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경욱(양궁)

덤프버전 : (♥ 0)

김경욱의 수상 이력
[ 펼치기 · 접기 ]
||
[ 펼치기 · 접기 ]

20회1972 뮌헨파일:미국 국기.svg 도린 윌버21회1976 몬트리올파일:미국 국기.svg 루앤 라이언
22회1980 모스크바파일:소련 국기.svg 케테반 로사베리제23회1984 로스앤젤레스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서향순
24회1988 서울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김수녕25회1992 바르셀로나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조윤정
26회1996 애틀란타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김경욱27회2000 시드니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윤미진
28회2004 아테네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박성현29회2008 베이징파일:중국 국기.svg 장쥐안쥐안
30회2012 런던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기보배31회2016 리우데자네이루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장혜진
32회2020 도쿄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안산33회2024 파리




||
[ 펼치기 · 접기 ]

30회1979 베를린파일:미국 국기.svg 주디 애덤스31회1981 푼타알라파일:폴란드 국기.svg 앨러시저 시스카우스커
32회1983 로스엔젤레스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정재봉33회1985 서울파일:소련 국기.svg 려드마일러 아아셔니코우버
34회1987 애들레이드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왕희경35회1989 로잔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김경욱
36회1991 크라쿠프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이은경37회1993 안탈리아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조윤정
38회1995 자카르타파일:독일 국기.svg 바아버러 머닝39회1997 빅토리아파일:독일 국기.svg 코어닐려 포울
40회1999 리옴파일:영국 국기.svg 앨리슨 윌리엄슨41회2001 베이징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김경욱
42회2003 뉴욕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박성현43회2005 마드리드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이특영
44회2007 라이프치히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박성현45회2009 울산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곽예지
46회2011 토리노파일:조지아 국기.svg 크리스틴 에세부아47회2013 벨렉파일:중국 국기.svg 쉬징
48회2015 코펜하겐파일:중화 타이베이 올림픽기.svg 린 신 치아49회2017 멕시코시티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장혜진
50회2019 스헤르토겐보스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강채영51회2021 양크턴파일:미국 국기.svg 케이시 코폴드




||
[ 펼치기 · 접기 ]

1회1980 콜카타2회1981 싱가포르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박영숙
3회1983 홍콩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김진호4회1985 자카르타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서향순
5회1988 홍콩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김수녕6회1989 베이징
7회1991 마닐라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이장미8회1993 자카르타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김경욱
9회1996 촌부리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김정례10회1997 랑카위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윤혜영
11회1999 베이징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강현지12회2001 홍콩파일:중국 국기.svg 장쥐안쥐안
13회2003 양곤파일:중국 국기.svg 린상14회2005 뉴델리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박성현
15회2007 시안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이성진16회2009 덴파사르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주현정
17회2011 테헤란파일:중화 타이베이 올림픽기.svg 양니엔슈18회2013 타이페이파일:중화 타이베이 올림픽기.svg 레이첸잉
19회2015 방콕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장혜진20회2017 다카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이은경
21회2019 방콕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강채영22회2021 다카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임해진
23회2023 방콕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최미선24회




||




파일:대한양궁협회 로고.svg 리커브 여자 국가대표팀
[ 펼치기 · 접기 ]

1977이영숙 · 황숙주
1978김진호 · 오영숙 · 황숙주
1979김진호 · 박영숙 · 안재순 · 황숙주
1980김진호 · 박영숙 · 안재순 · 황숙주
1981김미영 · 김진호 · 박영숙 · 백종미 · 양경순 · 전문규 · 황숙주
1982김진호 · 박영숙 · 양경순 · 황숙주
1983 1기김미영 · 김옥경 · 김진호 · 박영숙 · 서향순 · 신정순
1983 2기김미영 · 김진호 · 박영숙 · 서현주 · 정재봉 · 황숙주
1983 3기김미영 · 김진호 · 박영숙 · 이순미 · 정재봉 · 황숙주
1984 1기김진호 · 김미영 · 이순미 · 정재봉
1984 2기김진호 · 박영숙 · 서향순
1985 1기김미영 · 박민화 · 박정아 · 서은정 · 서향순 · 이숙향 · 이혜영 · 임명란 · 정재봉 · 조은신 · 허복자 · 황은희
1985 2기김미경 · 김미영 · 김진호 · 김차남 · 박정아 · 서향순 · 양경순 · 오영숙 · 이숙향 · 이유미 · 이혜영 · 정재봉
1985 3기김진호 · 박정아 · 서향순 · 양경순 · 이숙향 · 조윤정
1985 4기김진호 · 박정아 · 서향순 · 양경순
1986 1기김미자 · 김진호 · 박정아 · 박종숙 · 서향순 · 송영미 · 이선희 · 임명란 · 전애자 · 정민자 · 정재봉 · 지인숙
1986 2기김미자 · 김진호 · 박정아 · 박종숙 · 이선희 · 임명란
1987 1기김미자 · 김진호 · 박정아 · 박종숙 · 왕희경 · 이선희 · 임명란 · 정재봉
1987/88김경욱 · 김수녕 · 박미경 · 박정아 · 박종숙 · 왕희경 · 이선희 · 이애리 · 이유미 · 이혜영 · 임명란 · 황은희
1988 2기김경욱 · 김수녕 · 박정아 · 왕희경 · 윤영숙 · 이선희
1988 3기김수녕 · 왕희경 · 윤영숙 · 임은숙
1989김경욱 · 김수녕 · 박미경 · 박종숙 · 왕희경 · 이선희 · 이은경 · 정창숙
1990 1기김경욱 · 김미희 · 김수녕 · 왕희경 · 임정아 · 정창숙 · 조윤정 · 한희정
1990 2기김경욱 · 김수녕 · 문영희 · 박정아 · 이문영 · 이은경 · 이장미 · 한희정
1991김수녕 · 김승실 · 문영희 · 이선희 · 이은경 · 조윤정 · 이장미 · 한희정
1992김수녕 · 김승실 · 이은경 · 이선희 · 이장미 · 임정아 · 정창숙 · 조윤정
1993김경욱 · 김효정 · 염연자 · 이명옥 · 이은경 · 이희정 · 임정아 · 조윤정
1994강경옥 · 강현지 · 김경욱 · 양승숙 · 염연자 · 이은경 · 임정아 · 한희정
1995김경욱 · 김정례 · 김조순 · 염연자 · 이은경 · 임정아 · 조미숙 · 황진해 · 박혜정[자격포기]
1996강현지 · 김경욱 · 김남순 · 김은진 · 김조순 · 박명화 · 손민정 · 윤혜영 · 이은경 · 이희정 · 조미숙 · 최은주
1997강현지 · 김두리 · 김조순 · 윤혜영 · 정창숙 · 조윤정 · 최은주 · 황진해
1998강현지 · 김남순 · 김조순 · 이미정 · 이은경 · 임정아 · 정창숙 · 조미숙
1999강현지 · 김두리 · 김조순 · 윤혜영 · 이은경 · 이희정 · 정창숙 · 하나영
2000강현지 · 김남순 · 김수녕 · 박회윤 · 윤미진 · 정창숙 · 최남옥 · 최은정
2001강현지 · 김경욱 · 김문정 · 박성현 · 우송이 · 최남옥 · 최은정 · 최진
2002김문정 · 박성현 · 박회윤 · 안세진 · 윤미진 · 임귀숙 · 최은영 · 최진
2003박미경 · 박선준 · 박성현 · 안세진 · 윤미진 · 이성진 · 이현정 · 최진
2004김문정 · 박성현 · 안세진 · 윤미진 · 이성진 · 정승화 · 정창숙 · 조은지
2005김유미 · 박성현 · 박회윤 · 윤미진 · 윤옥희 · 이성진 · 이특영 · 이현정
2006김유미 · 박성현 · 안세진 · 윤미진 · 윤옥희 · 이성진 · 이특영 · 최은영
2007김문정 · 김희정 · 박성현 · 안세진 · 윤옥희 · 이성진 · 이특영 · 최은영
2008곽예지 · 김원정 · 박성현 · 윤옥희 · 이특영 · 이현주 · 주현정 · 최은영
2009곽예지 · 김문정 · 김유미 · 박성현 · 윤옥희 · 이수지 · 주현정 · 한경희
2010곽예지 · 기보배 · 김문정 · 박소희 · 오다미 · 윤옥희 · 장혜진 · 주현정
2011기보배 · 김문정 · 윤옥희 · 장혜진 · 정다소미 · 주현정 · 최현주 · 한경희
2012기보배 · 김민정 · 김유미 · 심예지 · 윤옥희 · 이성진 · 장혜진 · 전나영 · 정다소미 · 정지민 · 최현주 · 한경희
2013기보배 · 윤옥희 · 이특영 · 장혜진 · 전성은 · 정다소미 · 주현정 · 최미선
2014이특영 · 장혜진 · 전성은 · 전훈영 · 정다소미 · 주현정 · 최미선 · 홍수남
2015강채영 · 기보배 · 박미경 · 이특영 · 장혜진 · 전성은 · 최미선 · 홍수남
2016강채영 · 기보배 · 박미경 · 이은경 · 이특영 · 장혜진 · 전성은 · 최미선
2017강채영 · 기보배 · 박미경 · 이은경 · 장혜진 · 최미선 · 최민선 · 홍수남
2018강채영 · 박미경 · 안산 · 이은경 · 장혜진 · 정다소미 · 최미선 · 최민선
2019강채영 · 안산 · 장혜진 · 전인아 · 정다소미 · 조아름 · 최미선 · 최민선
2020강채영 · 곽진영 · 안산 · 윤옥희 · 장민희 · 전훈영 · 정다소미 · 최미선
2021강채영 · 안산 · 오예진 · 유수정 · 임해진 · 장민희 · 정다소미 · 최민선
2022강채영 · 김수린 · 안산 · 이가현 · 이은아 · 임시현 · 정다소미 · 최미선
2023강채영 · 기보배 · 김소희 · 안산 · 임시현 · 전훈영 · 정다소미 · 최미선
[자격포기] 소속 학교 사정으로 입촌 포기




김경욱
金京郁 | Kim Kyungwook
파일:하계올림픽김경욱4.png
출생1970년 4월 18일 (54세)
경기도 여주시
국적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학력여흥초등학교 (졸업)
여주여자종합고등학교 (졸업)
디지털서울문화예술대학교 (학사)
종목양궁
소속선수현대모비스(1989~1997,2000~2005)
수원시청 (2006~2007)
해설SBS (2004~2014)
신체164cm, 58kg
1. 개요
2. 선수 경력
2.1. 1996년 애틀랜타 올림픽
3. 이후
4. 수상 기록



1. 개요[편집]


대한민국의 前 양궁 선수로, 1996 애틀랜타 올림픽 2관왕이다.


2. 선수 경력[편집]


초등학교 4학년 때 양궁에 입문해서 고등학교 2학년이던 1987년에 처음 대표로 발탁되었다. 1989 세계선수권 단체전 금메달 및 개인전 은메달, 아시아선수권이나 각종 오픈 대회에서 괜찮은 성적을 냈는데, 이상하게 올림픽과는 인연이 없던 선수였다. 한 살 아래인 김수녕1988 서울 올림픽1992 바르셀로나 올림픽에서 모두 국가대표가 된 것과 달리 올림픽과 전혀 인연을 맺지 못했다.

그 이유는 1988 서울 올림픽 국가대표 선발전에서 치명적인 실수를 저질렀기 때문이었다. 대표 선발전에서 순항하던 그녀는 마지막 3발을 모두 10점에 명중하고 대표로 확정짓는가 싶었는데, 여기서 치명적인 실수를 범했다. 양궁 규정상 과녁에 꽂힌 화살은 검사관이 검사하기 전까지는 절대 뽑으면 안 되는데, 그만 검사 전에 화살을 뽑아버린 것이다. 결국 이 세 발이 무효로 처리되는 바람에, 국가대표 선발전에서 4위로 미역국을 먹었다. 훗날 김경욱 자신은 이 사건을 두고, 긴장하지 말자고 연습처럼 생각하고 활을 쏴서 성적이 좋았는데, 그만 연습처럼 무심코 화살을 뽑아서 일이 그렇게 되었다고 술회했다.


2.1. 1996년 애틀랜타 올림픽[편집]


그 뒤로는 부상으로 인해 슬럼프에 빠졌다. 바르셀로나 올림픽 국가대표 선발전에서는 조기에 떨어지면서 대표로서의 인연은 맺지 못할 것처럼 보였지만, 1996 애틀랜타 올림픽을 앞두고 극적으로 대표 선발전을 통과하면서 대표가 되었다. 그리고 한국 선수들이 가장 고전한 대회인 애틀랜타 올림픽에서 신기의 활 솜씨를 뽐내면서 우승을 차지했다.

이 대회의 주관 방송사인 NBC가 과녁 정중앙에 카메라를 설치해서 화살이 날아오는 장면을 연출했는데, 이 때 정중앙에 화살을 두 번이나 꽂으면서 카메라를 2대나 깨뜨렸다. 이 때 붙여진 별명이 그래서 퍼펙트 골드, 카메라 브레이커였다.

이때 카메라를 2번이나 깨뜨리는 모습이 양궁계에 크게 각인되어 후배 선수들이 올림픽 본선에서 김경욱을 따라하려고 정중앙 맞히기를 꾸준히 시도했지만 실패했다. 하지만 시간이 지나도 워낙 한국 여자 양궁선수들이 잘하다 보니, 1996 애틀랜타 올림픽부터 시작된 '올림픽 양궁 중계에서 과녁 정중앙에 카메라를 설치하여 과녁의 시점으로 화살을 보여주는 관례'는 2016 리우데자네이루 올림픽부터 양궁 선수들이 카메라를 깨뜨릴 위험이 있다는 이유로 개인전에서만 사용한다.[1] 실제로 2020 도쿄 올림픽 여자 단체전 준결승 벨라루스와의 경기에서 장민희가 정중앙을 정확히 맞혔다. 그래서 과녁에 카메라가 있었다면 깨뜨리는 퍼포먼스를 보여주었을 것이라며 아쉬움을 사기도 했다.

개인전에서는 한국 선수 중에 홀로 살아남아 4강까지 올랐고, 4강과 결승에서 잇따라 승리하면서 금메달을 차지했다. 단체전에서도 독일을 상대로 승리를 거두면서 2관왕에 올랐다. 초반에는 고전했지만, 독일 선수가 1점을 쏘는 치명적인 실수를 하면서 극적으로 역전승했다.[2] 그리고 이렇게 해서 그녀는 김진호로부터 시작된 신궁의 계보에 그 이름을 올렸다.


3. 이후[편집]


2001년에 세계선수권 대표가 되었지만, 개인전 은메달과 단체전 동메달로 만족했고 이후로는 국가대표팀과 인연을 더 이상 맺지 못했다. 실업 팀 선수로는 상당히 오래 활동해서, 2007년까지 선수 생활을 하다가 현역에서 은퇴했다. 2008 베이징 올림픽 당시에는 SBS에서 만삭의 몸으로 양궁 해설을 해서 유명했다. 1997년에 결혼해서 슬하에 세 아이를 둔 엄마다. 일밤 한판승부에도 출연했다.


4. 수상 기록[편집]


올림픽
금메달1996 애틀랜타단체전
금메달1996 애틀랜타개인전
세계선수권
금메달1989 로잔단체전
은메달1989 로잔개인전
은메달2001 베이징개인전
동메달2001 베이징단체전
아시아선수권
금메달1989 베이징단체전
금메달1993 자카르타단체전
금메달1993 자카르타개인전
금메달1993 자카르타50M
금메달1993 자카르타60M
금메달1993 자카르타70M
은메달1993 자카르타30M
[1] 개최 시기에 악재가 겹치다보니 이전의 올림픽과 다르게 예산을 줄인 게 가장 큰 이유이긴 하다.[2] 당시 이 실수 한 방에 경기가 그대로 터졌다. 당시에는 2010년 이후의 룰인 세트제가 아닌, 누적제 방식의 엔드제였던 터라 실수 한 방에 경기 전체가 터질 수 있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15 22:24:41에 나무위키 김경욱(양궁)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