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영길(1962)

덤프버전 : (♥ 0)

파일:중구(울산광역시) CI_White.svg
울산광역시 중구청장
[ 펼치기 · 접기 ]

초대
이수열
제2대
김인복
제3대
이상준
제4대
윤병열
제5대
황영준
제6대
허선호
제7-8대
전나명
제9-11대
조용수
제12-13대
박성민
제14대
박태완
제15대
김영길
파일:중구(울산광역시) 브랜드슬로건.svg




제15대 울산광역시 중구청장
김영길
金永吉 | Kim Yeong-gil
파일:김영길 울산중구청장.jpg
출생1962년 3월 18일 (62세)
경상남도 울산군
(현 울산광역시 중구)
학력울산 양사초등학교 (졸업)
울산 학성중학교 (졸업)
울산공업고등학교 (건축과 / 졸업[1])
경북공업전문대학 (건축과 / 전문학사)
울산대학교 (지역개발학 / 학사)
소속 정당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재임기간제15대 울산광역시 중구청장
2022년 7월 1일 ~ 현재
병역육군 제35보병사단 병장 만기전역
(1983년 3월 29일 ~ 1985년 10월 3일)
약력중구생활체육협의회장
제3-6대 중구의회 의원
제5대 중구의회 후반기 의장
제6대 중구의회 전반기 의장
제15대 울산광역시 중구청장 (민선 8기)
외부 링크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1. 개요
2. 생애
3. 선거 이력
4. 둘러보기



1. 개요[편집]


대한민국정치인. 현직 울산광역시 중구청장으로, 당적은 국민의힘이다.

울주군수인 이순걸 다음에 가장 나이가 많다.


2. 생애[편집]


1962년 3월 18일, 경상남도 울산군[2](現 울산광역시 중구)에서 태어났다. 울산 양사초등학교, 울산 학성중학교, 울산공업고등학교(39회) 건축과, 경북공업전문대학(현 경일대학교) 건축과, 울산대학교 지역개발학과를 졸업했다.

경북공업전문대학 졸업 후 1983년 3월 29일 육군에 입대하여 제35보병사단에서 공병(야전건설공병 특기)으로 복무했고, 1985년 10월 3일 병장으로 만기전역하여 병역을 마쳤다. 이후 경주한일유통, 현대자동차에서 근무했고, 금강자동차유리, 대흥정비공업사라는 정비소를 운영했다.

2002년 제3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무소속 후보로 울산광역시 중구의회 태화동 선거구에 출마해 무소속 전명룡 후보와 김규정 후보를 모두 꺾고 당선되면서 정계에 입문했다. 2006년 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열린우리당 후보로 울산광역시 중구의회 다 선거구[3]에 출마해 3위로 당선되었다.

2010년 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한나라당 후보로 울산광역시 중구의회 다 선거구에 출마하여 2위로 당선되었다. 임기 동안 2012년 7월부터 2014년 6월까지 제5대 후반기 울산광역시 중구의회 의장을 지냈다. 2014년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도 새누리당 후보로 울산광역시 중구의회 다 선거구에 출마하여 2위로 당선되었다. 임기 동안 2014년 7월부터 2016년 6월까지 제6대 전반기 울산 중구의회 의장을 지냈다.

2018년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는 체급을 높여 자유한국당 후보로 울산광역시의회 의원 중구 제3선거구에 출마했지만 더불어민주당 이상옥 후보에 밀려 낙선했다. 2022년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국민의힘으로부터 울산광역시 중구청장 후보로 공천받아 현직 구청장인 더불어민주당 박태완 후보를 누르고 당선되었다.

국민의힘 중구청장 후보 경선 시, 허위주소로 책임당원을 80여명 가입시켰다는 혐의로 검찰이 징역 8개월을 구형했으나 1심 무죄판결을 받았으며 이에 검찰은 항소한 상태이다.

3. 선거 이력[편집]


연도선거 종류선거구소속 정당득표수 (득표율)당선 여부비고
2002제3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울산 중구의회 의원)
울산 중 태화동
무소속

4,961 (51.95%)당선 (1위)초선
2006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울산 중구의회 의원)
울산 중 다
ta-hash-start=w-e74b32ba071772d5b55f97159db2e998[[파일:열린우리당 로고타입.svg
4,765 (15.85%)당선 (3위)재선
2010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울산 중구의회 의원)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svg

7,615 (23.23%)당선 (2위)3선
2014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울산 중구의회 의원)

ta-hash-start=w-1668781441ebe20f655f662e4a50121a[[파일:새누리당 흰색 로고타입.svg
8,121 (21.82%)4선
2018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울산광역시의회 의원)
울산 중 3
ta-hash-start=w-8bcf57caa3ccb4c6c1a633674f4aaa84[[파일:자유한국당 흰색 로고타입.svg
20,749 (46.79%)낙선 (2위)
2022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울산 중구청장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56,843 (59.41%)당선 (1위)초선



4. 둘러보기[편집]


파일:울산광역시 휘장_White.svg
[ 펼치기 · 접기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91919><width=20%><rowbgcolor=#E61E2B> ||<bgcolor=#D6001C><width=20%> ||<bgcolor=#E61E2B><width=20%> ||<bgcolor=#E61E2B><width=20%> ||<bgcolor=#E61E2B><width=20%> 울주 ||
|| 서동욱 || 김종훈 || 박천동 || 김영길 || 이순걸 ||
||<-5> 민선 2기 / 민선 3기 / 민선 4기 / 민선 5기 / 민선 6기 / 민선 7기 ||



파일:국민의힘 흰색 아이콘.svg

||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4-06-12 12:52:36에 나무위키 김영길(1962)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39회[2] 같은 해 6월 1일에 울산군이 울산시로 승격하면서 울산시와 울주군으로 통합되었다.[3] 다운동, 태화동, 우정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