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 버스 509

최근 편집일시 : (♥ 0)

||


파일:대구광역시 휘장_White.svg 대구 - 경산, 영천간 시내버스
[ 펼치기 · 접기 ]
8권역
(경산)
급행5518-1708814818 · 818-1
80855·555
8권역
(영천)
군위-신녕
9권역309449509609649
719840909939980
849-1100 · 100-1399990991
청: 일부 차량 청도군 금천면 진입 노선.
군청색 : 영천시 시내버스. / 초록색 : 경산시 시내버스.



파일:attachment/P508662.jpg

1. 노선 정보
2. 개요
3. 역사
4. 특징
4.1. 일평균 승차량
5. 연계 철도역
6. 관련 문서



1. 노선 정보[편집]


파일:Seal_of_Daegu_little.png 대구광역시 간선버스 509번(소라아파트)
파일:Seal_of_gyeongsan_little_white.png 경산시 간선버스 509번(소라아파트)
기점대구광역시 달성군 다사읍 방천리(방천리공영차고지)종점경상북도 경산시 사동(소라아파트)
종점행첫차[평일] 05:35 / [토요일, 휴일] 05:30기점행첫차[평일] 05:40 / [토요일] 05:42 / [휴일] 05:43
막차[평일] 22:07 / [토요일] 22:13 / [휴일] 21:54막차[평일, 토요일] 22:13 / [휴일] 22:09
평일배차22분(통합 11분)주말배차27분(통합 14분)
운수사명경산버스, 경신교통, 삼천리버스인가대수통합 24대(경산 5, 경신 8, 삼천리 11)
노선
(주요경유지)
방천리공영차고지 - 계명문화대학 - 성서고등학교 - 이곡역 - 죽전네거리 - 두류역(달성고교) - 서대구시장 - 수성시장네거리 - 수성구청 - 대공원역 - 사월역 - 경산터미널 - 경산시청별관 - 소라아파트

파일:Seal_of_Daegu_little.png 대구광역시 간선버스 509번(영남대)
파일:Seal_of_gyeongsan_little_white.png 경산시 간선버스 509번(영남대)
기점대구광역시 달성군 다사읍 방천리(방천리공영차고지)종점경상북도 경산시 압량면(영남대동문)
종점행첫차[평일] 05:45 / [토요일] 05:40 / [휴일] 05:38기점행첫차05:30
막차[평일] 22:17 / [토요일] 22:01 / [휴일] 22:08막차[평일] 22:22 / [토요일] 22:00 / [휴일] 22:23
평일배차22분(통합 11분)주말배차29분(통합 14분)
운수사명경산버스, 경신교통, 삼천리버스인가대수통합 24대
노선
(주요경유지)
방천리공영차고지 - 계명문화대학 - 성서고등학교 - 이곡역 - 죽전네거리 - 두류역(달성고교) - 서대구시장 - 수성시장네거리 - 수성구청 - 대공원역 - 사월역 - 경북개발공사 - 경산터미널 - 영남대학교 - 영남대동문

중간 출발 정류소
방천리 방향 (소라아파트 출발)현대해상토요일, 휴일, 구.남부정류장평일, 사월역평일, 롯데시네마토요일
방천리 방향 (영남대 출발)현대해상토요일, 휴일, 구.남부정류장평일
소라아파트 방향명덕네거리평일, 토, 현대해상매일
영남대 방향명덕네거리평일, 휴일, 현대해상매일, 한국방송통신대학교평일, 토
중간 종료 정류소
방천리 방향 (소라아파트 출발)구병원
방천리 방향 (영남대 출발)한국방송통신대학교평일, 휴일[1], 구병원토요일, 현대해상휴일, 서대구시장평일
소라아파트 방향영대교토요일, 휴일, 이마트경산점평일[2], 현대해상토요일
영남대 방향경산시장평일, 이마트경산점토요일, 휴일, 구.남부정류장평일

2. 개요[편집]


대구광역시 달성군 다사읍 방천리공영차고지(5)에서 남구 이천동 대봉교역(0)을 거쳐 경상북도 경산시 압량면 영남대동문(9) 및 경산시 사동 소라아파트(9)까지 운행하는 삼천리버스, 경신교통 소속으로 경산버스공동 배차하는 대구광역시 간선버스 노선.
왕복 운행 거리는 65.3(소라아파트)/69.9(영남대)km.
전체 정류장 목록(소라아파트, 영남대학교), 노선도


3. 역사[편집]


















이 500번은 509번과 거의 같았지만 방천리 대신 계명대학교동문이 시종점이었으며 성서 지역 아파트 단지를 경유하지 않고 신당네거리까지 달구벌대로를 쭉 따라 갔다.

결정적인 차이는 1/2로 운행하던 영대, 계양동 구간을 영대로 일괄 통합 운행했다.

경산버스는 동시에 840번, 890번 노선도 800번이라는 독자 노선을 만들어 운행했는데 이 쪽은 840번과 노선이 완전히 동일했다.

500번은 800번의 경우처럼 배차간격이 들쑥날쑥했으며 대구 도시철도 2호선이 개통된 후 509번보다 타격을 더 크게 받았다.

그래서 2005년 500번이 옥산네거리~경산역~경산시장~경산네거리~영대 구간을 버리고 옥산네거리에서 상대적으로 버스편이 적은 백천동 구간을 운행하기도 했다.[8]




























4. 특징[편집]



















4.1. 일평균 승차량[편집]


509
연도2014년2015년2016년2017년2018년
승차량(명)12,08111,72912,95312,17510,747

5. 연계 철도역[편집]



6. 관련 문서[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21 21:06:18에 나무위키 대구 버스 509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LED에는 계명문화대로 표기한다.[2] 경산버스는 "사월 종료"로 행선을 걸고 다닌다.[3] 물론 1998년 개편 전 전체 좌석버스 첫 번호는 301번(현 649번)이었지만 1996년 신설되었으며 이와 별개로 입석 301번은 구 109번으로 1998년 개편 때 변경되었다.[4] 이와 동일한 일반버스 노선으로는 5번이 있었으며 355번의 이곡네거리(정류소 명칭은 평화타운이다.) ~ 계명네거리까지는 완전 동일하다가 동산의료원, 한일극장을 경유하여 현재의 담티역까지 운행하였다. 2006년 개편 때 2호선과 선형이 유사해 이 노선 역시 성서 구간 일부는 성서1번, 성서1-1번에게 넘기고 섬유회관 ~ 한일극장 ~ 청구네거리 ~ 법원 ~ 수성구청 ~ 담티역 구간은 대구 버스 724에 넘기고 폐지됐다.[5] 따라서 경산네거리와 경산오거리 사이 구간에서는 잘 보고 타야 한다. 경산터미널 에서 사동행을 잡으면 그건 대구 시내로 가고, 영대행을 잡으면 삼천리버스 차고지로 간다!!! 반대로 경산터미널 건너편에서 영대행을 잡으면 그게 대구 시내로 가고, 사동행을 잡으면 경산시청, 삼풍동, 계양동, 사동으로 간다. 경기도 고양시에서도 비슷한 경우가 있다.(700번, 707번 금계초교 구간 참조)[6] 이 여파로 대구광역시 관내에서도 대경교통카드 충전소 이외에 한때 마이비 충전소가 경산버스가 다니는 중구수성구 쪽으로 몇 곳 있었다. 이후 마이비 충전소가 없어졌다가, 2013년 4월경에 캐시비를 취급하는 가판대가 대구 전역에서 갑자기 증가했다.[7] 890번은 840번 좌석버스의 일반버스 버전이었는데, 적자 노선이라서 2006년 개편 때 840번과 통합했다. 당시 대구광역시 시내버스는 일반버스에 한해 시계외요금이 붙었는데, 890번는 일반버스였기 때문에 시계외요금이 붙었다. 더구나 890번은 배차간격이 25~30분으로 절륜했다(...). 따라서 890번은 일반버스임에도 시계외요금이 붙어 840번 좌석버스보다 비싸고 거기다 배차간격도 길었기 때문에 경쟁력이 없었으며, 경산시장을 거치는 관계로 당시 중산삼거리(시경계)에서 경일대학교까지 완주하면 무려 시계외요금3,500원이었다. 결국 2006년 개편 때 890번은 840번에 통합됐으며, 2006년 10월 요금제 개편에 따라 840번도 일반버스로 전환됐다. 이 노선들의 시초는 71번 일반버스와 1996년에 신설된 371번 좌석버스로, 대구가톨릭대학교~북부정류장을 운행하다가 1998년 개편으로 북부정류장에서 서문시장으로 대폭 단축된 것이다.[8] 100번의 황금동 구간을 완전히 분리한 100-1번도 이 무렵에 생겼다.[9] 임차한 부지로, 현재 소라아파트 종점도 임차한 주차장 부지다. 2015년 6월 현재 옛 계양동 회차지 자리에는 원룸이 생겼다.[10] 달서2번의 대체 수단으로 503번, 달서4번 달서4-1번도 있긴 하지만, 다른 점은 503번은 반고개, 대명시장을 아예 안 가고 두류네거리에서 바로 우회전하여 안지랑네거리를 거쳐 현충로역으로 운행하며, 달서4(-1)번 또한 내당 홈플러스에서 반고개가 아닌 이월드 후문, 구남보건고를 거쳐 대명시장으로 운행한다.[11] 518번도 있긴 하지만, 명덕로 구간이 얼마 되지 않고 이쪽은 남경산이 아닌 하양으로 갔다가 단축되고 말았다. 대명시장으로 갔었던 609번은 양지로(삼각지네거리) 구간으로 통합됐다.[12] 이전에 쓰던 계양동 회차지가 워낙 비좁아서 분리 노선이 통합되면 더 들어오기가 불가능했는데, 저상버스도 못 들어간다. 하지만 소라아파트 회차지는 계양동 회차지보다 넓어서 할 만하다. 문제는 삼풍동에서 계양동으로 올라갈 때 계양주공아파트 앞의 험한 길이다.[13] 1991년부터 경산버스가 공동 배차를 요구할 만큼 수요가 있기 때문이다. 문제는 대구광역시 측도 협상 의지가 없어서 분리구간이 통합되기는 요원하다.[14] 계명문화대학교,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와룡중학교, 와룡고등학교, 이곡중학교, 성서고등학교, 성지중학교, 성산중학교, 대구전자공업고등학교[15] 대체 노선으로는 523번, 성서3번이 있다. 대백한라무지개타운건너 정류장에서 509번으로 환승하면 된다.[16] 대체 노선으로 성서3번이 있다.[17] 해당 정류장에 대기하는 승객 중 와룡고등학교, 이곡중학교, 성서고등학교 학생들, 직장인들이 이 이유로 지각한다고 카더라.[18] 대구와 공동 배차하는 노선에는 의무적으로 천연가스버스를 넣으라는 것. 818번이나 990번같은 경산시 고유 노선은 여기에 해당하지 않기 때문에 디젤차를 넣어도 상관없다. 그래도 대구공배 노선에 디젤이 보인다면, 그건 100% 예비차량이다. 실제로 경산시에서는 경유연료 보조금이 나간다는 이야기가 있다.(디젤 보조금이 최근 문제로 떠오른 그거다)[19] 경산 지역도 마찬가지로 509번 노선 변경 안내표가 부착되어 있다.[20] 그러나 삼천리버스경산버스의 경우에는 모든 차량들이 경산 방향으로 가면서 운행을 종료하는 것은 아니다. 평일 24대 운행 기준, 순번 1~10번까지는 삼천리버스, 11~15번까지는 경산버스, 16~24번까지는 경신교통이 운행하는데 이 중에서 1번 순번은 서대구시장에서 종료하는 삼천리버스 막차이고, 13~15번 순번은 방천리에서 종료 경산버스 차량들이다.[21] 402번의 경우 방천리 ~ 비산네거리까지 523번으로 존치됐으나 동산네거리 구간은 나중에서야 분리구간으로 추가됐고 402번의 성서 ~ 명덕로 수요는 노선이 폐지되자마자 중간 경로가 많이 다르긴 하지만 어쨌든 명덕로로 가는 509로 이동했다.[22] 소라아파트 방면만 연계된다.[A] A B C 영남대학교 방면만 연계된다.[23] 여성메디파크 하차(서재방면 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