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CD 마요르카

덤프버전 : (♥ 0)

파일:라리가 EA SPORTS 로고.svg
2023-24 시즌 참가 클럽
[ 펼치기 · 접기 ]

#555555,#aaaaaa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91919><height=80><width=25%> [[그라나다 CF|[[파일:그라나다 CF 로고.svg|height=45]]]][br]
[[그라나다 CF|{{{#FFF '''그라나다'''}}}]]
||<width=25%> [[UD 라스팔마스|[[파일:UD 라스팔마스 로고.svg|height=45]]]][br]
[[UD 라스팔마스|{{{#004b9d '''라스팔마스'''}}}]]
||<width=25%> [[라요 바예카노|[[파일:라요 바예카노 로고.svg|height=45]]]][br]
[[라요 바예카노|{{{#e53027 '''라요'''}}}]]
||<width=25%> [[레알 마드리드 CF|[[파일:레알 마드리드 CF 로고.svg|height=45]]]][br]
[[레알 마드리드 CF|{{{#004996 '''레알 마드리드'''}}}]]
|| ||<height=80><width=25%> [[RCD 마요르카|[[파일:RCD 마요르카 로고.svg|height=45]]]][br]
[[RCD 마요르카|{{{#000 '''마요르카'''}}}]]
||<width=25%> [[FC 바르셀로나|[[파일:FC 바르셀로나 로고.svg|height=45]]]][br]
[[FC 바르셀로나|{{{#EDBB00 '''바르셀로나'''}}}]]
|| [[발렌시아 CF|[[파일:발렌시아 CF 로고.svg|height=45]]]][br]
[[발렌시아 CF|{{{#ff671f '''발렌시아'''}}}]]
|| [[레알 베티스 발롬피에|[[파일:레알 베티스 발롬피에 로고.svg|height=45]]]][br]
[[레알 베티스 발롬피에|{{{#fff '''베티스'''}}}]]
|| ||<height=80><width=25%> [[비야레알 CF|[[파일:비야레알 CF 로고.svg|height=45]]]][br]
[[비야레알 CF|{{{#005187 '''비야레알'''}}}]]
|| [[세비야 FC|[[파일:세비야 FC 로고.svg|height=45]]]][br]
[[세비야 FC|{{{#eb2626 '''세비야'''}}}]]
|| [[RC 셀타 데 비고|[[파일:RC 셀타 데 비고 로고.svg|height=45]]]][br]
[[RC 셀타 데 비고|{{{#fff '''셀타 비고'''}}}]]
|| [[레알 소시에다드|[[파일:레알 소시에다드 로고.svg|height=45]]]][br]
[[레알 소시에다드|{{{#fff '''소시에다드'''}}}]]
|| ||<height=80><width=25%> [[아틀레티코 마드리드|[[파일:아틀레티코 마드리드 로고(2017~2024).svg|height=45]]]][br]
[[아틀레티코 마드리드|{{{#fff '''아틀레티코'''}}}]]
|| [[아틀레틱 클루브|[[파일:아틀레틱 클루브 로고.svg|height=45]]]][br]
[[아틀레틱 클루브|{{{#fff '''아틀레틱'''}}}]]
|| [[데포르티보 알라베스|[[파일:데포르티보 알라베스 로고.svg|height=45]]]][br]
[[데포르티보 알라베스|{{{#fff '''알라베스'''}}}]]
|| [[UD 알메리아|[[파일:UD 알메리아 로고.svg|height=45]]]][br]
[[UD 알메리아|{{{#fff '''알메리아'''}}}]]
|| ||<height=80><width=25%> [[CA 오사수나|[[파일:CA 오사수나 로고.svg|height=45]]]][br]
[[CA 오사수나|{{{#14213d '''오사수나'''}}}]]
|| [[지로나 FC|[[파일:지로나 FC 로고.svg|height=45]]]][br]
[[지로나 FC|{{{#fff '''지로나'''}}}]]
|| [[카디스 CF|[[파일:카디스 CF 로고.svg|height=45]]]][br]
[[카디스 CF|{{{#0045a7 '''카디스'''}}}]]
|| [[헤타페 CF|[[파일:헤타페 CF 엠블럼.svg|height=45]]]][br]
[[헤타페 CF|{{{#fff '''헤타페'''}}}]]
|| ||<-4><bgcolor=#00D4D7> [[틀:라리가 2|[[파일:라리가 하이퍼모션 로고 화이트.svg|height=40]] {{{#fff ▶}}}]] || ||<-4> {{{-1 [[라리가|[[파일:스페인 국기.svg|width=20]] 라리가]]|[[틀:세리에 A|[[파일:이탈리아 국기.svg|width=20]] 세리에 A]]|[[틀:프리메이라 리가|[[파일:포르투갈 국기.svg|width=20]] 프리메이라 리가]][br][[틀:쉬페르리그|[[파일:튀르키예 국기.svg|width=20]] 쉬페르리그]]|[[틀:프로타트리마 A 카티고리아스|[[파일:키프로스 국기.svg|width=20]] A 카티고리아스]]|[[틀:세르비아 수페르리가|[[파일:세르비아 국기.svg|width=20]] 수페르리가]][br][[틀:프르바 HNL|[[파일:크로아티아 국기.svg|width=20]] 프르바 HNL]]|[[틀:수페르리가 엘라다|[[파일:그리스 국기.svg|width=20]] 수페르리가]]|[[틀:리갓 하알|[[파일:이스라엘 국기.svg|width=20]] 리갓 하알]][br][[틀:파르바 리가|[[파일:불가리아 국기.svg|width=20]] 파르바 리가]]|[[틀:리가 I|[[파일:루마니아 국기.svg|width=20]] 리가 I]]|[[틀: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프리미어 리그|[[파일: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국기.svg|width=20]] 프리미어 리그]][br][[틀:프르바 리가|[[파일:북마케도니아 국기.svg|width=20]] 프르바 리가]]|[[틀:카테고리아 수페리오레|[[파일:알바니아 국기.svg|width=20]] 카테고리아 수페리오레]]|[[틀:몰타 프리미어 리그|[[파일:몰타 국기.svg|width=20]] 몰타 프리미어 리그]][br][[틀:코소보 수페르리가|[[파일:코소보 국기.svg|width=20]] 코소보 수페르리가]]|[[틀:지브롤터 풋볼 리그|[[파일:지브롤터 기.svg|width=20]] 풋볼 리그]]|[[틀:프르바 CFL|[[파일:몬테네그로 국기.svg|width=20]] 프르바 CFL]][br][[틀:프리메라 디비지오|[[파일:안도라 국기.svg|width=20]] 프리메라 디비지오]]|[[틀:캄피오나토 삼마리네세 디 칼초|[[파일:산마리노 국기.svg|width=20]] 캄피오나토 삼마리네세]]}}} || ||<-4> [[틀:세계 축구 주요 리그 및 대표팀/둘러보기 틀|전세계 리그 및 대표팀 보기]] ||




파일:RCD 마요르카 로고.svg
RCD 마요르카
RCD Mallorca
정식 명칭Real Club Deportivo Mallorca, S.A.D.
별칭로스 베르메요네스(Los Bermellones)[1]
약칭MLL
창단1916년 3월 5일 (108주년)[2]
소속 리그파일:라리가 로고(세로형).svg 라리가 (La Liga)
연고지마요르카 (Mallorca) 섬 팔마 (Palma)
홈구장에스타디 마요르카 손 모시 (Visit Mallorca Estadi)
23,142명 수용
회장
파일:미국 국기.svg

앤디 콜버그 (Andy Kohlberg)
감독
파일:멕시코 국기.svg

하비에르 아기레 (Javier Aguirre)
주장
파일:스페인 국기.svg

안토니오 라이요 (Antonio Raíllo)
역대 한국인 선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기성용 (202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이강인 (2021~2023)
공식 웹사이트파일:RCD 마요르카 로고.svg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파일:틱톡 아이콘.svg 파일:LinkedIn 아이콘.svg
우승 기록
세군다 디비시온 (2부)
(2회)
1959-60, 1964-65
세군다 디비시온 B (3부)
(2회)
1980-81, 2017-18
코파 델 레이
(1회)
2002-03
수페르코파 데 에스파냐
(1회)
1998
클럽 기록
최다 출장
파일:스페인 국기.svg

미겔 앙헬 나달 (Miguel Ángel Nadal) - 255경기 (1987~1991, 1999~2005)
최다 득점
파일:카메룬 국기.svg

사무엘 에투 (Samuel Eto'o) - 70골 (2000~2004)
최고 이적료 영입
파일:스페인 국기.svg

세르지 다르데르 (Sergi Darder)
(2023년, From RCD 에스파뇰, 800만 €)
최고 이적료 방출
파일:카메룬 국기.svg

사무엘 에투 (Samuel Eto'o)
(2004년, To FC 바르셀로나, 2,700만 €)

2022-23 시즌 유니폼
파일:RCD 마요르카 HOME 22/23.png파일:RCD 마요르카 AWAY 22/23.png파일:RCD 마요르카 THIRD 22/23.png
HOME
AWAYTHIRD

1. 개요
2. 역사
2.1. 2021-22 시즌
2.2. 2022-23 시즌
2.3. 2023-24 시즌
2.4. 역대 리그 순위
3. 선수단
4. 기타
5. 우승 경력



1. 개요[편집]


스페인 라리가 소속의 프로 축구 클럽이다.


2. 역사[편집]


창단 이래 2부 리그를 전전하는 중소 클럽으로서 크게 두각을 나타내지 못했지만, 1990년대부터 미겔 앙헬 나달[3] 같은 걸출한 스타 선수를 배출하는 등 조금씩 주목을 받았다. 1997-98 시즌 코파 델 레이 준우승, 리그 5위, 수페르코파 데 에스파냐 우승, 1998-99 시즌 UEFA 컵 위너스컵 준우승이란 대이변을 일으키며 전성기를 맞이하며 돌풍의 핵으로 떠올랐고 당시 팀을 진두지휘한 감독은 바로 엑토르 쿠페르였다.

마요르카는 쿠페르 감독이 발렌시아 CF로 떠난 뒤 루이스 아라고네스 감독 휘하에서 다시 한번 전성기를 맞이했다. 2000-01 시즌, 사무엘 에투알베르트 루케, 아리엘 이바가사 삼각 편대를 앞세워 리그 3위에 올라 UEFA 챔피언스 리그에 진출하는 기염을 토한 것이다.

2002-03 시즌에는 그레고리오 만사노 감독 주도하에, 에투가 결승전 2골을 포함해 코파 델 레이에서 총 6경기 5골을 기록하는 맹활약을 펼쳐 코파 델 레이 정상에 오르며 창단 첫 메이저 트로피를 추가했고, 이후 라리가 중위권에 자리잡아 상위권 팀들의 발목을 잡아채는 '물귀신' 역할을 톡톡히 해냈다.

2005-06 시즌부터 '그레고리오 만사노 시대'에 돌입하여 꾸준히 좋은 성적을 냈으며 주축 선수들이 매년 여름 이적하는 와중에도 새로운 팀으로 변신하는 놀라운 모습을 보여줬다. 특히 다니엘 구이사와 돌아온 이바가사를 앞세운 2007-08 시즌에는 리그 7위에, 아리츠 아두리스-호세 마누엘 후라도 콤비가 빛났던 2008-09 시즌에는 코파 델 레이 4강에, 돌아온 후라도와 보르하 발레로가 뛰었던 2009-10 시즌에는 리그 5위에 오르는 등 좋은 모습을 이어갔다. 홈에서 인상적인 경기를 많이 연출하기로 유명해 한국 팬들에게는 '홈요르카'라는 별명으로 불렸다. 꾸준히 라리가 정상급 스트라이커와 플레이메이커를 배출한 클럽으로도 명성을 떨치고 있다.

그러나 만사노 감독 시대는 파산 직전까지 몰린 재정난으로 인해 막을 내리고 말았다. 2010년 6월, 과거 팀을 이끌었던 로렌소 세라 페레르 감독이 이끄는 투자 그룹에 인수됐으며 세라 페레르는 최대 주주 겸 부회장, 디렉터로서 팀을 지휘했다. 2010년 5위를 차지하며 유로파 리그 진출권을 따낸 마요르카였지만, 위에서 언급된 재정난으로 진출권을 박탈당하며 유럽 대회 진출이 무산됐다. 여기에 2011년을 최악으로 보내며 강등 위기에 직면해 있었다. 다행히 17등을 기록하며 간신히 살아남은 마요르카는 2012년에는 유로파 진출 목전인 8위까지 뛰어올랐다.

하지만 2013년 재정난이 겹치며 지오반니 도스 산토스의 맹활약에도 불구하고 18위로 강등당하며 질기던 1부 생활을 청산했다. 16년 만의 강등. 이후에는 세군다 디비시온에서도 섬 팀 특유의 기복과 더불어 승격권은 커녕 계속 하위권에 머물며 16-17 시즌에는 3부 리가로 또 강등당했다. 그래도 17-18 시즌 다시 세군다로 승격했다.

18-19 시즌 최종 5위를 차지하며 세군다 승격 1시즌 만에 라리가 승격 플레이오프를 치르게 되었다. 승격 플레이오프 알바세테와의 준결승에서 홈 2-0 승리, 원정에서는 0-1로 졌으나 합계 2-1로 결승 진출, 말라가를 제압하고 올라온 데포르티보와 붙었다. 1차전은 0-2로 패했으나 2차전은 홈 극강답게 완벽한 경기력을 보여주며 3-0 승, 6시즌 만에 라리가로 승격했다.

그러나 19-20 시즌 37라운드 그라나다전에서 2-1로 패배하면서 승격 1년 만에 2부 리그로 강등이 확정되었다. 쿠보 다케후사를 앞세워 어떻게든 버텨 왔지만 한계가 명백했고 2부 리그에서도 정규 리그 5위였던 경기력으로 라리가에서 여기까지 살아남은 것도 기적이었다.

20-21 시즌에는 2부 리그인 세군다에서 24승 10무 8패 승점 82점으로 2위를 기록하며 다시 1년 만에 1부 리그 승격이 확정되었다.

2.1. 2021-22 시즌[편집]


21-22 시즌 초반 리그 3경기에서 2승1무를 기록하며 최고의 출발을 알렸고, 이후 무승부와 패배를 번갈아가면서 기록하며 순위가 내려갔으나 16R 아틀레티코 마드리드 원정에서 2-1 승리를 거두는 등 만만치 않은 모습을 보이며 16R 기준으로 리그 12위로 무난한 성적을 거두고 있었다.

그러나 18R부터 30R까지 13경기에서 2승 11패라는 엽기적인 성적으로 추락했으며, 특히 23~24R 승리를 제외할 시에 5연패를 두 차례나 기록할 정도로 처참한 성적을 기록하고 만다. 수비와 공격 모두 개판오분전 그 자체였다. 그러면서 순위 역시 강등권인 18위까지 하락하게 되었고, 결국 루이스 가르시아 감독이 29R 경기 패배 이후 경질되고 하비에르 아기레가 새 감독으로 부임했다.

아기레 부임 후 2번째 경기인 31R 아틀레티코 마드리드전에서 승리를 따내며 분위기 반전에 성공하는 듯했으나[4], 이후 5경기에서 1승 1무 3패로 여전히 허덕이는 모습을 보이며 강등권에서 벗어나지 못했다. 그렇게 강등의 그림자가 짙어지는 듯했는데...

37R 라요 바예카노전에서 2:1 승리, 38R CA 오사수나와의 최종전에서 0:2 승리를 따내며 승점 39점으로 16위를 기록해 극적으로 리그 잔류에 성공했다. 강등의 마지노선인 18위의 승점이 38점이었기 때문에 두 경기 중 하나라도 승리를 거두지 못했다면 강등은 마요르카의 몫이었다. 어쨌든 라리가 복귀 시즌을 극적으로 잔류하며 다음 시즌에도 라리가에서 보게 되었다.

2.2. 2022-23 시즌[편집]


아기레 감독의의 지도하에 선수들의 개인능력이 오르면서 내용이 좋은 경기들이 만들어지고 있다. 그러나 수비진의 안정감은 아직 모자라 선제골을 넣고도 후반 실점을 허용하는 경우가 많다.

11월에는 13R 비야레알 CF 원정에서 키케 세티엔에게 전술적 우위를 점해 2-0으로 눌러 승리했다. 리그 14R 아틀레티코 마드리드와의 홈 경기에서는 선수들의 허슬플레이로 선제골을 넣은 후 우주방어를 보여주며 승리를 챙겨 리그 4위 알레띠의 발목을 잡았다. 2연승을 거두며 승점을 챙겨 팀순위도 10위로 올랐고 분위기도 최고조인 상태에서 월드컵 휴식기를 맞이했다.

월드컵 이후 15R 헤타페 CF 원정 2:0 패, 16R 레알 바야돌리드전 1:0 승, 17R CA 오사수나 원정 1:0 패, 18R RC 셀타 데 비고전 1:0 승리를 기록하며 2승 2패로 무난한 성적을 이어가고 있다. 한편, 코파 델 레이에서는 32강까지 순항했으나 16강 레알 소시에다드 원정에서 1:0으로 아쉽게 패배하며 8강 진출에는 실패했다.

20R 레알 마드리드전에서 1:0으로 승리하는 이변을 연출했다.

시즌 마지막 경기 38R 라요 바예카노전 홈경기에서 베다트 무리키의 선제골로 시작하여 호세 코페테의 추가골, 다니 로드리게스의 쐐기골로 3대0 승리하여 기분 좋게 시즌을 마무리했다. 최종 순위는 9위.

2월 후반부터 약 한달동안 잠깐 주춤하나 싶었으나 이후 리그 후반기 10경기에서 5승 1무 4패를 거두는 등 순항하여 11-12시즌 8위 이후 11년만에 최고 순위인 9위로 시즌을 끝마쳤다.

시즌 시작전에는 많은 사람들이 전력상 잔류 경쟁을 할것으로 예상하였으나 아기레 감독이 잘 다져놓은 수비적인 3백을 기반으로한 실리적인 수비전술과 이강인, 베다트 무리키, 프레드라그 라이코비치, 안토니오 라이요 등 여러 공수 자원들이 적재적소에서 활약해주어 예상과 달리 중위권인 9위에 안착하는 성공적인 시즌을 보냈다.

2.3. 2023-24 시즌[편집]



2.4. 역대 리그 순위[편집]


파일:RCD 마요르카 로고.svg
역대 리그 순위
[ 펼치기 · 접기 ]

시즌 리그 순위
1928-294캄페오나토 레히오날 발레아르
1929-304캄페오나토 레히오날 발레아르
1930-314캄페오나토 레히오날 발레아르
1931-323테르세라 디비시온 3조 A4
1932-334캄페오나토 레히오날 발레아르2
1933-344캄페오나토 레히오날 발레아르4
1934-354캄페오나토 레히오날 발레아르3
1935-364캄페오나토 레히오날 발레아르1
1936-37스페인 내전으로 인한 중단
1937-38
1938-39
1939-402세군다 디비시온 3조7
1940-414프리메라 레히오날2
1941-424프리메라 레히오날1
1942-434프리메라 레히오날1
1943-443테르세라 디비시온 4조1
1944-452세군다 디비시온11
1945-462세군다 디비시온8
1946-472세군다 디비시온5
1947-482세군다 디비시온13
1948-493테르세라 디비시온 3조3
1949-502세군다 디비시온 2조11
1950-512세군다 디비시온 2조12
1951-522세군다 디비시온 2조6
1952-532세군다 디비시온 2조8
1953-542세군다 디비시온 2조16
1954-553테르세라 디비시온 8조 마요르카1
1955-563테르세라 디비시온 8조 마요르카2
1956-573테르세라 디비시온 8조1
1957-583테르세라 디비시온 8조1
1958-593테르세라 디비시온 8조1
1959-602세군다 디비시온 2조1
1960-611프리메라 디비시온9
1961-621프리메라 디비시온11
1962-631프리메라 디비시온13
1963-642세군다 디비시온 2조3
1964-652세군다 디비시온 2조1
1965-661프리메라 디비시온15
1966-672세군다 디비시온 2조5
1967-682세군다 디비시온 2조4
1968-692세군다 디비시온3
1969-701프리메라 디비시온15
1970-712세군다 디비시온9
1971-722세군다 디비시온12
1972-732세군다 디비시온10
1973-742세군다 디비시온11
1974-752세군다 디비시온17
1975-763테르세라 디비시온 3조9
1976-773테르세라 디비시온 3조3
1977-783세군다 디비시온 B 2조18
1978-794테르세라 디비시온 5조13
1979-804테르세라 디비시온 8조1
1980-813세군다 디비시온 B 2조1
1981-822세군다 디비시온6
1982-832세군다 디비시온3
1983-841프리메라 디비시온17
1984-852세군다 디비시온7
1985-862세군다 디비시온3
1986-871프리메라 디비시온6
1987-881프리메라 디비시온18
1988-892세군다 디비시온4
1989-901프리메라 디비시온10
1990-911프리메라 디비시온15
1991-921프리메라 디비시온20
1992-932세군다 디비시온4
1993-942세군다 디비시온5
1994-952세군다 디비시온12
1995-962세군다 디비시온3
1996-972세군다 디비시온3
1997-981프리메라 디비시온5
1998-991프리메라 디비시온3
1999-001프리메라 디비시온10
2000-011프리메라 디비시온3
2001-021프리메라 디비시온16
2002-031프리메라 디비시온9
2003-041프리메라 디비시온11
2004-051프리메라 디비시온17
2005-061프리메라 디비시온13
2006-071프리메라 디비시온12
2007-081프리메라 디비시온7
2008-091프리메라 디비시온9
2009-101프리메라 디비시온5
2010-111프리메라 디비시온17
2011-121프리메라 디비시온8
2012-131프리메라 디비시온18
2013-142세군다 디비시온17
2014-152세군다 디비시온16
2015-162세군다 디비시온17
2016-172세군다 디비시온20
2017-183테르세라 디비시온 3조1
2018-192세군다 디비시온5
2019-201프리메라 디비시온19
2020-212세군다 디비시온2
2021-221프리메라 디비시온16
2022-231프리메라 디비시온9


3. 선수단[편집]


[ 펼치기 · 접기 ]

RCD 마요르카 2023-24 시즌 스쿼드 [주의]
등번호국적포지션한글 성명로마자 성명생년월일신체조건비고
1파일:세르비아 국기.svgGK프레드라그 라이코비치Predrag Rajkovic1995.10.31 (28세)191cm, 85kg
3파일:스페인 국기.svgDF토니 라토Toni Lato1997.11.21 (26세)171cm, 64kg
4파일:벨기에 국기.svgDF지베 판데르헤이던Siebe Van der Heyden1998.05.30 (26세)185cm, 76kg
5파일:스페인 국기.svgMF오마르 마스카렐Omar Mascarell1993.02.02 (31세)181cm, 76kg
6파일:스페인 국기.svgDF호세 코페테Jose Copete1999.10.10 (24세)192cm
7파일:코소보 국기.svgFW베다트 무리치Vedat Muriqi1994.04.24 (30세)194cm, 92kg
8파일:스페인 국기.svgMF마누 모를라네스Manuel Morlanes1999.01.12 (25세)178cm, 75kg
9파일:스페인 국기.svgFW아브돈 프라츠Abdón Prats1992.12.17 (31세)181cm
10파일:스페인 국기.svgMF세르지 다르데르Sergi Darder1993.12.22 (30세)180cm, 71kg
11파일:스페인 국기.svgDF자우메 코스타Jaume Costa1988.03.18 (36세)171cm
12파일:포르투갈 국기.svgMF사무 코스타Samú Costa183cm, 75kg
13파일:슬로바키아 국기.svgGK도미닉 그라이프Dominik Greif1997.04.06 (27세)197cm
14파일:스페인 국기.svgMF다니 로드리게스Dani Rodríguez1988.06.06 (36세)177cm
15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DF파블로 마페오Pablo Maffeo1997.07.12 (26세)172cm
17파일:캐나다 국기.svgFW카일 래린Cyle Larin1995.04.17 (29세)188cm, 90kg
18파일:스페인 국기.svgMF안토니오 산체스Antonio Sánchez1997.04.22 (27세)179cm
19파일:스페인 국기.svgFW하비 야브레스Javi Llabrés2002.09.11 (21세)174cm, kg
20파일:우루과이 국기.svgDF조바니 곤살레스Giovanni Gonzalez1994.09.20 (29세)174cm, 75kg
21파일:스페인 국기.svgDF안토니오 라이요Antonio Raíllo1991.01.08 (33세)186cm, 77kg주장
22파일:프랑스 국기.svgMF클레망 그르니에Clément Grenier1991.01.07 (33세)187cm, 79kg
23파일:세네갈 국기.svgFW아마스 은디아예Amath Ndiaye1996.07.16 (27세)173cm
24파일:슬로바키아 국기.svgDF마르틴 발리옌트Martin Valjent1995.12.11 (28세)187cm
25파일:스페인 국기.svgGK이반 쿠에야르Iván Cuéllar1984.05.27 (40세)187cm, 76kg
구단 정보
회장: 로버트 사버 / 감독: 하비에르 아기레 / 홈 구장: 비지트 마요르카 에스타디
출처 : 공식 홈페이지, 마지막 수정 일자 2023년 7월 9일
[주의] 이 틀은 기기 환경에 따라 볼 때 상당히 길 수 있습니다. 스쿼드에 대한 간략한 틀은 여기를 참고해주세요. 또한 이 틀을 수정할 때는 여기도 같이 수정해주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4. 기타[편집]



  • 2020년 데뷔한 루카 로메로가 15세 221일로 라리가 최연소 데뷔 기록을 가지고 있다.

  • 원래 BETFRED라는 영국 도박업체의 후원을 받았으나, 스페인 정부가 취약계층이 도박에 큰 영향을 받고 있다며 베팅업체의 후원을 금지함에 따라 21-22 시즌 유니폼에서 스폰서를 없앴다. 현재는 쿠보 덕분에 Taica 사의 알파겔 후원을 받는 중.

  • 국내에서는 기성용이강인이 소속했기 때문에 인지도가 있다. 한국 관광객들이 이강인을 보기 위해 줄을 길게 선 모습을 구단 측에서 SNS에 게재해 화제가 된 적이 있다. #

5. 우승 경력[편집]


[1] 영어로 하면 vermillion. 팀의 상징색인 주홍색이다.[2] #[3] 유명 테니스 선수 라파엘 나달의 삼촌이며, 훗날 은퇴하고 조카의 테니스 코치로 장기간 활동하기도 했다.[4] 이번 시즌 아틀레티코 상대 더블이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02 05:02:24에 나무위키 RCD 마요르카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