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나가사키현 제3구

덤프버전 :


규슈-오키나와 지방의 국회의원
[ 중의원 의원 ]

후쿠오카 1구후쿠오카 2구후쿠오카 3구후쿠오카 4구후쿠오카 5구
이노우에 다카히로오니키 마코토고가 아쓰시미야우치 히데키쓰쓰미 가나메
후쿠오카 6구후쿠오카 7구후쿠오카 8구후쿠오카 9구후쿠오카 10구
하토야마 지로후지마루 사토시아소 다로오가타 린타로기이 다카시
후쿠오카 11구사가 1구사가 2구나가사키 1구나가사키 2구
다케다 료타하라구치 가즈히로오구시 히로시니시오카 히데코가토 간지
나가사키 3구나가사키 4구구마모토 1구구마모토 2구구마모토 3구
다니가와 야이치가네코 요조기하라 미노루사카모토 데쓰시
구마모토 4구오이타 1구오이타 2구오이타 3구미야자키 1구
가네코 야스시기라 슈지에토 세이시로이와야 다케시와타나베 소
미야자키 2구미야자키 3구가고시마 1구가고시마 2구가고시마 3구
에토 다쿠후루카와 요시히사미야지 다쿠마미타조노 사토시노마 다케시
가고시마 4구오키나와 1구오키나와 2구오키나와 3구오키나와 4구
모리야마 히로시아카미네 세이켄아라가키 구니오시마지리 아이코니시메 고사부로
비례 1비례 2비례 3비례 4비례 5
이마무라 마사히로야라 도모히로야스오카 타케히로하마치 마사카즈이와타 가즈치카
비례 6비례 7비례 8비례 9비례 10
요시카와 하지메다케이 슌스케아베 히로키요시다 노부히로후루카와 야스시
비례 11비례 12비례 13비례 14비례 15
야마다 가쓰히코고쿠바 고노스케다무라 다카아키긴조 야스쿠니미야자키 마사히사
비례 16비례 17비례 18비례 19비례 20
이나토미 슈지오자토 야스히로신지 나가토모야마모토 고세이요시다 구미코
일본 공산당의 당색은 #db001c이나, 자민당과의 구별을 위해 #9f001c로 표기함

{{{-1 {{{#fff 홋카이도 · 도호쿠 · 기타칸토 · 미나미칸토 · 도쿄 · 호쿠리쿠신에쓰 · 도카이 · 긴키 · 주고쿠 · 시코쿠 · 규슈-오키나와
}}}}}}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선거구
파일:일본국 내각총리대신 심볼.svg
나가사키현 제3구
長崎県第3区
||




1. 개요[편집]


나가사키현 사세보시 일부(하이키지소, 미카와치지소, 미야지소 관할구역), 오무라시, 고토시, 이키시, 쓰시마, 히가시소노기군, 미나미마츠우라군, 키타마츠우라군 오지카초를 관할하는 일본의 중의원 선거구다.

현재 지역구 국회의원은 자유민주당의 다니가와 야이치다.


2. 상세[편집]


지역 특성상 나가사키현에서 선거구 영역이 가장 넓으며, 대마도가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부산시 중구·영도구, 사하구 을 국회의원 선거구와는 대한해협을 통해 인접해 있다. 이 지역구 역시 야마구치현 제4구와 같이 한국과 가깝다.

쓰시마 섬 외에도 나가사키 공항, 하이키역, 하우스텐보스역[1], 고토 열도 등이 이 선거구 관할 지역이다. 나가사키현 제4구와 달리 해상자위대주일미군 기지는 없다. 대신 일본 법무성 사세보 형무소, 나가사키 국제대학이 이 선거구 관할 지역 내에 있다.

원래는 자민당과 민주당이 경합을 벌이는 가운데, 자민당이 경합 우세를 보이는 상황이었으나, 현재는 자민당이 확실하게 강세를 보이는 곳이다.

여담으로 지도를 보면 알 수 있다시피, 선거구의 관할 구역 중 내륙 지역이 바다와 가깝게 인접해 있지 않아서, 선거구가 관할 구역 간의 거리가 지리적으로도 먼 월경지로 구성되었다.


3. 역대 국회의원[편집]


선거연도의원명소속정당
제41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1996년도라시마 가즈오

제42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2000년
제43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2003년다니가와 야이치
제44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2005년
제45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2009년야마다 마사히코

제46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2012년다니가와 야이치

제47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2014년
제48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2017년
제49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2021년


4. 역대 선거 결과[편집]



4.1. 제48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나가사키현 제3구
사세보시(남동부), 오무라시, 고토시, 이키시,
쓰시마, 히가시소노기군, 미나미마츠우라군,
키타마츠우라군 오지카초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다니가와 야이치83,992표1위


59.72%당선
파일:희망의당(2017년) 로고 하얀색.svg스에쓰구 세이치35,554표2위


25.28%낙선
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이시마루 간지12,638표3위


8.99%낙선
파일:일본유신회 로고만.svg구라이시 류조8,469표4위


6.02%낙선
유효표 수140,653표투표율
59.96%
선거인 수242,428인

4.2. 제49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나가사키현 제3구
사세보시(남동부), 오무라시, 고토시, 이키시, 쓰시마, 히가시소노기군, 미나미마츠우라군, 키타마츠우라군 오지카초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다니가와 야이치57,223표1위


40.66%당선
파일:입헌민주당(2020년) 로고 하얀색 CDP 포함.svg야마다 가쓰히코55,189표2위


39.22%비례당선
야마다 히로시25,566표3위

무소속

18.17%낙선
改新이시모토 히로유키2,750표4위
개신당

1.95%낙선
총 선거인수236,525인투표율
60.93%
유효표140,729표

49회 중원선 나가사키현 제3구 개표 결과
정당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파일:입헌민주당(2020년) 로고 하얀색 CDP 포함.svg격차투표율
후보다니가와 야이치야마다 가쓰히코야마다 히로시(1위/2위)(선거인/표수)
득표수
(득표율)
57,223
(40.66%)
55,189
(39.22%)
25,566
(18.17%)
2034
(1.45%)
140,729
(60.93%)
사세보시 3구37.24%45.68% 14.71%▼8.4449.54
오무라시34.17%49.11% 14.22%▼14.9457.52
쓰시마시46.87%32.15%20.07%△14.7267.53
이키시53.80%32.42%12.13%△21.3864.60
고토시41.45%37.43%20.17%△4.0268.28
히가시소노기초33.11%50.10% 13.07%▼16.9964.35
카와타나초31.88%49.18% 14.52%▼17.3057.81
하사미초35.40%46.56% 15.30%▼11.1661.11
오지카초65.64%25.91%8.07%△39.7479.18
신카미고토초52.07%33.13%14.17%△18.9469.25

4.3. 제50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2022년에 공직선거법 개정안(일명 10증10감법)이 통과되면서 4구가 폐지되어 기존 3구에 있던 오무라시쓰시마시, 이키시가 2구로 넘어가고 3구의 나머지 부분과 기존 4구를 합친 모양새로 획정되었다.

자유민주당에서는 다니가와 야이치 의원이 비례대표로 단독 출마하고 4구 보궐선거에 출마해 당선된 가네코 요조 의원이 그대로 신 3구 지부장에도 선임되었다. 용퇴 차원이기도 하지만 저번 선거에서 초접전 승부가 난 와중에 다니가와 의원은 80세를 넘어 당헌에 따라 석패율 당선도 불가능해 낙선 위험성이 크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입헌민주당에서도 기존 4구에서 석패율 당선된 스에쓰구 세이이치 전 의원[2]이 공천받았다. 기존 3구 석패율 비례대표인 야마다 가쓰히코 의원의 경우 고향인 오무라시를 따라 신 2구에 출마하기로 했다.

결론적으로 자민당, 입헌민주당 모두 4구 보궐선거 후보군들을 그대로 신 3구에 공천했다.
[1] 하우스 텐 보스 자체는 옆 지역구인 4구에 속한다.[2] 앞서 말한 4구 보궐선거에 출마하기 위해 의원직을 사퇴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17 14:13:43에 나무위키 나가사키현 제3구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