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트론 로켓

덤프버전 : (♥ 0)



파일:나무위키 하얀 별 로고.svg 21세기의 우주개발
[ 펼치기 · 접기 ]

현재 주요 우주개발 프로젝트
파일:NASA_Artemis_Gateway_logo.png
루나 게이트웨이

화성 개척
파일:아르테미스 계획 휘장.svg
아르테미스 계획
주요 우주개발 기관
파일:NASA 로고.svg파일:러시아 연방 우주국 로고.svg파일:유럽 우주국 로고.svg
파일:국가항천국 로고.svg파일:JAXA 로고.svg파일:인도 우주연구기구 로고.svg
주요 우주개발 기업
파일:스페이스X 로고.svg파일:e09f7d22dc9bc30461d3df3936811718.png파일:blue-origin-logo.png
파일:로켓 랩 로고.png파일:아리안스페이스 로고.svg파일:버진 갤럭틱 로고.svg
국가기관 주력 발사체
ta-hash-start=w-069026dd46efb390001a2661e32c84c4[[파일:러시아 국기.svg 소유즈ta-hash-start=w-069026dd46efb390001a2661e32c84c4[[파일:러시아 국기.svg 안가라ta-hash-start=w-069026dd46efb390001a2661e32c84c4[[파일:러시아 국기.svg 프로톤
ta-hash-start=w-6fa62a6891386014f2ee668997b58b04[[파일:미국 국기.svg SLS파일:유럽 우주국 로고.svg 베가-Cta-hash-start=w-76a6c6f29439524b44a377e12e800054[[파일:중국 국기.svg 창정
ta-hash-start=w-921c24a9094d155245e4797c5011b747[[파일:인도 국기.svg PSLVta-hash-start=w-921c24a9094d155245e4797c5011b747[[파일:인도 국기.svg GSLVta-hash-start=w-230054d3ea411e1e7a2d75a60016c553[[파일:일본 국기.svg 엡실론
ta-hash-start=w-66ab6c8853c0a3e70311610fd6e3819b[[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누리ta-hash-start=w-2c029952e202c0e560626a4c5980d64c[[파일:북한 국기.svg 천리마-1
민간기업 주력 발사체
ta-hash-start=w-6fa62a6891386014f2ee668997b58b04[[파일:미국 국기.svg 팰컨 9ta-hash-start=w-6fa62a6891386014f2ee668997b58b04[[파일:미국 국기.svg 팰컨 헤비ta-hash-start=w-6fa62a6891386014f2ee668997b58b04[[파일:미국 국기.svg 아틀라스 V
ta-hash-start=w-6fa62a6891386014f2ee668997b58b04[[파일:미국 국기.svg 델타 IV 헤비ta-hash-start=w-230054d3ea411e1e7a2d75a60016c553[[파일:일본 국기.svg H-IIAta-hash-start=w-76a6c6f29439524b44a377e12e800054[[파일:중국 국기.svg 콰이저우
소형 발사체
ta-hash-start=w-6fa62a6891386014f2ee668997b58b04[[파일:미국 국기.svg 일렉트론ta-hash-start=w-6fa62a6891386014f2ee668997b58b04[[파일:미국 국기.svg 런처원ta-hash-start=w-6fa62a6891386014f2ee668997b58b04[[파일:미국 국기.svg 페가수스
ta-hash-start=w-66ab6c8853c0a3e70311610fd6e3819b[[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한빛-TLV
운용 예정 발사체
ta-hash-start=w-6fa62a6891386014f2ee668997b58b04[[파일:미국 국기.svg 스타십ta-hash-start=w-6fa62a6891386014f2ee668997b58b04[[파일:미국 국기.svg 뉴 글렌ta-hash-start=w-6fa62a6891386014f2ee668997b58b04[[파일:미국 국기.svg 벌컨
ta-hash-start=w-6fa62a6891386014f2ee668997b58b04[[파일:미국 국기.svg 뉴트론ta-hash-start=w-069026dd46efb390001a2661e32c84c4[[파일:러시아 국기.svg 이르티시파일:유럽 우주국 로고.svg 아리안 6
ta-hash-start=w-230054d3ea411e1e7a2d75a60016c553[[파일:일본 국기.svg H-IIIta-hash-start=w-66ab6c8853c0a3e70311610fd6e3819b[[파일:대한민국 국기.svg KSLV-IIIta-hash-start=w-6fa62a6891386014f2ee668997b58b04[[파일:미국 국기.svg 테란 1
소형 발사체
ta-hash-start=w-66ab6c8853c0a3e70311610fd6e3819b[[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고체연료 발사체ta-hash-start=w-66ab6c8853c0a3e70311610fd6e3819b[[파일:대한민국 국기.svg KSLV-s




Neutron
운용 여부개발중
높이43m
폭 (지름)7m
중량480,000 kg
총 스테이지 수2단
연료LOX(액체 산소) / 메탄
최대 추력1단 7,300 kN (744 tf)
2단 890 kN (91 tf)
탑재 능력13,000 kg (LEO)
1,500 kg (화성, 금성)
최초 비행2024년 예정
링크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1. 개요
2. 상세
3. 개발 과정



1. 개요[편집]


뉴트론은 로켓 랩에서 개발 중인 재사용 가능 로켓이다.


2. 상세[편집]


파일:뉴트론스펙.jpg
파일:뉴트론스펙2.jpg

높이는 42.8m, 페어링 길이는 5m이다.
1단에는 아르키메데스 엔진 9개, 2단에는 1개를 장착한다.[업데이트전스펙]


파일:아르키메데스엔진스펙.jpg
아르키메데스 엔진은 로켓 랩에서 개발 중인 가스발생기 사이클 엔진이며, 3D 프린터를 이용해 제작될 예정이다.


3. 개발 과정[편집]


  • 2021년 3월 1일

로켓 랩의 차세대 중형발사체 뉴트론의 개발 계획이 공개되었다.

  • 2021년 12월 2일
공식 영상을 통해 추가적인 내용과 로켓의 디자인이 공개되었다. 동체는 전작인 Electron과 같이 탄소섬유를 이용해 만드며, 1단에 7개의 엔진이 장착되고, 페어링이 분리되는 방식이 아닌 1단부에서 열렸다 닫히는 방식이다.[2]

  • 2022년 2월 28일
로켓 랩은 뉴트론의 발사 장소가 미국 버지니아 동부 해안에 위치한 Mid-Atlantic Regional Spaceport가 될 것이라고 발표했다.
또한 해당 장소 근처에 250,000 평방 피트 규모의 뉴트론 생산단지(Neutron Production Complex)를 지을 것이라고 했다.

  • 2022년 4월 11일
뉴트론 생산단지가 착공되었다. 기사

  • 2022년 9월 21일
뉴트론의 스펙이 업데이트 되었다. 차이점은 높이가 3m정도 높아졌고, 핀이 더 커졌다. 1단은 아르키메데스 엔진 7개에서 9개로 늘었으며, 오픈사이클 방식에서 다단연소 방식으로 바뀌었다.[3] 페어링 도어는 4개에서 2개로 감소했고[4] 착륙용 다리 또한 바뀌었다.[5]

  • 2023년 7월 27일
로켓의 디자인이 일부 변경되었다. 기존에는 페어링이 4등분되어 열리는 방식이었지만, 2등분되어 열리도록 바뀌었다. 기사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20 10:31:17에 나무위키 뉴트론 로켓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영문 위키[업데이트전스펙] 1단에는 7개의 아르키메데스 엔진[1]을 장착해, 이륙시 추력 5,960 kN (약 608 tf), 최대 추력 7,530 kN (약 768 tf)을 가진다. 2단에는 1개의 아르키메데스 엔진을 장착해, 진공 추력 1,110 kN (약 113 tf)을 가진다.[2] 즉 1단에서 페어링을 열고 2단 로켓이 그 안에서 발사되는 구조이다. 이러한 방식을 채택함으로써 SpaceX처럼 페어링 회수를 위해 별도의 선박을 운용하는 등의 노력을 줄일 수 있다.[3] 파일:아르키메데스엔진2.jpg[4] 파일:뉴트론페어링(초창기).jpg파일:뉴트론페어링.jpg[5] 다리 디자인은 언제든지 바뀔 수 있다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