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그 익스텐션

덤프버전 : (♥ 0)

보디빌딩
Bodybuilding

[ 펼치기 · 접기 ]

연관 학문
영양학
인물
세르히오 올리바
브랜든 헨드릭슨
레이먼트 에드몬즈
카이론 홀던
이준호
기반
종목
IFBB(맨즈 피지크 클래식 피지크 피규어 비키니) 미스터 올림피아 미스터코리아 미스터 서울 AGP NPC 머슬 매니아 YMCA 보디빌딩 NABBA UNF 뉴욕 프로 템파 프로 아놀드 클래식 김준호 클래식 이승철 클래식 전국체전
이론
머슬 메모리 무분할 운동 점진적 과부하 근수축 및 이완(등장성 등척성 등속성) 애프터번 강제반복 고립운동 스트렝스 트레이닝 벌크업 린매스업 반사이론 수직 계측형 이론 FFMI 글리코겐 로딩 오버트레이닝 베르그만의 법칙 볼프의 법칙
운동
핵심 구성
부위
포징규정포즈(라인업 프론트 더블 바이셉스 프론트 랫 스프레드 사이드 체스트 백 더블 바이셉스 트라이셉스 앱도미널 & 타이), 아놀드 포즈, 베큠, 문포즈, 쿼터턴
자격증





무산소 운동 중 하나로써, 흔히 헬스장에서 볼 수 있는 레그 익스텐션 머신을 말한다.

시트에 앉아 대퇴골의 80%정도가 패드에 닿게 등받이를 조절하고 발목에 바를 위치한 뒤 대퇴사두근을 수축시켜 들어올린다. 이때 대퇴직근에 힘을 주어 들어올려야 한다. 중량은 본인이 대퇴직근을 컨트롤 할수 있는 선에서 자극이 잘 오는 중량을 선택한다. 대퇴직근에 힘을 주기 위해선 대퇴직근의 해부학적 특성과 기능을 알아야 하는데, 대퇴직근은 광근과 다르게 무릎을 펴는 역할 뿐만 아니라 대퇴골을 들어올리는 역할, 즉 고관절을 굴곡시키는 기능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수축할 때 허벅지를 들어 올린다는 느낌으로 수축시키고, 내릴 때 살짝 골반을 들어서 최대 이완을 유도하면 대퇴직근에 강한 자극을 느낄 수 있다.

흔히 최고의 하체 운동으로 불리는 스쿼트는 대퇴직근을 키우기 어렵기 때문에[1] 대퇴사두의 불균형을 방지하기 위해선 레그 익스텐션이나 리버스 노르딕컬 같은 운동으로 따로 단련해야 한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25 08:18:00에 나무위키 레그 익스텐션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1 스쿼트는 앉았을 때 무릎이 굴곡될 때 고관절도 굴곡되고, 무릎을 신전시킬 때 고관절도 신전되기에 대퇴직근에 유의미한 기계적 장력이 거의 없어 대퇴직근 성장을 이루기 힘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