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르베르트 기옴베르

덤프버전 : (♥ 0)

1 피오릴로 · 3 브라다리치 · 5 다닐리우크 · 6 삼비아 · 7 마르테가니 · 8 보히넨
10 디아 · 11 부트하임 · 13 오초아 · 17 파시오
C
· 18 쿨리발리 · 19 스테와트 · 20 카스타노스
21 카브라우 · 22 이쿠이메시 · 23 기옴베르 · 25 마조레 · 28 브론 · 30 마초키
33 차우나 · 56 코스틸 · 66 로바토 · 87 칸드레바 · 98 피롤라 · 99 레고프스키 · - 시미
파일:UEFA EURO ITA.png 필리포 인자기
* 이 표는 간략화한 버전입니다. 스쿼드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여기를 참고해주세요.
* 스쿼드에 변동이 있으면 두 틀 모두 수정해주세요.


파일:norbert-gyomber-salernitana-1634300969-72942.jpg
US 살레르니타나 1919 No. 23
노르베르트 죔베르[1]
Norbert Gyömbér
출생1992년 7월 3일 (31세)
체코슬로바키아 레부차
국적
파일:슬로바키아 국기.svg

|
파일:헝가리 국기.svg

신체 189cm / 체중 76kg
포지션센터백
주발오른발
유소년 클럽MKF 레부차 (1997~2006)
MFK 두클라 반스카비스트리차 (2006~2011)
소속 클럽MFK 두클라 반스카비스트리차 (2011~2013)
칼초 카타니아 (2013~2015)
AS 로마 (2015~2018)
페스카라 칼초 (2016~2017 / 임대)
테렉 그로즈니 (2017 / 임대)
SSC 바리 (2017~2018 / 임대)
AC 페루자 칼초 (2018~2020)
US 살레르니타나 1919 (2020~ )
국가대표35경기[2] (슬로바키아 / 2014~ )




1. 개요[편집]


슬로바키아의 축구 선수. 현재 US 살레르니타나 1919 소속이다.

2. 클럽 경력[편집]



2.1. MFK 두클라 반스카비스트리차[편집]


체코슬로바키아의 레부차 출신으로, MFK 레부차에서 축구를 시작했다. 10년 가까이 지내다가 2006년에 두클라 반스카비스트리차의 유스팀에 입단하여 4년간 성장했다. 그리고 2011년 10월 6일, MFK 루좀베로크와의 리그 경기를 통해 프로 무대에 데뷔했다. 그는 첫 시즌 21경기에 출전했으며, 신인임에도 인상적인 활약을 보여주며 두클라 팬들이 뽑은 올해의 선수상을 수상했다. 2012-13 시즌에도 주전으로 뛰며 총 29경기를 소화했다.


2.2. 칼초 카타니아[편집]


자국 리그에서의 활약을 인정받아 2013-14 시즌을 앞두고 이탈리아 세리에 A의 칼초 카타니아로 이적했다. 첫 시즌 리그 18경기 1골, 코파 이탈리아 1경기를 뛰며 총 19경기를 뛰었으며, 팀은 18위로 세리에 B로 강등됐다. 다음 시즌에는 9경기 출전에 그쳤고, 설상가상 팀은 한번 더 강등을 맞이하며 3부리그인 세리에 C로 추락하고 말았다.


2.3. AS 로마[편집]


연이은 강등에 그는 이적을 모색할 수 밖에 없었고, 2015년 8월 18일에 로마로 이적했다. 그러나 당시 로마에는 베테랑인 레안드루 카스탄, 코스타스 마놀라스, 안토니오 뤼디거 등 그보다 훨씬 실력을 가진 경쟁자들이 즐비했기 때문에 6경기 출전에 그치고 말았다.

결국 2016-17 시즌부터 2017-18 시즌까지 이탈리아, 폴란드 리그로 임대를 전전하는 신세가 되었다.


2.4. AC 페루자 칼초[편집]


2018년 8월 14일, 로마에서 방출된 뒤 세리에 B에 있던 페루자 칼초와 3년 계약을 체결했다. 페루자에서는 주전으로 두 시즌간 61경기를 소화했다.


2.5. US 살레르니타나 1919[편집]


2020년 9월 12일, 역시 세리에 B팀인 살레르티나타와 3년 계약을 체결했다. 첫 시즌부터 주전으로 선택받아 세리에 A 승격을 이끌었으며, 2023-24 시즌 현재까지 주전으로 출전 중이다.


3. 국가대표 경력[편집]


슬로바키아 연령대 대표팀인 U-19와 U-21을 거쳐왔으며, 2014년부터 성인 대표팀에서 뛰기 시작했다.


4. 같이보기[편집]


[ 펼치기 · 접기 ]

2023-24 시즌 US 살레르니타나 1919 스쿼드
번호국적포지션한글 성명로마자 성명비고
1파일:이탈리아 국기.svgGK빈첸초 피오릴로Vincenzo Fiorillo
2파일:튀니지 국기.svgDF딜랑 브론Dylan Bronn
3파일:크로아티아 국기.svgDF도마고이 브라다리치Domagoj Bradaric
5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DF플라비우스 다닐리우크Flavius Daniliuc
6파일:프랑스 국기.svgMF주니어 삼비아Junior Sambia
8파일:노르웨이 국기.svgMF에밀 보히넨Emil Bohinen
9파일:이탈리아 국기.svgFW페데리코 보나촐리Federico Bonazzoli
11파일:노르웨이 국기.svgFW에리크 부트하임Erik Botheim
13파일:멕시코 국기.svgGK기예르모 오초아Guillermo Ochoa
14파일:칠레 국기.svgFW디에고 발렌시아Diego Valencia
16파일:세르비아 국기.svgMF이반 라도바노비치Ivan Radovanovic
17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DF페데리코 파시오Federico Fazio주장
18파일:말리 국기.svgMF라사나 쿨리발리Lassana Coulibaly
19파일:노르웨이 국기.svgFW율리안 크리스토페르센Julian Kristoffersen
20파일:키프로스 국기.svgMF그리고리스 카스타노스Grigoris Kastanos
21파일:카보베르데 국기.svgFW조반 카브랄Jovane Cabral[1]
23파일:슬로바키아 국기.svgDF노르베르트 기옴베르Norbert Gyömbér
25파일:이탈리아 국기.svgMF줄리오 마조레Giulio Maggiore
26파일:프랑스 국기.svgDF사나시 시Sanasi Sy
28파일:이탈리아 국기.svgMF레오나르도 카페치Leonardo Capezzi
29파일:세네갈 국기.svgFW불라이 디아Boulaye Dia
30파일:이탈리아 국기.svgMF파스콸레 마초키Pasquale Mazzocchi
33파일:이탈리아 국기.svgGK루이지 세페Luigi Sepe
41파일:이탈리아 국기.svgMF한스 니콜루시 카빌리아Hans Nicolussi Caviglia[E]
66파일:이탈리아 국기.svgDF마테오 로바토Matteo Lovato
87파일:이탈리아 국기.svgMF안토니오 칸드레바Antonio Candreva
98파일:이탈리아 국기.svgDF로렌초 피롤라Lorenzo Pirola
구단 정보
구단주: 안토니오 피오 예르볼리노 / 감독: 파울루 소자 / 구장: 스타디오 아레키
출처: 영문 위키피디아,US 살레르니타나 1919 공홈 / 마지막 수정 일자: 2023년 7월 12일
[1] 스포르팅 CP에서 임대[E] 유벤투스 FC에서 임대




[ 펼치기 · 접기 ]
포지션등번호이름생년월일출장소속 클럽
GK1마르틴 두브라프카
(Martin Dúbravka)
1989년 1월 15일 (35세)360파일:잉글랜드 국기.svg 뉴캐슬 유나이티드 FC
12마레크 로다크
(Marek Rodák)
1996년 12월 13일 (27세)190파일:잉글랜드 국기.svg 풀럼 FC
23헨리히 라바스
(Kristoffer Nordfeldt)
1997년 8월 16일 (26세)00파일:폴란드 국기.svg 비제프 우치
-도미닉 그라이프
(Dominik Greif)
1997년 4월 6일 (27세)40파일:스페인 국기.svg RCD 마요르카
DF2페테르 페카리크
(Peter Pekarík)
1986년 10월 30일 (37세)1192파일:독일 국기.svg 헤르타 BSC
3데니스 바브로
(Denis Vavro)
1996년 4월 10일 (28세)152파일:덴마크 국기.svg FC 코펜하겐
4마르틴 발리옌트
(Martin Valjent)
1995년 12월 11일 (28세)130파일:스페인 국기.svg RCD 마요르카
5루보미르 샤트카
(Ľubomír Šatka)
1995년 12월 2일 (28세)320파일:튀르키예 국기.svg 삼순스포르
6노르베르트 기옴베르
(Norbert Gyömbér)
1992년 7월 3일 (31세)330파일:이탈리아 국기.svg US 살레르니타나 1919
14밀란 슈크리니아르 파일:captainarmband3.png
(Milan Škriniar)
1995년 2월 11일 (29세)603파일:프랑스 국기.svg 파리 생제르맹 FC
15버논 드마르코
(Vernon De Marco)
1992년 11월 18일 (31세)61파일:슬로바키아 국기.svg ŠK 슬로반 브라티슬라바
16다비드 한츠코
(Dávid Hancko)
1997년 12월 13일 (26세)292파일:네덜란드 국기.svg 페예노르트 로테르담
23미할 토믹
(Gabriel Gudmundsson)
1999년 4월 22일 (25세)10파일:체코 국기.svg SK 슬라비아 프라하
MF7토마시 수슬로프
(Tomáš Suslov)
2002년 6월 7일 (22세)202파일:네덜란드 국기.svg FC 흐로닝언
13파트리크 흐로쇼프스키
(Patrik Hrošovský)
1992년 4월 22일 (32세)490파일:벨기에 국기.svg KRC 헹크
19유라이 쿠츠카
(Emil Forsberg)
1987년 2월 26일 (37세)9912파일:슬로바키아 국기.svg ŠK 슬로반 브라티슬라바
20로베르트 마크
(Róbert Mak)
1991년 3월 8일 (33세)7715파일:호주 국기.svg 시드니 FC
21마투스 베로
(Matúš Bero)
1995년 2월 6일 (29세)281파일:독일 국기.svg VfL 보훔
22스타니슬라프 로보트카
(Stanislav Lobotka)
1994년 11월 25일 (29세)473파일:이탈리아 국기.svg SSC 나폴리
-크리스티안 헤르크
(Christián Herc)
1998년 9월 30일 (25세)40파일:스위스 국기.svg 그라스호퍼 클럽 취리히
-온드레이 두다
(Ondrej Duda)
1994년 12월 5일 (29세)6310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엘라스 베로나 FC
-알베르트 루스낙
(Ondrej Duda)
1994년 7월 7일 (29세)387파일:미국 국기.svg 시애틀 사운더스 FC
FW8다비드 스트렐레츠
(David Strelec)
2001년 4월 4일 (23세)10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스페치아 칼초
9로베르트 보제니크
(Róbert Boženík)
1999년 11월 18일 (24세)315파일:포르투갈 국기.svg 보아비스타 FC
10로베르트 폴리에브카
(Róbert Polievka)
1996년 6월 9일 (28세)40파일:슬로바키아 국기.svg MFK 두클라 반스카비스트리차
11다비드 두리스
( Dávid Ďuriš)
1999년 3월 27일 (25세)50파일:슬로바키아 국기.svg MŠK 질리나
18이반 슈란츠
(Ivan Schranz)
1993년 9월 13일 (30세)173파일:체코 국기.svg SK 슬라비아 프라하
-루카스 하라슬린
(Lukáš Haraslín)
1996년 5월 26일 (28세)293파일:체코 국기.svg AC 스파르타 프라하
출처: 영문 위키피디아 / 마지막 수정 일자: 2023년 07월 26일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19 15:13:38에 나무위키 노르베르트 기옴베르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ˈnorbɛrd ˈɟømbeːr/[2] 2023년 11월 17일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