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이선 이볼디

덤프버전 : (♥ 0)

||
[ 펼치기 · 접기 ]


||<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gcolor=#003278><width=20%><colcolor=#ffffff> 투수 ||<colbgcolor=#ffffff,#191919><colcolor=#c0111f,#ed3f4d> 17 이볼디 · 22 그레이 · 25 르클럭 · 31 슈어저 · 33 더닝 · 43 화이트 · 44 히니 · 46 버크 · 48 디그롬 · 57 로드리게스 · 60 · 61 브래드포드 · 65 앤더슨 · 66 스보즈 · 67 라츠 · 72 에르난데스 · 78 켄트 · # 켈리 · # 처치 · # 코니엘 · # 예이츠 · # 콜먼 · # 말리 ||
|| 포수 || 28 하임 · 55 허프 ||
|| 내야수 || 2 시미언 · 5 시거 · 6 · 20 듀란 · 30 로우 · 36 오넬라스 · 47 J.스미스 · # 포스큐 ||
|| 외야수 || 3 타베라스 · 32 카터 · 50 마르티네스 · 53 가르시아 · 67 해리스 ||
||<-2> 파일:미국 국기.svg 브루스 보치 파일:미국 국기.svg 윌 베나블 파일:미국 국기.svg 도니 에커 파일:미국 국기.svg 팀 하이어스
파일:미국 국기.svg 세스 코너 파일:미국 국기.svg 마이크 매덕스 파일:미국 국기.svg 코리 락스데일 · 파일:미국 국기.svg 토니 비슬리
파일:미국 국기.svg 브렛 헤이스 파일:미국 국기.svg 바비 윌슨 파일:미국 국기.svg 팻 칸트웰 · 파일:미국 국기.svg 조시 프레이저 ||
||<-2><bgcolor=#eeeeee,#191919> 파일:MLB 로고.svg 다른 MLB 팀 40인 로스터 보기
파일:라운드 락 익스프레스 엠블럼.svg 산하 AAA팀 로스터 보기 ||




네이선 이볼디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
[ 펼치기 · 접기 ]

#191919,#ffffff ||<table width=100%><width=20%><rowbgcolor=#bd3039><rowcolor=#ffffff> '''1901''' ||<width=20%> '''1902''' ||<width=20%> '''1903''' ||<width=20%> '''1904~1908''' ||<width=20%> '''1909''' || || [[윈 켈럼]] || [[사이 영]] || [[조지 윈터]] || [[사이 영]] || [[프랭크 아렐라네스]] || ||<rowbgcolor=#bd3039><rowcolor=#ffffff> '''1910''' || '''1911~1913''' || '''1914''' || '''1915''' || '''1916~1918''' || || [[에디 시콧]] || [[스모키 조 우드]] || [[레이 콜린스]] || [[어니 쇼어]] || [[베이브 루스]] || ||<rowbgcolor=#bd3039><rowcolor=#ffffff> '''1919''' || '''1920''' || '''1921''' || '''1922''' || '''1923~1924''' || || [[칼 메이스]] || [[앨런 러셀]] || [[새드 샘 존스]] || [[잭 퀸]] || [[하워드 엠키]] || ||<rowbgcolor=#bd3039><rowcolor=#ffffff> '''1925''' || '''1926''' || '''1927''' || '''1928''' || '''1929''' || || [[알렉스 퍼거슨]] || [[하워드 엠키]] || [[슬림 해리스]] || [[대니 맥페이덴]] || [[레드 러핑]] || ||<rowbgcolor=#bd3039><rowcolor=#ffffff> '''1930''' || '''1931''' || '''1932''' || '''1933''' || '''1934''' || || [[대니 맥페이덴]] || [[윌시 무어]] || [[대니 맥페이덴]] || [[아이비 앤드류스]] || [[고든 로즈]] || ||<rowbgcolor=#bd3039><rowcolor=#ffffff> '''1935~1937''' || '''1938''' || '''1939~1940''' || '''1941''' || '''1942''' || || [[웨스 페럴]] || [[짐 배그비]] || [[레프티 그로브]] || [[잭 윌슨]] || [[딕 뉴섬]] || ||<rowbgcolor=#bd3039><rowcolor=#ffffff> '''1943''' || '''1944''' || '''1945''' || '''1946~1947''' || '''1948~1949''' || || [[텍스 휴슨]] || [[양크 테리]] || [[렉스 세실]] || [[텍스 휴슨]] || [[조 돕슨]] || ||<rowbgcolor=#bd3039><rowcolor=#ffffff> '''1950''' || '''1951''' || '''1952~1954''' || '''1955~1956''' || '''1957''' || || [[멜 파넬]] || [[빌 라이트]] || [[멜 파넬]] || [[프랭크 설리반]] || [[톰 브루어]] || ||<rowbgcolor=#bd3039><rowcolor=#ffffff> '''1958''' || '''1959''' || '''1960''' || '''1961''' || '''1962''' || || [[프랭크 설리반]] || [[톰 브루어]] || [[톰 스터디반트]] || [[빌 몬보퀘트]] || [[돈 슈월]] || ||<rowbgcolor=#bd3039><rowcolor=#ffffff> '''1963~1965''' || '''1966''' || '''1967''' || '''1968''' || '''1969''' || || [[빌 몬보퀘트]] || [[얼 윌슨]] || [[짐 론보그]] || [[딕 엘스워스]] || [[짐 론보그]] || ||<rowbgcolor=#bd3039><rowcolor=#ffffff> '''1970''' || '''1971''' || '''1972''' || '''1973~1975''' || '''1976~1977''' || || [[게리 피터스]] || [[레이 컬프]] || [[마티 파틴]] || [[루이스 티안트]] || [[퍼거슨 젠킨스]] || ||<rowbgcolor=#bd3039><rowcolor=#ffffff> '''1978''' || '''1979~1983''' || '''1984''' || '''1985''' || '''1986''' || || [[마이크 토레스]] || [[데니스 에커슬리]] || [[브루스 허스트]] || [[오일 캔 보이드]] || [[브루스 허스트]] || ||<rowbgcolor=#bd3039><rowcolor=#ffffff> '''1987''' || '''1988~1994''' || '''1995''' || '''1996''' || '''1997''' || || [[밥 스탠리]] || [[로저 클레멘스]] || [[애런 셀레]] || [[로저 클레멘스]] || [[톰 고든]] || ||<rowbgcolor=#bd3039><rowcolor=#ffffff> '''1998~2004''' || '''2005''' || '''2006~2007''' || '''2008''' || '''2009~2010''' || || [[페드로 마르티네스]] || [[데이비드 웰스]] || [[커트 실링]] || [[마쓰자카 다이스케]] || [[조시 베켓]] || ||<rowbgcolor=#bd3039><rowcolor=#ffffff> '''2011~2014''' || '''2015''' || '''2016''' || '''2017''' || '''2018~2019''' || || [[존 레스터]] || [[클레이 벅홀츠]] || [[데이비드 프라이스]] || [[릭 포셀로]] || [[크리스 세일]] || ||<rowbgcolor=#bd3039><rowcolor=#ffffff> '''2020~2022''' || '''2023''' || '''''' || '''''' || '''''' || || [[네이선 이볼디]] || [[코리 클루버]] || [[]] || [[]] || [[]] ||




네이선 이볼디의 수상 경력 / 보유 기록 / 역대 등번호
[ 펼치기 · 접기 ]

파일:2018보스턴우승로고.png파일:2023_rangers_world_champs.jpg
MLB 월드 시리즈
우승반지
20182023

파일:2021 MLB 올스타전 로고.svg파일:2023 MLB 올스타전 로고.svg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올스타
20212023

보유 기록
단일 포스트 시즌 최다 승5승2023 PS
단일 포스트 시즌 최다 선발6회2023 PS

로스앤젤레스 다저스 등번호 50번
루비 데 라 로사
(2011)
네이선 이볼디
(2011~2012)
랜디 초트
(2012)
마이애미 말린스 등번호 24번
마이크 캐머런
(2011)
네이선 이볼디
(2012~2014)
안드레 리엔조
(2015)
뉴욕 양키스 등번호 30번
데이비드 로버트슨
(2008~2014)
네이선 이볼디
(2015~2016)
피트 코즈마
(2017)
탬파베이 레이스 등번호 24번
행크 콩거
(2016)
네이선 이볼디
(2018)
아비사일 가르시아
(2019)
보스턴 레드삭스 등번호 17번
데븐 마레로
(2017)
네이선 이볼디
(2018~2022)
라이멜 타피아
(2023)
텍사스 레인저스 등번호 17번
추신수
(2014~2020)
네이선 이볼디
(2023~)
현역

파일:1000003483.jpg
텍사스 레인저스 No.17
네이선 이볼디
Nathan Eovaldi
본명네이선 에드워드 이볼디
Nathan Edward Eovaldi
출생1990년 2월 13일 (34세)
텍사스 주 휴스턴
국적
파일:미국 국기.svg

학력앨빈 고등학교
신체188cm / 97kg
포지션선발 투수
투타우투우타
프로입단2008년 드래프트 11라운드 (전체 337번, LAD)
소속팀로스앤젤레스 다저스 (2011~2012)
마이애미 말린스 (2012~2014)
뉴욕 양키스 (2015~2016)
탬파베이 레이스 (2018)
보스턴 레드삭스 (2018~2022)
텍사스 레인저스 (2023~)
계약2023 - 2024 / $34,000,000[option]
연봉2023 / $16,000,000

1. 개요
2. 선수 경력
3. 피칭 스타일
4. 수상 내역
5. 연도별 성적
6. 기타
7. 관련 문서
8. 둘러보기



1. 개요[편집]


텍사스 레인저스 소속 우완 투수.


2. 선수 경력[편집]



2.1. 아마추어 시절[편집]


고등학교 1학년 때 토미 존 수술을 받았고, 2학년 때부터 본격적으로 시작해 텍사스 올 스테이트 팀에 선정됐다. 그리고 2008년 11라운드에 로스앤젤레스 다저스에 지명되었고 동시에 텍사스 A&M 대학교에 장학금으로 입학 제의가 왔지만 결국 25만 달러의 사이닝 보너스를 받고 다저스에 입단했다.


2.2. 로스앤젤레스 다저스[편집]


파일:20120404_gav_sv5_001.jpg

2008년 입단 이후 루키 리그에서 커리어를 시작해 이후 2009년 싱글 A에 승격하게 된다.

2010년에는 하이 싱글 A로 승격해 캘리포니아 리그 올스타에도 선정되었다.

2011년에는 더블 A로 승격해 미드 시즌 올스타 게임에도 출전했고, 6승 5패 ERA 2.62라는 좋은 성적을 기록하는 등의 활약 덕분에 8월 6일 메이저로 콜업된다.

8월 6일 애리조나 다이아몬드백스와의 경기에 선발로 등판해 5이닝 2실점 7탈삼진을 기록하며 데뷔 첫 승을 따냈고, 거기에 타석에서 1안타 1타점으로 데뷔 첫 안타와 타점을 기록했다.[1] 그리고 6경기를 더 선발 등판한 이후 불펜에서 4경기를 등판하고 시즌을 마무리 해 최종 성적 10경기 34⅔이닝 1승 2패 1홀드 ERA 3.63라는 준수한 성적을 기록했다.

2012년에도 더블 A에서 시즌을 시작했지만 5월 29일 밀워키 브루어스와의 경기에 등판하기 위해 콜업되었다. 선발로 등판해 7이닝 2실점 4탈삼진로 호투했으나 타선이 득점하지 못하면서 패전 투수가 되었다.


2.3. 마이애미 말린스[편집]


파일:080214-fsf-mlb-miami-marlins-nathan-eovaldi-PI.jpg

2012년 7월 25일 랜디 초트와 핸리 라미레즈를 상대로 스캇 맥거프와 함께 마이애미 말린스로 트레이드되었다.

트레이드 후 첫 경기인 7월 28일 샌디에이고 파드리스와의 경기에서 5이닝 1실점을 기록하며 승리 투수가 되었고, 트레이드 후에도 꾸준히 선발로 등판해 최종 성적 22경기 119⅓이닝 4승 13패 ERA 4.30 78탈삼진을 기록했고, 2013년에는 18경기 106⅓이닝 4승 6패 ERA 3.39 78탈삼진, 2014년에는 33경기 199⅔이닝 6승 14패 ERA 4.37 142탈삼진을 기록했다.


2.4. 뉴욕 양키스[편집]


파일:yankees-nathan-eovaldi.jpg
2014년 12월 19일 마틴 프라도데이비드 펠프스를 상대로 개럿 존스와 도밍고 헤르만과 함께 뉴욕 양키스로 트레이드되었다.

2015년 4월 10일 보스턴 레드삭스와의 경기에서 선발 등판해 5⅓이닝 2실점을 기록했지만 승패가 나지 않은 채로 마운드에서 내려왔다.[2] 6월 20일부터 8월 24일까지 ERA 2.93을 기록하며 8연승 질주를 했으나 9월 팔꿈치 염증으로 부상자 명단에 오르며 결국 시즌을 마치게 되었다. 이후 재활하면서 ALDS를 준비했으나 팀이 ALWC에서 휴스턴 애스트로스댈러스 카이클에게 탈탈 털리며 결국 광탈하면서 포스트시즌 등판이 무산되었다.

2016년 8월 16일 오른팔 굴곡근 손상과 팔꿈치 인대 부분 파열로 인해 그의 시즌 아웃을 알렸고 얼마 뒤 토미 존 수술을 받으면서 2017년까지 재활에만 매진하게 되었고, 결국 2016년 11월 23일 양키스에서 논텐더로 방출당했다.


2.5. 탬파베이 레이스[편집]


파일:hi-res-81407300390f97a5d6d0ccff037e79d7.jpg

2017년 2월 14일 탬파베이 레이스와 1+1년 400만 달러에 계약을 맺었다. 2017년은 토미 존 서저리로 재활에만 매진했고, 2018년을 준비했는데 2018년 3월 28일 팔꿈치에 유리체가 발견돼 또다시 재활에 매진해 5월 30일 드디어 마운드에 오르게 된다. 투구수 관리를 받으면서 오클랜드 애슬레틱스를 상대로 6이닝 노히트를 기록했다.


2.6. 보스턴 레드삭스[편집]


파일:Nathan_Eovaldi_Boston_Red_Sox.webp

2018년 7월 25일 제일런 빅스를 상대로 보스턴 레드삭스로 트레이드되었다. 7월 29일 미네소타 트윈스와의 등판해 7이닝 1실점을 기록했으나 타선에서 1점도 득점하지 못하며 패전 투수가 되었다. 이후 알렉스 코라 감독의 철저한 관리 속에 알토란같은 활약을 보여줬다.

이후 팀이 지구 우승을 달성해 드디어 포스트 시즌 무대에 서게 되었다. 그리고 ALDS 3차전에 등판했고 7이닝 1실점 5피안타 5탈삼진을 기록하며 승리투수가 되었다.[3] 결국 팀이 다음 경기도 승리하면서 ALCS에서도 등판 기회를 잡았고 3차전에 등판해 6이닝 2실점 4탈삼진를 기록하면서 승리투수가 되었다. 그리고 5차전 팀이 승리하면 월드 시리즈 행이 확정되는 상황에서 불펜으로 등판해 1⅓이닝 무실점 호투를 했고 결국 경기를 승리하면서 드디어 월드 시리즈 마운드에 서게 되었다.

2018년 월드 시리즈에서는 1차전과 2차전 모두 8회에 불펜으로 등판했는데, 모두 1이닝 무실점을 기록하며 2경기 2홀드를 챙겼다. 그리고 3차전에서 팀이 연장을 간 상황에서 12회에 등판해 13회 드디어 팀이 1점을 내 앞서가나 승리투수가 싶었지만 이안 킨슬러의 수비 삽질로 다시 동점이 되었고, 그리고 18회까지 던졌으나 18회말 맥스 먼시에게 끝내기 홈런을 맞고 결국 패전 투수가 되었다. 이 날 불펜으로 등판해 6이닝 97구 2실점 1자책 5탈삼진을 기록했고,[4] 패전투수가 됐음에도 불구하고 그는 박수를 받았으며 레드삭스 팬들에게 큰 감동을 주었다. 비록 패전투수가 되었지만 팬들을 비롯해 많은 사람들에게 오래도록 기억될 호투를 펼쳤기 때문이다. 이 때부터 빅게임 피쳐라는 명예로운 호칭을 얻게 되며 후술하겠지만 그 이후에도 가을야구만 되면 자신의 진가를 마음껏 보여주었다. 이후 펼쳐진 2경기 모두 승리를 하면서 결국 생애 첫 우승 반지를 획득했다.

시즌 후 FA로 풀렸고 많은 구단과의 링크가 떴지만 결국 2018년 12월 6일 보스턴과 4년 6,750만 달러에 재계약을 하며 2019년에도 보스턴의 일원으로 뛰게 되었다. 하지만 4경기만에 고질적인 팔꿈치 부상이 도지며 또다시 수술을 받았고, 부상 복귀 이후에는 마무리 투수로 뛸 예정이었으나 좋은 모습을 보여주지 못했다.

2020년에는 부상 한 번을 제외하면 무너진 팀에서 무난하게 역할을 해 줬다.

2021 아메리칸 리그 와일드카드 게임에서 등판하여 5⅓이닝 4피안타 8K 1실점을 기록하며 승리투수가 됐다.

10월 17일 2021 아메리칸 리그 챔피언십 시리즈 3차전에서 5⅓이닝 3실점을 기록하였다.

10월 23일 ALCS 6차전에서 4⅓이닝 1실점을 기록했다.

2021년 전체적으로 좋은 피칭을 선보이며 올스타에도 선발되었고, 그동안 문제되던 내구도 면에서도 문제없이 한 시즌을 완주하는 등의 모습을 보이면서 아메리칸 리그 사이 영 4위에 올랐다.

2022년 5월 18일 경기에서 한 이닝에 5피홈런을 일격당하는 불명예를 당했다.

7월 23일 토론토전에서 2⅔이닝 9자책으로 신나게 털렸다. 팀은 28-5로 대패.

2.7. 텍사스 레인저스[편집]


파일:레인저스공식합성이볼디.jpg
파일:레인저스기자회견이볼디.jpg

2022년 12월 27일, 텍사스와 2년 3,400만 달러의 계약을 맺었다.

2023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에 출전하게 되었다.

파일:레인저스이볼디.webp

2023년 4월 1일, 필라델피아 필리스와의 홈경기에 선발등판하여 5이닝 6피안타 2볼넷 6탈삼진 3실점을 기록했다. 피안타가 조금 많았고, 홈런만 안 맞았을 뿐 피안타 중 장타만 4개(2루타 3, 3루타 1)였다.

불안한 모습을 보이긴 했지만 팀 타선이 5회까지 7점을 내었고 그 뒤에도 리드를 뺏기지 않으며 올 시즌 팀의 첫 선발승을 기록했다.

4월 29일, 뉴욕 양키스를 상대로 9이닝을 무실점으로 틀어막아 자신의 커리어 첫 완봉승을 장식했다. 팀은 2:0으로 승리했다.

5월 23일, 피츠버그 파이리츠를 상대로 9이닝 6피안타 1볼넷 5탈삼진 1실점으로 완투승을 기록했다. 팀은 6:1로 승리했다.

5월 미친 호투와 이닝이팅을 선보여 아메리칸 리그 이달의 투수상을 수상했다.[5] 당초 실력은 어느 정도 보장됐어도 제이콥 디그롬처럼 내구성이 나쁠 것이라는 우려가 있었지만 오히려 이닝을 무지막지하게 먹어대는 중이다.

9월 성적이 매우 좋지 않아 포스트시즌 활약이 의심되었으나, ALDS 3차전에 선발투수로 등판해 7이닝 5피안타 무사사구 7K 1실점의 호투를 보여주며 제이콥 디그롬맥스 슈어저가 없는 텍사스 마운드의 에이스가 누구인지 확실하게 보여줬다.

월드시리즈까지 가는 포스트시즌에서 가을야구 경험을 마음껏 뽐냈다. 타선에는 코리 시거마커스 시미언이 있다면 선발에는 이볼디가 있었다고 해도 무방하다. 그도 사람인 지라 전에 등판한 애리조나와 이전 휴스턴에서 난조를 보이긴 했지만 이 외에는 등판하면 팀이 승리를 챙겼다. 만약 이볼디가 단년계약을 했다면 시즌 후 가을야구 호성적을 바탕으로 좋은 계약이 가능했을 수도 있다.

단일 포스트시즌에서 선발 투수로 5승이라는 신기록을 세우며 2023년 월드 시리즈 우승의 주역이 되었다.

3. 피칭 스타일[편집]


평균 96마일, 최대 102마일[6]까지 찍히는 포심 패스트볼이 주무기인 전형적인 우완 파이어볼러로, 세컨드 피치로 평균 93마일대의 커터를 던지며 이 둘의 비중이 전체 구종의 70%에 육박한다.

서드 피치는 88마일의 스플리터로 헛스윙을 잘 유도한다. 또한 평균 구속 86마일대의 슬라이더는 커리어 초중반에는 주무기였지만 현재는 그리 위력적인 구종은 아니다. 70마일 후반대의 커브는 평범한 수준이다.


4. 수상 내역[편집]



5. 연도별 성적[편집]


파일:MLB 로고.svg 네이선 이볼디의 역대 MLB 기록
연도GWLSHLDIPERAHHRBBHBPSOWHIPERA+fWARbWAR
2011LAD10120134⅔3.63282202231.3851020.20.6
연도GWLSHLDIPERAHHRBBHBPSOWHIPERA+fWARbWAR
2012LAD/MIA2241300119⅓4.3013310473781.508921.21.4
2013MIA184600106⅓3.391007401781.3171141.42.1
20143361400199⅔4.37223144371421.332853.30.3
연도GWLSHLDIPERAHHRBBHBPSOWHIPERA+fWARbWAR
2015NYY2714300154⅓4.20175104931211.451973.22.3
2016249800124⅔4.7612323401971.307900.71.3
연도GWLSHLDIPERAHHRBBHBPSOWHIPERA+fWARbWAR
2018TB/BOS2267001113.81105142031011.1261122.21.1
2019BOS23210467⅔5.997216353701.58181-0.3-0.1
20209420048⅓3.7251874521.2001290.91.2
20213211900182⅓3.75182153571951.1901265.74.5
2022206300109⅓3.87115212011031.2351091.01.5
연도GWLSHLDIPERAHHRBBHBPSOWHIPERA+fWARbWAR
2023TEX25125001443.63117154761321.1391233.11.8
MLB 통산
(12시즌)
2657973051401⅔4.1014241554034111921.30310322.718.1

6. 기타[편집]


  • 현재까지 오른팔에 입었던 주요 부상으로는 2013년 우측 어깨 염증, 2016년 우측 팔꿈치 힘줄, 내측측부인대 파열, 2018년과 2019년에 우측 팔꿈치 유리체 발견이 있었다.

  • 상당한 저니맨으로, 비슷한 급의 현역투수들 중 팀을 가장 자주 바꾼 편에 들어간다.

  • 네이선이라는 발음이 어렵다고 하면, 네이트(Nate)라고 부르면 된다는 간단한 팁을 팬들과 기자들에게 알려줬다고 한다.

  • 보스턴에서 뛰기 이전부터 레드삭스에 대해 호의적인 감정을 가지고 있었는지, 2018년 탬파베이에서 뛰던 당시, 보스턴 레드삭스로 트레이드됐단 소식에 크게 기뻐했다는 이야기가 있다. 그리고 당해 월드시리즈에서 레드삭스의 우승에 크게 기여한 바 있는데 커리어 내내 양키스, 레이스 등 레드삭스의 라이벌 팀에서 뛰었다는 점을 감안해 보면 특이한 사항이다.

  • 모교 앨빈 고등학교 메이저리거 출신으로는 명예의 전당 입성에 성공했으며 통산 324승 및 역대 탈삼진 1위인 5714개라는 괴물같은 성적을 찍은 놀란 라이언과 앨빈고교 33년차이 고교 후배이다.

7. 관련 문서[편집]



8. 둘러보기[편집]


파일:MLB 아메리칸 리그 로고.svg 2023년 5월 메이저 리그 아메리칸 리그 이 달의 투수 상
게릿 콜
(뉴욕 양키스)
네이선 이볼디
(텍사스 레인저스)
제임스 팩스턴
(보스턴 레드삭스)
[option] vesting option $20,000,000 for 2025[1] 다저스 투수가 데뷔전에 7탈삼진을 기록한 것과 데뷔전에서 타점을 기록한 것 두 기록 모두 역대 4번째다.[2] 참고로 이 날 경기 이후 스플리터를 익히게 되었고, 이날 양키스는 무려 19회까지 간 끝에 패배했다.[3] 승리투수가 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주목받지 못했는데 왜냐하면 팀이 뉴욕 양키스를 브록 홀트가 사이클링 히트를 치는 등 16:1로 완전히 박살을 내버려서 그렇다.[4] 월드 시리즈에서 불펜 투수가 6이닝 이상 소화한 것은 역대 5번째이자 1977년 릭 로덴 이후 처음이다.[5] 5월 성적 5경기(5선발) 37⅔이닝 4승 무패 ERA 0.96 2피홈런 31탈삼진 9볼넷 WHIP 0.82[6] 컨디션이 정말 좋아야 간간히 찍힌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19 09:12:15에 나무위키 네이선 이볼디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