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Phantom ~Requiem for the Phantom~

덤프버전 :

팬텀 ~레퀴엠 포 더 팬텀~ (2009)
Phantom ~Requiem for the Phantom~
파일:팬텀레퀴엠포더팬텀_애니키비주얼.jpg
작품 정보 ▼

장르느와르
원작니트로플러스
원작 시나리오우로부치 겐
캐릭터 원안야노구치 키미(矢野口 君)
감독마시모 코이치
시리즈 구성쿠로다 요스케
애니메이션 캐릭터 디자인야마시타 요시미츠(山下喜光)
사사키 무츠미(佐々木睦美)
키쿠치 요코
카도 토모아키(門 智昭)
츠바타 요시아키(つばたよしあき)
시바 미나코(芝 美奈子)
메카닉 디자인테라오카 켄지(寺岡賢司)
미술 감독운노 요시미(海野よしみ)
색채 설계코지마 마키코(小島真喜子)
촬영 감독타케하라 켄지(武原健二)
특수 효과무라카미 마사히로(村上正博)
영상 연출카모 아유미(加茂あゆみ)
3D CGI 디렉터이노모토 에이지(井野元英二)
음향 감독츠루오카 요타
음악나나세 히카루
음악 제작란티스
음악 협력테레비 도쿄 뮤직
프로듀스젠코
프로듀서요시누마 시노부(吉沼 忍)
오오사와 노부히로(大澤信博)
애니메이션 프로듀서무라오카 히데아키(村岡秀昭)
마루 료지(丸 亮二)
애니메이션 제작BEE TRAIN
제작Project Phantom
방영 기간2009. 04. 03. ~ 2009. 09. 25.
방송국파일:일본 국기.svg 테레비 도쿄 / (금) 02:15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애니플러스
(월~목) 11:00(2회 연속방송)
편당 러닝타임24분
화수26화
시청 등급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파일:19세 이상 시청가 아이콘.svg 19세 이상 시청가


1. 개요
2. 공개 정보
3. 등장인물 및 주요 성우진
4. 주제가
4.1. OP1
4.2. ED1
4.3. OP2
4.4. ED2
5. 회차 목록
6. 해외 공개
6.1. 대한민국
7. 평가
8. 미디어 믹스
8.1. 코믹스
9. 기타



1. 개요[편집]


파일:attachment/e0071760_4b9ca3607e0ea.jpg

팬텀 오브 인페르노TV 애니메이션. 감독은 마시모 코이치, 각본가는 쿠로다 요스케. Requiem for the Phantom이라는 부제로 BEE TRAIN에서 제작했으며, 2009년 4월부터 총 2쿨 26화로 방영되었다.


2. 공개 정보[편집]


2004년에 발매된 OVA판의 심각한 저퀄리티와 캐릭터 왜곡, 아인과 아인 과거 왜곡을 자랑하는 흑역사를 씻어줄거라는 팬들의 기대에 부응해서 성우진도 대폭 교체되었으며 캐릭터 디자인도 한바탕 갈아 엎혀졌다. 특히 두 주인공인 아인과 츠바이, 클라우디아와 리지는 거의 누구세요 수준.

미국에서는 퍼니메이션을 통해, 한국과는 달리 영어더빙되어 방영된 바 있다.


3. 등장인물 및 주요 성우진[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Phantom -PHANTOM OF INFERNO-#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등장인물@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 주제가[편집]



4.1. OP1[편집]


OP1
KARMA
TV ver.
Full ver.
노래KOKIA
작사
작곡
편곡나나세 히카루
주제가 애니메이션 정보 ▼

콘티쿠로카와 토모유키(黒川智之)
연출
작화감독야마시타 요시미츠(山下喜光)



4.2. ED1[편집]


ED1
地獄の門
지옥의 문
TV ver.
MV ver.
노래ALI PROJECT
작사타카라노 아리카(宝野アリカ)
작곡카타쿠라 미키야(片倉三起也)
편곡
주제가 애니메이션 정보 ▼

콘티모리오카 히로시(モリヲカヒロシ)
연출
작화감독아마사키 마나무(天崎まなむ)



4.3. OP2[편집]


OP2
戦慄の子供たち
전율의 아이들
TV ver.
Full ver.
노래ALI PROJECT
작사타카라노 아리카(宝野アリカ)
작곡카타쿠라 미키야(片倉三起也)
편곡
주제가 애니메이션 정보 ▼

콘티모리오카 히로시(モリヲカヒロシ)
연출
작화감독야마시타 요시미츠(山下喜光)



4.4. ED2[편집]


ED2
Transparent
TV ver.
Full ver.
노래KOKIA
작사
작곡
편곡나나세 히카루
주제가 애니메이션 정보 ▼

콘티마시모 코이치
연출카모 아유미(加茂あゆみ)



5. 회차 목록[편집]


회차제목[1]각본콘티연출작화감독메카닉
작화감독
방영일
제1화覚醒
각성
쿠로다 요스케마시모 코이치사와이 코지야마시타 요시미츠
(山下喜光)
사이키 야스히로
(才木康寛)
日: 2009.04.03.
韓: 2009.12.07.
제2화訓練
훈련
효도 카즈호
(兵頭一歩)
모리오카 히로시
(モリヲカヒロシ)
아마사키 마나무
(天﨑まなむ)
日: 2009.04.10.
韓: 2009.12.07.
제3화実践
실천
야스카와 쇼고
(ヤスカワショウゴ)
사와이 코지쿠로카와 토모유키
(黒川智之)
카도 토모아키
(門 智昭)
-日: 2009.04.17.
韓: 2009.12.08.
제4화暗殺
암살
노나카 유키히토
(野中幸人)
쿠로다 요스케
카와츠라 신야츠바타 요시아키
(つばたよしあき)
사이키 야스히로日: 2009.04.24.
韓: 2009.12.08.
제5화刹那
찰나
시라네 히데키
(白根秀樹)
사와이 코지요시모토 타케시
(吉本 毅)
사사키 무츠미
(佐々木睦美)
日: 2009.05.01.
韓: 2009.12.09.
제6화大火
대화
우로부치 겐쿠로카와 토모유키엔도 다이스케
(遠藤大輔)
日: 2009.05.08.
韓: 2009.12.09.
제7화過去
과거
효도 카즈호사와이 코지카도 토모아키-日: 2009.05.15.
韓: 2009.12.10.
제8화急変
급변
타카하시 타츠야모리오카 히로시아마사키 마나무사이키 야스히로日: 2009.05.22.
韓: 2009.12.10.
제9화名前
이름
카와츠라 신야이미영
(李美英)
와타나베 아사미
(渡辺亜彩美)
日: 2009.05.29.
韓: 2009.12.14.
제10화終幕
종막
야스카와 쇼고요시모토 타케시야마시타 요시미츠日: 2009.06.05.
韓: 2009.12.14.
제11화襲名
습명
노나카 유키히토쿠로카와 토모유키이와오카 유코
(岩岡優子)
日: 2009.06.12.
韓: 2009.12.15.
제12화亡霊
망령
효도 카즈호모리오카 히로시사사키 무츠미日: 2009.06.19.
韓: 2009.12.15.
제13화偽装
위장
키무라 노보루사와이 코지카도 토모아키-日: 2009.06.26.
韓: 2009.12.16.
제14화監視
감시
야스카와 쇼고스기시마 쿠니히사요시모토 타케시엔도 다이스케사이키 야스히로日: 2009.07.03.
韓: 2009.12.16.
제15화再会
재회
타카하시 타츠야카와츠라 신야아마사키 마나무日: 2009.07.10.
韓: 2009.12.17.
제16화告白
고백
효도 카즈호쿠로카와 토모유키와타나베 아사미日: 2009.07.17.
韓: 2009.12.17.
제17화真相
진상
쿠로다 요스케모리오카 히로시야마시타 요시미츠日: 2009.07.24.
韓: 2009.12.21.
제18화対決
대결
우로부치 겐사와이 코지카도 토모아키
이미영
-日: 2009.07.31.
韓: 2009.12.21.
제19화約束
약속
노나카 유키히토요시모토 타케시이와오카 유코사이키 야스히로日: 2009.08.07.
韓: 2009.12.22.
제20화故郷
고향
쿠로다 요스케요코이 아키라
(横井 昭)
카와츠라 신야사사키 무츠미日: 2009.08.14.
韓: 2009.12.22.
제21화憤怒
분노
야스카와 쇼고쿠로카와 토모유키
카와츠라 신야
쿠로카와 토모유키엔도 다이스케日: 2009.08.21.
韓: 2009.12.23.
제22화激昂
격앙
타카하시 타츠야모리오카 히로시아마사키 마나무日: 2009.08.28.
韓: 2009.12.23.
제23화決断
결단
효도 카즈호사와이 코지와타나베 아사미日: 2009.09.04.
韓: 2009.12.24.
제24화対峙
대치
쿠로다 요스케야마모토 히데요요시모토 타케시이미영日: 2009.09.11.
韓: 2009.12.24.
제25화決着
결착
우로부치 겐카와츠라 신야사사키 무츠미日: 2009.09.18.
韓: 2009.12.28.
제26화江漣
에렌
쿠로다 요스케쿠로카와 토모유키엔도 다이스케
와타나베 아사미
日: 2009.09.25.
韓: 2009.12.28.


6. 해외 공개[편집]



6.1. 대한민국[편집]


한국에서는 애니플러스에서, 개국 신작으로 2009년 12월에 부제를 떼고 원어로 동시방영만 되었다. 자막 퀄리티는 때때로 자막이 안 나오고 오역이나 탈자가 있는 등 상당히 저질이었다. TV 방송판의 경우에는 오프닝과 엔딩 노래에 가사 자막이 빠져 있었으나, 애니플러스 공식 홈페이지에서 무료로 제공되었던 VOD에서는 가사 자막이 나왔다. 일본판에서는 "이 이야기는 픽션입니다. 실제 인물, 단체, 사건과 관계없습니다." 라는 메시지가 매 에피소드 끝에 나왔는데, 애니플러스판에서는 해당 메시지가 매 에피소드가 시작되기 전에 나왔다.

2010년 4월 국회방송에서 이 문제의 작품을 리뷰하면서 추천을 했다. 그것도 전연령가에 근접하는 낮은 연령가로 표기.

SK B tv에서도 애니플러스 자막판을 무료로 서비스한 적이 있는데, SK B tv에서는 오프닝과 엔딩은 편집되었다.[2]


7. 평가[편집]


마시모 코이치 감독작답게 심리 묘사가 대폭 생략된 대신 배경 묘사로 캐릭터 심리를 은유해서 대체하고 있으므로 뛰어난 눈썰미가 필요하다. 애니메이션 시나리오는 팬텀 시리즈메인 엔딩아인(엘렌)루트를 따르고 있으며, 은유적인 묘사가 많아 내용 이해가 어려울 수도 있으나 이 점을 감안하면 잘 만들어진 수작이라는 평가다. 그러나, 최종화의 마지막 3분이 작품 전체의 호불호가 갈리는 양상을 만들었다.[3][4] 이는 당시 원작 팬들에게는 당혹감을, 애니메이션 팬에게는 충격과 공포'를 선사했다.

여담으로, 애니메이션 시리즈 구성을 담당한 쿠로다 요스케는 '왜 그런 반응이냐? 애당초 그 결말이 제일 좋은 시나리오였다고.'라고 하면서, 모처럼 충분히 만족한 작품이라고 한다. 자신의 의견이 100% 수용된 얼마 안되는 작품이며, 팬텀 기획 단계 때 문제의 3분 시나리오를 제일 먼저 들고왔다고 한다. 다만, 쿠로다는 이 작품을 토대로 TV 애니메이션 구성과 각본 작성법을 원작 시나리오 라이터에게 전수해 주면서 새로운 작품을 구상하는 데 큰 도움이 되었다고 한다.#

BD/DVD 판매량은 평균 약 1800장으로 그렇게 흥하지는 않았다. 여담으로 BD/DVD 마지막 권 표지는 스포일러이므로 열람에 주의를 요한다.


8. 미디어 믹스[편집]



8.1. 코믹스[편집]


파일:attachment/e0071760_4b9ca2decb2e8.jpg

코믹스판 부제도 레퀴엠 포 더 팬텀이다.
만화책판 작가가 아인 안티인건지 히로인인 아인의 존재가 무서울 정도로 옅어졌다(...). 심지어 킹 오브 잉여인 후지에다 미오보다 희박한 비중.
드라이의 비중이 급부상해서 많은 사람들이 드라이 루트로 갈것이라고 예상했으나 결말은 아인(엘렌)엔딩이다. 아인이 메인히로인임에도 불구하고 그 문제의 공기화때문에 아인 엔딩으로 가게 될 줄은 몰랐다는 의견이 지배적이다.
한국에는 정식 발매되지 않았으며, 총 3권으로 완결되었다.

참고로 1권에서 레이지의 회상에 원피스를 입은 어린 소녀가 나오며 그 소녀에게 특별한 마음을 가지고 있다는 식의 묘사가 있는데, 그 소녀는 아인이라고 한다. 그런데 레이지는 아인의 유년시절을 모른다. 코믹스판만의 설정구멍으로 추정.


9. 기타[편집]


  • 본작의 감독인 마시모 코이치는 이전 NOIR에서 팬텀 오브 인페르노의 표절 논란을 빚은 적이 있다. 해당 논란은 곧 해프닝으로 종식되었으나 이후 TV 애니메이션이 기획되고 NOIR - MADLAX - 엘 카자드로 이어지는 건액션 작품의 대가가 본작의 감독으로 발표되면서 화제를 낳았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01 22:59:13에 나무위키 Phantom ~Requiem for the Phantom~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한국어 번역 제목은 정식 방영사인 애니플러스 방영판을 기준으로 한다.[2] 때문에 프롤로그가 포함된 에피소드에서는 프롤로그까지 잘려 나갔다. 다만 엔딩과 차회예고는 순서 편집이 이루어진 채로 방송되어서 차회예고는 편집되지 않았다.[3] 원작가인 우로부치 겐도 마음에 들어하지 않는다고 밝혔다.[4] 애니판의 제목(팬텀을 위한 진혼곡) 자체가 떡밥이자 스포일러이다. 자세한 것은 쯔바이(팬텀 시리즈) 항목 참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