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조순(양궁)

덤프버전 : (♥ 0)

김조순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
[ 펼치기 · 접기 ]

8회1978 방콕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김진호9회1982 뉴델리파일:북한 국기.svg 오광순
10회1986 서울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박정아11회1990 베이징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이장미
12회1994 히로시마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이은경13회1998 방콕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김조순
14회2002 부산파일:중화 타이베이 올림픽기.svg 위안수치15회2006 도하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박성현
16회2010 광저우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윤옥희17회2014 인천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정다소미
18회2018 자카르타-팔렘방파일:중국 국기.svg 장신옌19회2022 항저우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임시현




파일:대한양궁협회 로고.svg 리커브 여자 국가대표팀
[ 펼치기 · 접기 ]

1977이영숙 · 황숙주
1978김진호 · 오영숙 · 황숙주
1979김진호 · 박영숙 · 안재순 · 황숙주
1980김진호 · 박영숙 · 안재순 · 황숙주
1981김미영 · 김진호 · 박영숙 · 백종미 · 양경순 · 전문규 · 황숙주
1982김진호 · 박영숙 · 양경순 · 황숙주
1983 1기김미영 · 김옥경 · 김진호 · 박영숙 · 서향순 · 신정순
1983 2기김미영 · 김진호 · 박영숙 · 서현주 · 정재봉 · 황숙주
1983 3기김미영 · 김진호 · 박영숙 · 이순미 · 정재봉 · 황숙주
1984 1기김진호 · 김미영 · 이순미 · 정재봉
1984 2기김진호 · 박영숙 · 서향순
1985 1기김미영 · 박민화 · 박정아 · 서은정 · 서향순 · 이숙향 · 이혜영 · 임명란 · 정재봉 · 조은신 · 허복자 · 황은희
1985 2기김미경 · 김미영 · 김진호 · 김차남 · 박정아 · 서향순 · 양경순 · 오영숙 · 이숙향 · 이유미 · 이혜영 · 정재봉
1985 3기김진호 · 박정아 · 서향순 · 양경순 · 이숙향 · 조윤정
1985 4기김진호 · 박정아 · 서향순 · 양경순
1986 1기김미자 · 김진호 · 박정아 · 박종숙 · 서향순 · 송영미 · 이선희 · 임명란 · 전애자 · 정민자 · 정재봉 · 지인숙
1986 2기김미자 · 김진호 · 박정아 · 박종숙 · 이선희 · 임명란
1987 1기김미자 · 김진호 · 박정아 · 박종숙 · 왕희경 · 이선희 · 임명란 · 정재봉
1987/88김경욱 · 김수녕 · 박미경 · 박정아 · 박종숙 · 왕희경 · 이선희 · 이애리 · 이유미 · 이혜영 · 임명란 · 황은희
1988 2기김경욱 · 김수녕 · 박정아 · 왕희경 · 윤영숙 · 이선희
1988 3기김수녕 · 왕희경 · 윤영숙 · 임은숙
1989김경욱 · 김수녕 · 박미경 · 박종숙 · 왕희경 · 이선희 · 이은경 · 정창숙
1990 1기김경욱 · 김미희 · 김수녕 · 왕희경 · 임정아 · 정창숙 · 조윤정 · 한희정
1990 2기김경욱 · 김수녕 · 문영희 · 박정아 · 이문영 · 이은경 · 이장미 · 한희정
1991김수녕 · 김승실 · 문영희 · 이선희 · 이은경 · 조윤정 · 이장미 · 한희정
1992김수녕 · 김승실 · 이은경 · 이선희 · 이장미 · 임정아 · 정창숙 · 조윤정
1993김경욱 · 김효정 · 염연자 · 이명옥 · 이은경 · 이희정 · 임정아 · 조윤정
1994강경옥 · 강현지 · 김경욱 · 양승숙 · 염연자 · 이은경 · 임정아 · 한희정
1995김경욱 · 김정례 · 김조순 · 염연자 · 이은경 · 임정아 · 조미숙 · 황진해 · 박혜정[자격포기]
1996강현지 · 김경욱 · 김남순 · 김은진 · 김조순 · 박명화 · 손민정 · 윤혜영 · 이은경 · 이희정 · 조미숙 · 최은주
1997강현지 · 김두리 · 김조순 · 윤혜영 · 정창숙 · 조윤정 · 최은주 · 황진해
1998강현지 · 김남순 · 김조순 · 이미정 · 이은경 · 임정아 · 정창숙 · 조미숙
1999강현지 · 김두리 · 김조순 · 윤혜영 · 이은경 · 이희정 · 정창숙 · 하나영
2000강현지 · 김남순 · 김수녕 · 박회윤 · 윤미진 · 정창숙 · 최남옥 · 최은정
2001강현지 · 김경욱 · 김문정 · 박성현 · 우송이 · 최남옥 · 최은정 · 최진
2002김문정 · 박성현 · 박회윤 · 안세진 · 윤미진 · 임귀숙 · 최은영 · 최진
2003박미경 · 박선준 · 박성현 · 안세진 · 윤미진 · 이성진 · 이현정 · 최진
2004김문정 · 박성현 · 안세진 · 윤미진 · 이성진 · 정승화 · 정창숙 · 조은지
2005김유미 · 박성현 · 박회윤 · 윤미진 · 윤옥희 · 이성진 · 이특영 · 이현정
2006김유미 · 박성현 · 안세진 · 윤미진 · 윤옥희 · 이성진 · 이특영 · 최은영
2007김문정 · 김희정 · 박성현 · 안세진 · 윤옥희 · 이성진 · 이특영 · 최은영
2008곽예지 · 김원정 · 박성현 · 윤옥희 · 이특영 · 이현주 · 주현정 · 최은영
2009곽예지 · 김문정 · 김유미 · 박성현 · 윤옥희 · 이수지 · 주현정 · 한경희
2010곽예지 · 기보배 · 김문정 · 박소희 · 오다미 · 윤옥희 · 장혜진 · 주현정
2011기보배 · 김문정 · 윤옥희 · 장혜진 · 정다소미 · 주현정 · 최현주 · 한경희
2012기보배 · 김민정 · 김유미 · 심예지 · 윤옥희 · 이성진 · 장혜진 · 전나영 · 정다소미 · 정지민 · 최현주 · 한경희
2013기보배 · 윤옥희 · 이특영 · 장혜진 · 전성은 · 정다소미 · 주현정 · 최미선
2014이특영 · 장혜진 · 전성은 · 전훈영 · 정다소미 · 주현정 · 최미선 · 홍수남
2015강채영 · 기보배 · 박미경 · 이특영 · 장혜진 · 전성은 · 최미선 · 홍수남
2016강채영 · 기보배 · 박미경 · 이은경 · 이특영 · 장혜진 · 전성은 · 최미선
2017강채영 · 기보배 · 박미경 · 이은경 · 장혜진 · 최미선 · 최민선 · 홍수남
2018강채영 · 박미경 · 안산 · 이은경 · 장혜진 · 정다소미 · 최미선 · 최민선
2019강채영 · 안산 · 장혜진 · 전인아 · 정다소미 · 조아름 · 최미선 · 최민선
2020강채영 · 곽진영 · 안산 · 윤옥희 · 장민희 · 전훈영 · 정다소미 · 최미선
2021강채영 · 안산 · 오예진 · 유수정 · 임해진 · 장민희 · 정다소미 · 최민선
2022강채영 · 김수린 · 안산 · 이가현 · 이은아 · 임시현 · 정다소미 · 최미선
2023강채영 · 기보배 · 김소희 · 안산 · 임시현 · 전훈영 · 정다소미 · 최미선
[자격포기] 소속 학교 사정으로 입촌 포기




김조순
金祖淳|Kim Jo-sun
파일:양궁 김조순.jpg
출생1975년 6월 13일 (49세)
충청남도 홍성군
국적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학력홍성여자고등학교 (졸업)
신체161cm, 57kg
직업양궁 선수 (리커브 보우 / 은퇴)
소속홍성군청 (1998~2000)
가족배우자 김택수

1. 개요
2. 선수 경력
3. 은퇴 이후
4. 수상 기록



1. 개요[편집]


대한민국의 前 양궁 선수.


2. 선수 경력[편집]


청각 장애인 부모 밑에서 4남매의 둘째로 태어났다. 집안 형편이 어려운 관계로 홍성여자고등학교를 졸업하자마자 바로 실업팀에 입단해서 선수 생활을 시작했다. 그래도 선수로서는 상당히 일찍부터 두각을 나타낸 편인데, 1995 세계선수권 대표를 시작으로 국가대표가 되면서 1995 세계선수권 단체전 금메달을 목에 걸면서 본격적으로 이름을 알리기 시작했다.

치열한 대표 선발전을 뚫고 1996 애틀랜타 올림픽 여자 양궁 대표가 된 후 개인전에서는 8강에서 탈락했지만 단체전에서 금메달을 목에 걸면서 양궁 금메달리스트가 되었다. 이 과정에서 그의 사연이 알려지면서 많은 관심을 받았다. 그리고 이때부터 본격적으로 한국 양궁 대표팀의 붙박이로 활약했는데 1997년 세계 선수권에서 개인전 동메달과 단체전 금메달을 목에 걸었고 1998 방콕 아시안 게임에서도 대표 선발전을 뚫으면서 개인전과 단체전에서 모두 금메달을 거는 등 전성기를 이어갔다.

2000 시드니 올림픽에서도 유력한 국가대표 후보였는데 어이없게도 탈락하고 만다. 원인은 기자엠바고 파기 때문이였다. 당시 탁구 대표 선수였던 김택수와 한창 연애 중이었고 올림픽 선발전이 끝난 후에 이 사실을 공개하기로 했는데 그만 일부 언론에서 이 엠바고를 깨버린 것이었다. 결국 이 과정에서 시달린 김조순은 선발전에서 평정심이 흔들리면서 대표 선발전에서 탈락하고 말았다.


3. 은퇴 이후[편집]


2000년 12월에 결혼하면서 국가대표 커플이 됐다. 두 사람이 웃으면서 매달 연금으로 200만 원이 나온다. 결혼 이후에는 선수 생활에서 은퇴하고 주부로 살고 있다.


4. 수상 기록[편집]


올림픽
금메달1996 애틀랜타단체전
세계 선수권
금메달1995 자카르타단체전
금메달1997 빅토리아단체전
동메달1997 빅토리아개인전
동메달1999 리옴개인전
아시안 게임
금메달1998 방콕단체전
금메달1998 방콕개인전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16 21:30:56에 나무위키 김조순(양궁)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