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립당(모로코)

덤프버전 : (♥ 0)

||
[ 펼치기 · 접기 ]

왼쪽에서부터 상원 · 하원 의석 수
연립여당
독립국민연합
27석 · 102석
정통현대당
19석 · 87석
독립당
17석 · 81석
신임과 보완
헌정연합
2석 · 18석
일반노동조합연맹
6석 · 0석
민주사회운동
1석 · 5석
야당
민중사회주의연합
8석 · 34석
민중운동
12석 · 28석
진보사회주의당
0석 · 22석
정의개발당
3석 · 13석
노동자연합
8석 · 0석
경영자연맹
8석 · 0석
노동민주연맹
3석 · 0석
민주권력전선
0석 · 3석
기타 정당 및 무소속
6석 · 2석
재적
120석 · 395석




파일:독립당(모로코) 로고.png
Parti de l'Istiqlal
حزب الإستقلال
ⴰⴽⴰⴱⴰⵔ ⵏ ⵍⵉⵙⵜⵉⵇⵍⴰⵍ
한글명칭독립당(이스티크랄당)
상징색
연한 분홍색
창당일1937년 4월
이념보수주의
내셔널리즘
왕당파
정치적 스펙트럼중도우파
주소4, rue Ibn Toumert, 라파트
사무총장니자르 바라카
정당 조직유럽 인민당(파트너)
청년 조직청년 이스티크랄
국제 조직




기관지알 알람(아랍어)
로피니언(프랑스어)
상원 의석 수
17석 / 120석
하원 의석 수
81석 / 395석
웹사이트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1. 개요
2. 상세



1. 개요[편집]


모로코의 중도우파 정당으로 모로코에서 가장 오래된 정당이다.


2. 상세[편집]


이슬람 학자였던 알랄 엘 파시가 창당하였으며, 당시 당명은 국민을 위한 독립당(Parti national de l'Istiqlal)으로 프랑스령 모로코으로부터 독립하려는 목적으로 창당되었다. 2차 대전 중인 1943년 12월 10일에 현재의 당명으로 변경되었다.

술탄 무함마드 5세와 함께 1944년에 독립선언문을 공개하면서 독립 시에 입헌군주제 모습을 갖추어야 한다는 정치적 거래를 얻어냈다.[1] 그러나 프랑스에 의해 무함마드 5세가 강제퇴위당하고 당원들이 체포되기도 했다. 당은 무함마드 5세 강제 퇴위에 대해 반대하는 투쟁을 이어갔으며, 무함마드 5세가 다시 복위되고 나서 프랑스로부터 독립을 쟁취하는 데 역할을 하였다.

1959년에는 일부 탈당한 사람들이 민중사회주의연합의 전신 민중국민동맹(Union Nationale des Forces Populaires)을 창당했고, 독립 이후 첫 1963년 총선에서 제2당을 차지하게 된다. 1970년 총선은 보이콧했으나 개인이 출마하는 것은 막지 않았고 당은 군소정당으로 유지되었다. 그 뒤로는 보이콧을 철회하고 선거에 참여하면서 주요 정당으로 자리잡게 된다.

1997년 총선에서는 제2당을 차지하면서 연립 정부에 참여했다. 그 뒤로도 지지율을 유지하다가 2016년 총선에서 의석 수가 크게 떨어지면서 야당으로 머물게 되었다. 2021년 총선 결과 제3당으로 부상하였으며, 연립여당이 되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23 22:04:40에 나무위키 독립당(모로코)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하지만 독립 이후 모로코는 입헌군주제와 전제군주제가 섞인 형태가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