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도절태자

덤프버전 :

[ 펼치기 · 접기 ]

동명성왕유리명왕대무신왕모본왕
고유리고도절 · 고해명 · 고무휼고해루고익
차대왕신대왕산상왕동천왕
고추안고남무고우위거고연불
중천왕서천왕미천왕고국원왕
고약로고상부고사유고구부
고국양왕광개토대왕장수왕문자명왕
고담덕고거련고조다고흥안
태손

고나운
안원왕양원왕평원왕영류왕
고평성고양성고원고환권
보장왕
고복남








1. 개요
2. 상세
3. 둘러보기


1. 개요[편집]


都切
기원전 17년경 ~ 기원후 1년 (향년 18세)

고구려태자. 제2대 유리명왕장남이자 해명태자, 대무신왕의 형제였다.


2. 상세[편집]


기원전 6년에 부여대소왕이 고구려에 사신을 보내어 인질 교환을 요구한 기록에서 처음 언급되었다. 이때 유리명왕이 대소왕의 세력이 강한 것을 알고는 요구대로 태자 도절을 인질로 보내려 했으나 도절이 이를 거부하여 끝내 부여로 가지 않았다.[1] 이에 분노한 대소왕이 같은 해 겨울에 50,000명의 군사를 거느리고 고구려를 공격했으나 때마침 심한 폭설이 내리는 바람에 패배하고 돌아갔다.

이후 서기 1년 1월에 죽었는데, 사인에 대한 기록은 남아 있지 않다.[2] 도절이 일찍 죽는 바람에 아우였던 해명태자가 서기 4년에 태자가 되었으나, 해명태자 역시 유리명왕과의 갈등 끝에 자살하고 말았다. 결국 차기 왕좌는 해명의 아우였던 왕자 무휼이 이어받았다.

유리명왕이 도절태자 사후 얼마 지나지 않아 졸본성에서 국내성으로 천도하고 해명태자를 태자로 책봉하는 것으로 보아, 모계가 졸본성 인근의 비류국 출신인 대무신왕동복형제일 가능성이 있다.


3. 둘러보기[편집]


[ 펼치기 · 접기 ]

천제하백
해모수유화
부여/왕사1대
추모성왕
2대
유리명왕
비류온조
백제/왕사
고도절고해명왕녀3대
대무신왕
4대
민중왕
고여진
고호동5대
모본왕
고재사
고익6대
태조대왕
7대
차대왕
고막근고막덕8대
신대왕
고인고
고추안9대
고국천왕
고발기10대
산상왕
고계수
고박위거11대
동천왕
12대
중천왕
고예물고사구
13대
서천왕
고달가고일우고소발공주
14대
봉상왕
고돌고
15대
미천왕
16대
고국원왕
고무고림
17대
소수림왕
18대
고국양왕
고강19대
광개토태왕
20대
장수태왕
고익
고조다고승우공주고승천
21대
문자명태왕
22대
안장태왕
23대
안원태왕
고안학
24대
양원태왕
왕자
25대
평원태왕
26대
영양태왕
27대
영류태왕
평강공주대양왕
고환권28대
보장태왕
고복남고임무고덕남고덕무공주
부흥
보덕왕
[범례]
실재 혈통 기준
세로선(│) 부자, 사위관계
가로선(─) 형제, 자매관계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23 15:21:28에 나무위키 도절태자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기록에 따라 '보내봐야 지키라는 약속은 안 지키고 나만 죽을 게 뻔한데 그래도 보낼 거냐' 라거나, 부여로 가느니 차라리 자살하겠다고 할 만큼 무서워했다는 등 분분하다.[2] 해명태자호동왕자가 그랬듯이 아버지와의 갈등 끝에, 나라를 위기에 빠뜨린 책임을 지고 자살했을 것이라는 추측도 있다. 혹은 날 때부터 몸도 마음도 유약했던 탓에 요절했다는 추측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