일5월 18일하일레 셀라시에황제에티오피아
1969년5월 23일5월 27일응우옌반티에우총통남베트남
1969년5월 23일5월 27일응우옌티마이아인제1부인남베트남
1969년10월 28일10월 28일하마니 디오리대통령니제르
1969년10월 28일10월 28일아이샤 디오리영부인니제르
1970년9월 25일9월 28일피델 산체스 에르난데스대통령엘살바도르
1970년9월 25일9월 28일마리나데 산체스 에르난데스영부인엘살바도르
1975년6월 27일7월 5일오마르 봉고대통령가봉
1975년6월 27일7월 5일조세핀 봉고영부인가봉
1979년4월 17일4월 23일레오폴 세다르 상고르대통령세네갈
1979년4월 17일4월 23일콜레테 위베르트 상고르영부인세네갈
1980년5월 11일할리드 빈 압둘아지즈 알사드국왕사우디아라비아
1980년5월 14일자베르 알아흐마드 알자베르 알사바국왕쿠웨이트
1981년6월 25일수하르토대통령인도네시아
1981년6월 25일시티 하티나영부인인도네시아
1981년6월 29일아마드 샤 이브니 아부 바카르국왕말레이시아
1981년6월 29일틍쿠 아프잔왕비말레이시아
1981년7월 6일페르디난드 마르코스대통령필리핀
1981년7월 6일이멜다 마르코스영부인필리핀
1981년10월 13일로드리고 카라소대통령코스타리카
1981년10월 13일에스트레야 셀레돈 리사노영부인코스타리카
1982년5월 10일사무엘 도대통령라이베리아
1982년6월 7일모부투 세세 세코대통령자이르
1982년6월 7일보비 라다와영부인자이르
1982년8월 25일압두 디우프대통령세네갈
1982년12월 21일케난 에브렌대통령터키
1983년3월 10일3월 15일자파르 모하메드 니메이리대통령수단
1983년3월 10일3월 15일부띠나 칼릴 압불핫산영부인수단
1983년9월 10일후세인 1세국왕요르단
1983년9월 10일누르왕비요르단
1984년4월 9일하사날 볼키아국왕브루나이
1984년4월 21일할리파 빈 하마드 알타니국왕카타르
1984년8월 30일9월 13일다우다 자와라대통령감비아
1984년8월 30일9월 13일치렐 자와라영부인감비아
1985년5월 17일무함마드 지아울하크대통령파키스탄
1985년5월 20일루이스 알베르토 몽헤대통령코스타리카
1986년9월 4일4월 10일엘리자베스 2세국왕영국
1986년9월 4일4월 16일보두앵국왕벨기에
1987년4월 7일아메드 압달라대통령코모로
1988년11월 3일이스칸다르국왕말레이시아
1988년11월 3일자나리아왕비말레이시아
1989년11월 3일11월 20일리하르트 폰 바이츠제커대통령서독
1989년11월 3일11월 30일프랑수아 미테랑대통령프랑스
1989년11월 3일11월 30일다니엘 미테랑영부인프랑스
1990년6월 21일안드레스 로드리게스대통령파라과이
1990년11월 5일괸츠 아르파드대통령헝가리
1991년9월 13일아즐란 샤국왕말레이시아
1991년9월 13일투안쿠 바이눈왕비말레이시아
1991년9월 25일카를로스 살리나스 데 고르타리대통령멕시코
1992년8월 13일호르헤 안토니오 세라노 엘리아스대통령과테말라
1993년5월 20일5월 25일피델 라모스대통령필리핀
1993년5월 20일5월 25일이멜리타 마르티네스 라모스영부인필리핀
1994년11월 7일11월 21일에두아르도 프레이 루이스 타글레대통령칠레
1994년12월 5일12월 9일레흐 바웬사대통령폴란드
1995년2월 7일2월 16일이슬람 카리모프대통령우즈베키스탄
1995년2월 21일3월 6일로만 헤어초크대통령독일
1995년3월 28일4월 3일젤류 미테프 젤레프대통령불가리아
1995년6월 26일7월 7일넬슨 만델라대통령남아프리카 공화국
1995년9월 26일9월 29일카를로스 메넴대통령아르헨티나
1996년7월 23일9월 4일알바로 아르수대통령과테말라
1996년7월 23일페르난두 카르도주대통령브라질
1996년10월 8일10월 20일후안 카를로스 1세국왕스페인
1996년10월 8일10월 20일소피아 마르가리타 빅토리아 프리데리키왕비스페인
1996년11월 26일자파 이브니 압둘 라만국왕말레이시아
1996년12월 10일12월 15일레오니드 쿠치마대통령우크라이나
2000년2월 22일3월 3일카를로 아첼리오 참피대통령이탈리아
2000년2월 22일3월 6일자크 시라크대통령프랑스
2006년3월 12일압델아지즈 부테플리카대통령알제리
2007년3월 26일사마 알아마드 알자베르 알사바국왕쿠웨이트
2007년3월 28일하마드 빈 할리파 알사니국왕카타르
2009년5월 13일누르술탄 나자르바예프대통령카자흐스탄
2009년11월 12일알란 가르시아대통령페루
2012년5월 30일칼 16세 구스타프국왕스웨덴
2012년11월 21일할리파 빈 자이드 나하얀대통령아랍에미리트
2018년10월 8일에마뉘엘 마크롱대통령프랑스
2019년하랄 5세국왕노르웨이
2021년6월 14일알렉산더 판데어벨렌대통령오스트리아
2021년6월 16일펠리페 6세국왕스페인
2021년6월 16일레티시아 오르티스 로카솔라노왕비스페인
2021년8월 25일이반 두케대통령콜롬비아
2021년9월 21일보루트 파호르대통령슬로베니아
2023년7월 13일안제이 두다대통령폴란드
2023년11월 21일찰스 3세국왕영국






[1] 몇 가지 경우 '혼인무효'는 가능하다.[2] 레티시아 왕비는 현재 유럽의 왕족 중에서 패션 센스가 좋기로 유명하다. 다만 세자비 시절에 TPO를 무시한 패션을 선보일 때가 종종 있어서 비판이 있었다. 현재는 빈도가 많이 줄었다.[3] 그도 그럴 것이, 또래의 다른 유럽 왕비들 혹은 세자비들에 비하면 레티시아가 지나치게 말랐다. 특히 풍채 좋은 네덜란드막시마 왕비노르웨이의 메테-마리트 세자비와 같이 있을 때 마른 체형이 특히 더 두드러지곤 했다. 역시 꽤 마른 편인 덴마크의 메리 세자비나 실물을 보면 걸어다니는 뼈다귀라는 평을 듣는 영국캐서린 왕세손비도 레티시아 옆에 서면 상대적으로 근육이 돋보이는 건강한 몸매로 보이는 효과가 일어난다. 그래서 건강 이상설이 종종 제기되어 왔지만, 일각에서는 "레티시아가 과도하게 마른 몸매에 집착해 지나치게 다이어트를 한 결과"라는 냉소적인 반응도 만만찮게 나오고 있다.[4] 이후 소피아 왕대비의 조카며느리(남동생 콘스탄티노스 2세 전 그리스 국왕의 장남 파블로스 전 왕세자의 부인)인 (명목상)그리스 왕세자비 마리 샹탈은 자신의 트위터에 레티시아 왕비를 디스하는 글을 남겼다. 참고로 레티시아 왕비와 두 시누이, 그리고 사촌 동서인 마리 샹탈이 사이가 좋지 못하다고 왕실 팬들 사이에서는 나름 알려진 사실이다. 일단 레티시아 왕비와 마리 샹탈은 2023년 초 콘스탄티노스 2세 장례식 때 대면하여 나름 밝은 모습의 사진을 남겼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