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김종배(1954)

덤프버전 : (♥ 0)

대한민국 제15대 국회의원
김종배
金宗倍 | Kim Jong-bae
파일:NISI20180514_0014078433_web_20180514094542_20180514094703071.jpg
출생1954년 11월 23일 (69세)
전라남도 강진군
본관김해 김씨
학력조선대학교 (무역학 / 학사)
소속 정당
무소속

의원 선수1
의원 대수15
현직민생실천시민연대 고문
약력새정치국민회의 제15대 전국구 국회의원
새정치국민회의 김대중 총재 특별보좌관
새정치국민회의 부총무
새천년민주당 원내부총무
민주평화당 최고위원
민주평화당 광주시당위원장

1. 개요
2. 생애
3. 선거이력
4. 둘러보기



1. 개요[편집]


대한민국정치인.


2. 생애[편집]


1954년 전라남도 강진군에서 태어났다. 조선대학교부속고등학교, 조선대학교 무역학과를 졸업하였다. 5.18 민주화운동 때 박남선과 더불어 시민군 강경파의 지도자 역할을 했으며 계엄군의 광주 재진입 및 전라남도청 탈환작전 이전에 전남북도계엄분소장 소준열 장군 및 정시채 전라남도 부지사 등 계엄사령부와 협상을 통해 해결하고자 했던 5.18 수습대책위원회의 회의장에 예비군 무기고에서 탈취한 권총을 소지하고 시민군 강경파의 주도권을 확립하였다. 진압 뒤 무자비한 고문을 당하여 얼굴에 상처가 나고 치아 2개가 부러졌다.

1988년 제13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통일민주당 후보로 서울특별시 구로구 을 선거구에 출마하였으나 신민주공화당 유기수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1990년 3당 합당으로 민주자유당이 출범할 때 따라가지 않고 민주당에 잔류하였다.

1996년 제15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새정치국민회의 전국구 국회의원에 당선되었다. 같은 해 새정치국민회의 김대중 총재의 특별보좌관에 임명되었다. 1997년 농지 용도변경 청탁 등의 혐의로 기소되었고 1999년 집행유예를 선고받았다.[1] 1998년부터 2000년 초까지 새정치국민회의, 새천년민주당 원내부총무를 역임하였다.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광주광역시장 민주평화당 후보로 공천을 받았으나, 후보등록 전 불출마를 선언했다.

2021년 7월경 제20대 대통령 선거에 출마를 선언한 윤석열 전 검찰총장에 대한 지지를 선언했다. # 이후 윤석열 총장이 국민의힘에 입당하자 실망스럽다며 지지를 철회했다. #


3. 선거이력[편집]


당 내부 선거가 아닌 대한민국 선출직 공직자 선거 결과만 기록한다.
연도선거 종류소속 정당득표수 (득표율)당선 여부비고
1988제13대 국회의원 선거 (서울 구로 을)
ta-hash-start=w-e6ff107459d435e38b54ad4c06202c33[[파일:통일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18,138(12.04%)낙선 (4위)
1996제15대 국회의원 선거 (전국구)
ta-hash-start=w-f03f48732b859ddd3d3fdd90c2d2d8bb[[파일:새정치국민회의 흰색 로고타입.svg
4,971,961(25.3%)당선 (13번)초선


4. 둘러보기[편집]


파일:새정치국민회의 흰색 가로 로고.svg 제15대 국회 전국구
[ 펼치기 · 접기 ]

정희경박상규이성재길승흠박정수김한길[B]
이동원신낙균권노갑[B]천용택[B]한영애방용석
김종배김대중[D]송현섭[C]이훈평[C]김태랑[C]
[B] A B C 임기 도중 사퇴.[D] 승계 전 사퇴.[C] A B C 의원직 승계.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23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23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16 21:44:45에 나무위키 김종배(1954)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판결은 2000년 11월이 되어서야 대법원에서 상고기각으로 확정되어, 국회의원직을 유지한 채 임기를 마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