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대한양궁협회/선발전

덤프버전 :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대한양궁협회


1. 개요
2. 상세
3. 방식
4. 최종 선발전 결과
4.1. 2004년
4.2. 2005년
4.3. 2006년
4.4. 2007년
4.5. 2008년
4.6. 2009년
4.7. 2010년
4.8. 2011년
4.9. 2012년
4.10. 2013년
4.11. 2014년
4.12. 2015년
4.13. 2016년
4.14. 2017년
4.15. 2018년
4.16. 2019년
4.17. 2020년
4.18. 2021년
4.19. 2022년
4.20. 2023년
4.21. 2024년



1. 개요[편집]


대한양궁협회국가대표 선발전.


2. 상세[편집]


대한민국 양궁 국가대표가 되는 것이 올림픽 금메달을 따는 것보다 어렵다는 소리가 나올 만큼 엄청난 경쟁 속에서 진행된다. 위에서 서술했듯 양궁은 종목 특성상 심판이 개입할 여지가 거의 없는 기록 경기이다 보니 오로지 선수의 실력에 의해서만 결정된다.

올림픽 금메달리스트나 기존 국가대표에게 시드권 같은 혜택이 주어질 수도 있지만 공정성을 이유로 이런 제도는 배제하고 있다.[1] 협회 운영 초창기에는 서향순추천 선수라는 제도로 올림픽에 출전할 수 있게 했고 서향순은 금메달을 획득하며 협회의 선택이 옳았음을 증명했다. 하지만 이후 협회는 공정성을 이유로 추천 선수 제도를 폐지했다. 또 다른 예로, 2020년 국가대표 선발전까지는 기존 국가대표는 1, 2차 선발전을 면제시켜 주는 시드권이 있었지만 역시 공정성을 이유로 2021년 선발전부터는 없애 버렸다.


3. 방식[편집]


국가대표 선발전은 매년 치르며 선발 시 1년간 자격을 유지시키는 구조다. 대략적으로 1, 2차 예선전을 치러 20명을 추려내고 다음해 4월경 최종 선발전을 치러서 국가대표 8명을 선발한다. 국가대표 8인에 포함되지 못하더라도 선발전 성적에 따라서 국가대표 후보, 국가대표 상비군 자격을 부여한다.

  • 1차 선발전
남녀 각각 대략 100여 명씩 참가해 상위 64명을 선발한다.
  • 2차 선발전
1~3회 선발전의 결과로 상위 32명을 중간 선발하고 4,5회전을 치러 20명을 최종 선발한다.
  • 3차 선발전
1, 2회전의 결과로 12명을 선발하고 3,4회전을 치러 최종 8명이 국가대표 자격을 획득하고 선수촌에 입촌할 자격을 얻는다.
  • 평가전(1차, 2차)
국가대표 8명이 당해 연도에 치르는 올림픽, 세계 선수권, 아시안 게임 출전권을 따내기 위해 평가전을 치른다. 여기서 상위 3~4위에 들어야 출전권을 따낼 수 있다.

위의 설명은 '리커브' 종목에 대한 선발전이다. '컴파운드' 종목은 선수층이 적고, 아직은 올림픽 정식 종목[2]은 아니다 보니 선발전을 축약해서 치렀다. 국가대표를 4명만 선발했으나 현재는 8명을 선발한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389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389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4. 최종 선발전 결과[편집]



4.1. 2004년[편집]


리커브 여자리커브 남자결과
선수소속선수소속순위비고
박성현전북도청장용호예천군청1선발
정창숙대구서구청이창환한국체육대학교2
윤미진경희대학교박경모인천계양구청3
정승화순천여자고등학교한승훈충남체육회4
김문정청원군청임동현충북체육고등학교5
안세진대전광역시청이동욱울산남구청6
이성진전북도청구춘성인천계양구청7
조은지부산체육고등학교김보람두산중공업8
이희정한국토지공사이승용서울특별시청9탈락
김두리전북도청김석관예천군청10
김민정대전광역시청김승운광주체육고등학교11
주현정현대모비스방제환상무12


4.2. 2005년[편집]




4.3. 2006년[편집]




4.4. 2007년[편집]




4.5. 2008년[편집]




4.6. 2009년[편집]




4.7. 2010년[편집]




4.8. 2011년[편집]




4.9. 2012년[편집]




4.10. 2013년[편집]




4.11. 2014년[편집]




4.12. 2015년[편집]




4.13. 2016년[편집]




4.14. 2017년[편집]




4.15. 2018년[편집]




4.16. 2019년[편집]




4.17. 2020년[편집]




4.18. 2021년[편집]




4.19. 2022년[편집]




4.20. 2023년[편집]


리커브 여자리커브 남자결과
선수소속선수소속순위비고
강채영현대모비스이우석코오롱 엑스텐보이즈1선발
임시현한국체육대학교김제덕예천군청2
안산광주여자대학교서민기계명대학교3
최미선광주은행 텐텐양궁단김우진청주시청4
김소희청주시청최재환대전시체육회5
전훈영인천광역시청이승윤광주남구청6
정다소미현대백화점오진혁현대제철7
기보배광주광역시청최두희경희대학교8
이가현대전시체육회김필중현대제철9탈락
박소민LH박선우서울특별시청10
장민희인천광역시청구대한청주시청11
조아름현대백화점남유빈국군체육부대12


4.21. 2024년[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10 14:07:19에 나무위키 대한양궁협회/선발전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쇼트트랙은 직전 세계 선수권에서 남녀별 개인 종합 3위 안에 든 선수 중 가장 높은 순위를 기록한 남, 여 각 1명에게 국가대표 선발전을 면제해 준다.[2] 컴파운드 종목은 아시안 게임에서는 정식으로 채택돼 2022 항저우 아시안 게임에는 남/녀 개인 및 단체전, 혼성 단체전 5개의 금메달이 걸려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