드 해빌랜드 캐나다 DHC-8

덤프버전 : (♥ 0)

분류

파일:봉바르디에_로고.png
[ 봉바르디에 항공기 목록 ]

비즈니스 전용기
Challenger 시리즈 ‧ Global 시리즈Learjet 시리즈
기타 항공기
Short 330 ‧ Short 360CL-415
매각된 항공기
Q400C시리즈CRJ200 시리즈CRJ700 시리즈
드 해빌랜드 캐나다의 항공기
단발기DHC-1 ‧ DHC-2 ‧ DHC-3
쌍발 민항기DHC-6DHC-8
쌍발 수송기DHC-4 ‧ DHC-5
4발기DHC-7

※ 제조사별 항공기 둘러보기


1. 개요
2. 개발
3. 봉바르디에의 DHC 인수, 다시 매각
4. 제원
5. 세부 기종
5.1. DHC-8 Series 100
5.1.1. DHC-8-101
5.1.2. DHC-8-102/-102A
5.1.3. DHC-8-103
5.1.4. DHC-8-106
5.1.5. 봉바르디에 Dash 8 Q100
5.1.6. 군용 형식 및 기타 기종
5.2. DHC-8 Series 200
5.2.1. DHC-8-201
5.2.2. DHC-8-202
5.2.3. 봉바르디에 Dash 8 Q200
5.3. DHC-8 Series 300
5.3.1. DHC-8-301
5.3.2. DHC-8-311
5.3.3. DHC-8-314
5.3.4. DHC-8-315
5.3.5. 봉바르디에 Dash 8 Q300
5.3.6. 군용 형식 및 기타 기종
5.4.1. 군용 형식 및 기타 기종
5.4.1.1. DHC-8 MPA-D8
6. 특징

드 해빌랜드 캐나다 DHC-8의 롤아웃 현장[1]


1. 개요[편집]


드해빌랜드 캐나다 DHC-8, De Havilland Canada DHC-8

캐나다의 국영 기업이었던[2] 구 드해빌랜드 캐나다에서 1980년대 초반에 구상하여 1984년부터 상업 운항을 시작한 쌍발 터보프롭 리저널 STOL 여객기. 2019년 6월부터 부활한 드해빌랜드 캐나다가 생산한다.

1980년대 초반 드 해빌랜드 캐나다는 DHC-7의 판매 부진으로 타격을 입은 상태라(개발하는데에 자금을 모조리 써버렸고 이는 드 해빌랜드 캐나다의 재정 악화 및 파산에 큰 영향을 끼쳤다.) 재빨리 복구해야 하는 상태였다. DHC-7의 4발 엔진을 2발로 줄이고, 주익을 재설계하는 등 DHC-7의 후속형이라고 봐도 무방할 정도로(어떻게 보면 DHC-7은 DHC-6의 후속형이고, DHC-6은 DHC-3의 후속형이며, DHC-3은 DHC-2의 후속형이다.)[3] 닮은 면이 많았다. 극단적으로 STOL 설계에 치중한 DHC-7에 비해 이/착륙거리와 엔진 저소음 성능은 더 떨어졌지만, 항공사들이 가장 원했던 경제성 부분에서는 우세했는데 엔진 수를 줄임으로서 운영 비용이 대폭 절감되었기 때문이다.

1980년대 말 드 해빌랜드 캐나다가 민영화되면서 보잉을 거쳐 봉바르디에에 인수되었다. 봉바르디에는 인수하면서 모델명을 Dash 8으로 바꾸었고, 1997년에는 -400형을 런치하고 ANVS(Active Noise and Vibration Suppression, 능동 소음 및 진동 억제장치)를 도입하면서 프롭기로서는 정숙성이 높음을 어필하는 목적으로 Q 시리즈로 변경하였다. 그러나 2018년에는 터보프롭기의 퇴조와 봉바르디에의 경영난 탓에 바이킹 에어[4]에 기종의 권리를 매각하는 것이 드러났다. 2019년 6월에 정식으로 드해빌랜드 캐나다가 부활하면서 사업 인계가 완료되었다.


2. 개발 [편집]


에어버스A300을 개수해서 A310, A330, A340을 만들고, 보잉보잉 707의 설계도로 보잉 727보잉 737의 설계에 참고했듯이, DHC-2를 개수하는 것은 드 해빌랜드 캐나다의 오랜 전통(?)이었다. 하지만 드 해빌랜드 캐나다 측에서는 DHC-8의 개발을 재검토 해야 했던 것이, STOL 여객기인 DHC-7의 판매 부진, 재정 악화 등 여러 애로사항이 많았기 때문이었다.

1983년 약 2~3년간의 개발을 거쳐서 초도비행을 했다. 초도 비행 이후, DHC-7과 다르게 생각보다 많은 러브콜이 들어와서 나름 성공적...이었으나 결국 그렇잖아도 심하던 재정 악화에 새 항공기 개발로 더 심각해진 재정 파탄으로 드 해빌랜드 캐나다는 봉바르디에로 인수되고 만다.


3. 봉바르디에의 DHC 인수, 다시 매각[편집]


1990년대 중반 드 해빌랜드 캐나다가 봉바르디에로 완전히 인수되었다. 봉바르디에로 인수된 뒤, 2005년에 Dash 8-100은 생산이 중단된다. 그에 이어 2009년에는 Q200, 그리고 Q300이 절판된다.

2009년에 Q200과 Q300이 생산 종료되며, 봉바르디에는 Q400만을 계속 생산하기로 하고 최근에는 Q400을 개수한 Q400 Nextgen(많이 바뀌진 않았으나 기존 Q400의 가장 큰 문제였던 노즈 기어 문제를 고쳤다.)를 발주 하는등 여러모로 봉바르디에의 공식 라인업으로 자리잡은 모습으로 보인다.

봉바르디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경영난으로 2018년 11월 Dash 8 사업을 Longview Aviation Capital[5]에 매각하였으며, Longview는 자회사로 2019년 6월 3일 드해빌랜드 캐나다를 부활시켰다. 사업 인계에 맞춰 기종 명칭도 Q400에서 Dash 8-400으로 바꿔 부르고 있으며, 6월 18일 파리 에어쇼에서 자신들 명의의 첫 인도[6] 및 첫 수주[7]를 발표하였다.


4. 제원[편집]


-DHC-8-100DHC-8-200DHC-8-300Bombardier Dash 8 Q400[8]
칵핏 승무원 수2명
승무원 수1~3명
최대 승객 수37~405078
길이22.25m25.70m32.8m
높이7.49m8.4m
주익 길이25.91m27.40m28.4m
주익 면적54.40 m²56.20 m²64.0 m²
동체 넓이2.52m
자체 중량10,273kg (22,648lb)10,477 kg(23,098 lb)11,793 kg(26,000 lb)17,819 kg(41,284 lb)
최대 연료탑재량3,160L(835 Gal)6,526L(1,724 Gal)
최대이륙중량15,650kg(34,500lb)16,466 kg(36,300 lb)19,505 kg(43,000 lb)29,574 kg(65,200lb)
최대운항고도7,620m
최고속도500km/h535km/h542km/h646km/h
항속거리1,520km2,084km1,711km2,063km


5. 세부 기종[편집]


총 4개의 주요 파생형이 존재하며, 이중 최종형이자 가장 큰 형식인 -400만 현재 생산중이다.


5.1. DHC-8 Series 100[편집]


파일:external/img.planespotters.net/n634ar-ep-aviation-de-havilland-canada-dhc-8-103-dash-8_PlanespottersNet_628173.jpg파일:external/img.planespotters.net/sx-bio-olympic-air-de-havilland-canada-dhc-8-102a-dash-8_PlanespottersNet_720972.jpg
EP Aviation, N634AR
최초로 상업운항을 한 DHC-8
올림픽 에어, SX-BIO

DHC-8 시리즈의 최초형. 총 37인승, 최대 40인승으로 1984년에 초도비행을 마쳤다.
총 10개의 파생형이 있으며, 이중 6개가 민수용, 1개는 해양 오염 관측 목적용, 그리고 3개가 군용 기종이다.
299대가 주문 및 생산되었고 2005년에 생산이 종료되었다.


5.1.1. DHC-8-101[편집]


DHC-8-100의 초기형. 최대이륙중량이 15,000 킬로그램인 형식. 1984년부터 상업 운항을 시작했다.


5.1.2. DHC-8-102/-102A[편집]


1986년에 제작된 DHC-8-100의 1차 개수형이다. DHC-8-101과 마찬가지로 PW120A나 PW121를 달고 나왔으며, 최대이륙중량이 15,650 킬로그램으로 늘었다. 판매 실적이 DHC-8-100중에서는 높은 편에 속한지라, 1990년에 또 개수되어 -102A가 나왔다[9].


5.1.3. DHC-8-103[편집]


DHC-8-100의 2차 개수형. 엔진은 기존의 PW121을 그대로 장착하며, 최대이륙중량이 15,900킬로그램으로 또 늘었다. 1987년부터 생산되었다.

5.1.4. DHC-8-106[편집]


DHC-8-100의 최종형. 1992년부터 양산된 형식이며, 최대이륙중량은 16,500킬로그램. PW121만을 달고 나왔다.


5.1.5. 봉바르디에 Dash 8 Q100[편집]


DHC-8-102에 ANVS(Active Noise and Vibration Suppression System-진동 및 소음 방지 시스템)을 장착한 개량형. 엔진은 PW121을 장착한다.


5.1.6. 군용 형식 및 기타 기종[편집]


  • DHC-8M-100
해양 오염도 관측을 위한 기체. DHC-8-106을 기반으로 만들어졌다. 2대 생산.캐나다 교통부 소속으로 운영 중.

파일:external/cdn-www.airliners.net/2659514.jpg

  • CC-142
DHC-8-102 기반의 군용 수송기. 현재 캐나다 공군이 사용중이다.


  • CT-142
DHC-8-102 기반의 초계기. 캐나다와 그 동맹국이 사용중.

파일:external/img.planespotters.net/84-0047-usaf-united-states-air-force-de-havilland-canada-e-9a-dash-8-dhc-8-102_PlanespottersNet_674679.jpg

  • E-9A Widget 위젯
DHC-8-102 기반의 정찰기/통제기.해당 기종은 미 공군 훈련장이 있는 멕시코 만 주위에서 운영하면서 해당 훈련장 인근으로 들어오는 어선 등을 탐지하는 등 훈련장 통제 용도로 사용 중이다.가끔 주한미군 기지에 놀러올때가 있다.


5.2. DHC-8 Series 200[편집]


파일:external/img.planespotters.net/c-ggmp-bombardier-de-havilland-canada-dhc-8-200-dash-8_PlanespottersNet_187007.jpg파일:external/img.planespotters.net/vh-tqs-qantaslink-de-havilland-canada-dhc-8-202-dash-8_PlanespottersNet_690224.jpg
봉바르디에, C-GGMP
DHC-8-200의 테스트베드/초도기[10]
콴타스링크, VH-TQS.

DHC-8-200의 두번째 라인업이자 DHC-8-100의 강화형. 엔진을 기존의 PW100시리즈의 PW120 및 PW121에서 PW123로 교체하면서 항속거리와 최대 이륙중량이 늘었다. 하지만, 생산량이 그닥 많지는 않은것이, 보잉 747-200보잉 747-300과의 관계와 마찬가지로 DHC-8-100을 단종시키지 않은채로 생산을 했기 때문이다.
군용 형식이 존재하지 않으며, 민수용 기종만 3가지가 존재한다.
DHC-8-100의 개량형인만큼 동체가 그대로이며, 탑승 정원도 37~40명 그대로이다.
1995년부터 2009년까지 생산되었고, 생산 종료까지 총 105대가 생산되었다.


5.2.1. DHC-8-201[편집]


DHC-8-200의 초기형. 프랫 앤 휘트니사의 PW123C를 DHC-8-102에 장착하면서 항속거리가 약 500킬로미터 정도 늘어났고, 최대 이륙중량이 16,500 킬로그램인 형식. 1995년에 초도비행을 마치고 상업 운항에 들어갔다


5.2.2. DHC-8-202[편집]


DHC-8-201의 수정형. PW123D 엔진을 장착했으며, 같은 해인 1995년에 초도비행을 했다.


5.2.3. 봉바르디에 Dash 8 Q200[편집]


DHC-8-202를 봉바르디에가 생산하게 되면서 자체 제작한 ANVS를 장착한 개량형이다. 엔진은 그대로 PW123D를 사용한다.


5.3. DHC-8 Series 300[편집]


파일:external/img.planespotters.net/ZK-NES-Air-Nelson-De-Havilland-Canada-DHC-8-311Q-DASH-8_PlanespottersNet_585417.jpg파일:external/img.planespotters.net/c-feai-air-inuit-de-havilland-canada-dhc-8-314-dash-8_PlanespottersNet_613300.jpg
에어 뉴질랜드[11], ZK-NES.에어 이누이트, C-FEAI.
DHC-8-100의 동체 연장형. 동체가 연장되면서 항속거리가 조금 줄었으나, 최대 승객 수가 50~56명으로 늘어났다.
엔진은 DHC-8-200에 장착되는 PW123 시리즈를 사용한다.
1989년에 상업 운항에 들어갔으며, 총 6개의 민수용 파생기종과 2개의 군용 버전으로, 총 8개의 파생형이 존재한다.
1989년부터 생산 종료 시점인 2009년까지 총 20년간 267대가 생산되었다. 최대 운영 항공사는 에어 뉴질랜드로, 총 23대를 보유하고 있다.


5.3.1. DHC-8-301[편집]


DHC-8-300의 최초형. 기본형인 PW123엔진을 장착한 형식. 1989년에 초도비행을 했다.


5.3.2. DHC-8-311[편집]


사실상 DHC-8-301A이다. DHC-8-102와 DHC-8-102A의 관계처럼 헤스 테크나의 신식 인테리어를 채용한 DHC-8-301이다. 그 외에도 테일스트라이크 시 충격을 줄여주는 랜딩기어 구조를 채택하는 등 여러모로 개량이 많이 된 모델. 1990년에 상업운항에 들어갔다.


5.3.3. DHC-8-314[편집]


DHC-8-311에 PW123B를 장착한 강화형. 1992년부터 생산되었다.


5.3.4. DHC-8-315[편집]


1995년부터 생산된 DHC-8-300의 최종형. PW123E 엔진을 장착한 형식이다.


5.3.5. 봉바르디에 Dash 8 Q300[편집]


DHC-8-300을 봉바르디에가 생산하게 되면서 자체 제작한 ANVS를 장착하고 나온 형식이다.


5.3.6. 군용 형식 및 기타 기종[편집]


파일:external/img.planespotters.net/se-mab-swedish-coast-guard-kustbevakning-de-havilland-canada-dhc-8-311q-dash-8-msa_PlanespottersNet_448157.jpg
  • DHC-8-300MSA
DHC-8-300의 해양 정찰기형.

파일:external/cdn-www.airliners.net/3966659.jpg
  • Ro-6A
DHC-8-300의 공중 정찰기. 미국 공군이 사용하는중.


5.4. DHC-8 Series 400[편집]


파일:external/cdn-www.airliners.net/1764653.jpg파일:external/img.planespotters.net/d-abqm-air-berlin-de-havilland-canada-dhc-8-402q-dash-8_PlanespottersNet_582837.jpg파일:external/cdn-www.airliners.net/0098014.jpg파일:external/cdn-www.airliners.net/2795834.jpg
제주항공에서 운용하던 Q402(DHC-8-402)다. 에어 베를린으로 넘어간 상태다. 등록기호는 HL5251이었다.[12]좌측의 HL5251과 동일기인 에어 베를린의 Q402다. 넘어간 이후로는 D-ABQM으로 등록되었다.봉바르디에에서 보존중인 DHC-8-400의 2번째 테스트베드다. 등록번호는 C-GCLI이다.일본항공 계열사인 류큐 에어 커뮤터의 Q400CC다. 인도 전이어서 등록번호는 캐나다의 등록기호가 붙어 있다.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드 해빌랜드 캐나다 Dash 8-400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5.4.1. 군용 형식 및 기타 기종[편집]



5.4.1.1. DHC-8 MPA-D8[편집]

파일:external/aviationdoctor.files.wordpress.com/mpa-dhc-8-315q.jpg파일:external/img.planespotters.net/c-gpab-caribbean-coast-guard-kwcarib-kustwacht-carabisch-gebied-de-havilland-canada-mpa-d8-dhc-8-106_PlanespottersNet_554571.jpg
DHC-8-315 MPA-D8DHC-8-106 MPA-D8
기존의 오래된 DHC-8기들을 대잠초계기로 개조해주는 시스템이다.
주로 Q100, Q300들을 개조하는 경우가 대다수다[13].


6. 특징[편집]


CRJ200이나 CRJ700시리즈와 동일하게 스텝도어[14]를 채택했다.

또한 경쟁 대상인 ATR 72나 다른 고익기들과 비교했을 때의 특징은 메인기어가 접혀서 엔진 안으로 들어간다. 반면 ATR 72는 동체 하부로 들어간다.[15]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24 11:57:27에 나무위키 드 해빌랜드 캐나다 DHC-8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등록번호는 C-GDNK. 생산번호는 1. 즉, 최초로 생산된 DHC-8이다. 세부기종은 DHC-8-100이며 나중에 -300으로 개조되었다.[2] 원래는 영국 기업 드 해빌랜드의 지사였다.[3] 이것을 보고 1947년에 만든 DHC-2를 베이스로 계속 이용한 것이라는 의견도 있지만 당연히 사실이 아니다. 아무리 잘쳐줘도 비여압 구조인 DHC-6까지는 설계를 우려먹었다는 주장이 먹힐지 몰라도 여압 구조가 적용된 DHC-7부터는 동체 설계가 완전히 변경되었기 때문이다.[4] 2006년에 구형 DHC 기종의 권리를 인수한 바 있다.[5] 2006년에 DHC-7까지의 구형 기종 권리를 인수한 Viking Air의 모기업.[6] 카자흐스탄 Qazaq Air.[7] 앙골라 TAAG에 6대.[8] 초기 사양.[9] 오직 PW120A만을 달고 나왔으며, 헤스 테크나(Heath Tecna)사의 신식 인테리어를 기본으로 적용한 형식이다. [10] -200시리즈중 유일하게 PW120A를 달고 있는 기체다. 현재 봉바르디에에서 보존하는 중이다.[11] 2019년 11월 19일 에어뉴질랜드로 합병하기 전까지 에어 뉴질랜드 링크 소속으로 운항했었다. 당시에는 에어넬슨 항공사 소속이었으나 에어 뉴질랜드 이름으로 대신 운항했었다.[12] 국내 항공사에서는 몇 안되는 5XXX번대를 사용했는데, 터보프롭기의 앞자리가 5기 때문이다. 1970~80년대에 YS-11포커 F27을 운용한 대한항공, 티웨이항공의 전신인 한성항공, 제주항공, 하이에어만 받은 이력이 있다.[13] Q200은 비교적 최신이고 Q100에 비해 운항비용이 적게 드니 항공사에서 매각하지 않고, Q400의 경우 퇴역하기에는 너무 이르기에 Q100이나 Q300이 대다수를 차지하는 듯 하다.[14] 앞에서 봤을때 전방 우측 출입문에 계단이 달려있다.[15] 엔진이 날개의 앞쪽에 가깝도록 달려있는 ATR 72와 달리 엔진이 날개를 통째로 가로지르는 수준의 크기를 가진 것 또한 자체 크기도 있긴 하지만 랜딩기어를 수납하기 위한 공간까지 포함되어있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