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다니일 펜치코프

덤프버전 :



파일:FC 파리 니즈니노브고로드 로고.svg
FC 파리 니즈니 노브고로드 2023-24시즌 스쿼드
2 알렉산드로프 · 4 지굴료프 · 6 율도셰프 · 7 세비캰 · 8 마이가 · 9 제 투르보 · 10 트로셰치킨 · 11 스타마토프
13 쿠하르추크 · 17 지야노프 · 20 보셀리 · 21 에시엔 · 22 카코예프 · 23 쿠타텔라제 · 24 고추크 (C) · 25 니그마툴린 · 26 티히
27 지보글랴도프 · 51 보트나리 · 65 톨스토퍄토프 · 70 시납체프 · 77 카라푸조프 · 78 칼린스키 · 81 쿠쿠시킨 · 89 스토츠키
파일:러시아 국기.svg 세르게이 유란 파일:러시아 국기.svg 티무르 십세프 파일:러시아 국기.svg 레오니트 아비즐린 파일:러시아 국기.svg 안조르 사나야
* 이 표는 간략화된 버전입니다. 스쿼드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여기를 참고해주세요. * 본래 스쿼드에서 타 팀으로 임대간 선수는 제외되었습니다.


파일:DaniilPenchikov.jpg
FC 니즈니 노브고로드 No. 23
다니일 알렉산드로비치 펜치코프
(Даниил Александрович Пенчиков)
생년월일1998년 3월 21일 (26세)
국적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
출신지러시아 상트페테르부르크
포지션센터백, 라이트백
주발오른발
신체조건185cm, 72kg
유소년 클럽FC 제니트 상트페테르부르크 (2016~2017)
소속 클럽FC 제니트 상트페테르부르크 (2017~2019)
FC 톰 톰스크 (2019~2021)
FC 니즈니 노브고로드 (2021~)




1. 소개[편집]


러시아의 축구선수이다.


2. 클럽 경력[편집]



2.1. FC 제니트 상트페테르부르크[편집]


4살때 제니트 축구 학교에 입학하며 축구를 시작하였다. 당시 도시에서 가장 축구를 잘하는 선수로 꼽혔고 바르셀로나의 축구 캠프에 초청되기도 하였다. 2016년에는 유소년 축구 대회에 상트페테르부르크 대표팀으로 참가해 준우승하기도 하였다. 2016-17시즌에는 유스 프리미어 리그에서 29경기를 뛰었다. 17-18 시즌부터 두 시즌간 2부리그의 제니트 2군 소속으로 45경기 1골의 성적을 기록하였다.


2.2. FC 톰 톰스크[편집]


2019년 2월 톰 톰스크로 임대 이적하였다. 반시즌동안 10경기에 출장하였다. 이후 톰으로 완전이적하였다. 완전 이적 후 한시즌 동안 20경기 2도움의 성적을 기록하였다.

2020-21 시즌 초반에는 무릎 부상으로 고생하다가 10월 17일이 되어서야 복귀전을 치렀고 10월 28일 SKA 하바롭스크 전에서 톰 톰스크 소속 데뷔골을 넣는다. 23경기 2골 1도움의 성적을 기록하였고, 팀은 극적으로 잔류하였다.


2.3. FC 니즈니 노브고로드[편집]


2021년 7월, 같이 톰 톰스크에 있었던 알렉산드르 케르자코프 감독과 함께 니즈니 노브고로드로 이적하였다.


3. 같이 보기[편집]


파일:FC 파리 니즈니노브고로드 로고.svg
[ 펼치기 · 접기 ]

번호포지션국적한글 성명로마자 성명키릴문자 성명비고
2DF파일:러시아 국기.svg빅토르 알렉산드로프Viktor AleksandrovВиктор Александров
4MF파일:러시아 국기.svg일리야 지굴료프Ilya ZhigulyovИлья Жигулёв
6DF파일:우즈베키스탄 국기.svg이브로힘할릴 율도셰프Ibrokhimkhalil YuldoshevИброгимхалил Юлдошев
7FW파일:아르메니아 국기.svg에드가르 세비캰Edgar SevikyanЭдгар Севикян
8MF파일:말리 국기.svg마마두 마이가Mamadou MaigaМамаду Майга
9FW파일:기니비사우 국기.svg제 투르보Zé TurboЗе Турбо
10MF파일:러시아 국기.svg알렉산드르 트로셰치킨Aleksandr TroshechkinАлександр Трошечкин
11DF파일:불가리아 국기.svg마테오 스타마토프Mateo StamatovМатео Стаматов
13FW파일:러시아 국기.svg일리야 쿠하르추크Ilya KukharchukИлья Кухарчук
17FW파일:우즈베키스탄 국기.svg루슬란베크 지야노프Ruslanbek JiyanovРусланбек Жиянов
20FW파일:우루과이 국기.svg후안 보셀리Juan BoselliХуан Боселли
21MF파일:나이지리아 국기.svg에데뎀 에시엔Ededem EssienЭдедем Эссьен
22DF파일:러시아 국기.svg니키타 카코예프Nikita KakkoyevНикита Каккоев
23FW파일:러시아 국기.svg니콜로스 쿠타텔라제Nikoloz KutateladzeНиколоз Кутателадзе
24DF파일:러시아 국기.svg키릴 고추크Kirill GotsukКирилл Гоцук주장
25GK파일:러시아 국기.svg아르투르 니그마툴린Artur NigmatullinАртур Нигматуллин
26DF파일:러시아 국기.svg드미트리 티히Dmitriy TikhiyДмитрий Тихий
27DF파일:러시아 국기.svg드미트리 지보글랴도프Dmitriy ZhivoglyadovДмитрий Живоглядов
51GK파일:러시아 국기.svg비탈리 보트나리Vitaliy BotnarВиталий Ботнарь
65DF파일:러시아 국기.svg니콜라이 톨스토퍄토프Nikolay TolstopyatovНиколай Толстопятов[1]
70DF파일:러시아 국기.svg막심 시납체프Maksim ShnaptsevМаксим Шнапцев
77MF파일:러시아 국기.svg블라디슬라프 카라푸조프Vladislav KarapuzovВладислав Карапузов[2]
78MF파일:러시아 국기.svg니콜라이 칼린스키Nikolay KalinskiyНиколай Калинский
81GK파일:러시아 국기.svg이반 쿠쿠시킨Ivan KukushkinИван Кукушкин
89MF파일:러시아 국기.svg드미트리 스토츠키Dmitry StotskiyДмитрий Стоцкий
구단 정보
회장: 막심 메틀린 / 감독 : 세르게이 유란 / 구장 : 니즈니노브고로드 스타디움
출처: 트랜스퍼마르크트 / 마지막 수정 일자: 2023년 8월 1일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21 00:42:46에 나무위키 다니일 펜치코프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