극장판 가면라이더 덴오 이 몸, 탄생!

덤프버전 : (♥ 0)

가면라이더 × 슈퍼전대
여름 극장판 동시상영작
[ 펼치기 · 접기 ]

2001년2002년
아기토가오레인저류우키허리케인저
PROJECT G4화산 표효하다EPISODE FINAL슈슛토 THE MOVIE
2003년2004년
555아바레인저블레이드데카레인저
PARADISE LOST아바레섬머는 킨킨중!MISSING ACE풀 블래스트 액션
2005년2006년
히비키마지레인저카부토보우켄저
7인의 전귀인페르시아의 신부GOD SPEED LOVE최강의 프레셔스
2007년2008년
덴오게키레인저키바고온저
이 몸, 탄생!네이네이! 호우호우! 홍콩 대결전마계성의 왕BUN!BUN!BAN!BAN!극장BANG!
2009년2010년
디케이드신켄저W고세이저
올 라이더 대 대쇼커천하를 판가름하는 싸움운명의 가이아 메모리EPIC on the MOVIE
2011년2012년
오즈고카이저포제고버스터즈
장군과 21개의 코어 메달하늘을 나는 유령선다 함께 우주 왔다!도쿄 에네타워를 지켜라!
2013년2014년
위자드쿄류저가이무토큐저
IN MAGIC LANDGABURINCHO OF MUSIC사커 대결전! 황금의 열매 쟁탈배!갤럭시라인 SOS
2015년2016년
드라이브닌닌저고스트쥬오우저
서프라이즈 퓨처공룡주군님 멋지다 인법첩!100개의 아이콘과 고스트 운명의 순간두근두근 서커스 패닉
2017년2018년
에그제이드큐레인저빌드루팡레인저 VS 패트레인저
트루 엔딩게스 인더베이의 역습Be The Oneen film
2019년2020년[A]
지오류소우저제로원세이버
Over Quartzer타입슬립! 공룡패닉!!REAL × TIME불사조의 검사와 파멸의 책
2021년[*A ][B]2022년
키라메이저젠카이저리바이스돈브라더스
비밥 드림붉은 전투! 올전대 대집회!!-
[A]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로 키라메이저의 극장판이 2021년으로 연기되면서, 2020년에는 가면라이더 제로원과 세이버의 극장판이, 2021년에는 키라메이저와 젠카이저가 동시상영하게 되었다.[B] 극장판이 아닌 특별편으로 분류되는 기사룡전대 류소우저 특별편: 메모리 오브 소울 메이트도 동시상영한다.





극장판 가면라이더 덴오 이 몸, 탄생! (2007)
Masked Rider Den-O The Movie: I'm Born!
劇場版 仮面ライダー電王 俺、誕生!
파일:덴오 극장판.jpg
장르액션, 특촬
감독나가이시 타카오
각본코바야시 야스코
원작이시노모리 쇼타로
주연사토 타케루, 시라토리 유리코, 나카무라 유이치
음악사하시 토시히코
테마곡175R - 『꿈에서 만난다면...(夢で逢えたなら…)』
제작사파일:일본 국기.svg 토에이
개봉일파일:일본 국기.svg 2007년 8월 4일
상영 시간69분/79분[1]

1. 개요
2. 스토리
3. 주제가
4. 등장인물
4.1. 주연
4.2. 악역
5. 기타
6. TV판과의 연계
7. 오마케 「모모타로스의 여름방학」



1. 개요[편집]


2007년 8월 4일에 개봉한 가면라이더 덴오의 첫번째 극장판.


2. 스토리[편집]


스토리는 TV판 27편에서 28편 사이의 일로, 덴오의 클라이맥스 폼이 나오기 직전의 이야기를 담고 있다. 시간의 열차를 노리는 가오는 결국 덴라이너까지 습격하게 되고 빼앗긴 덴라이너는 가오에 의해 신의 노선을 타게 되어 버린다. 탈취된 덴라이너와 오너 일행을 구하기 위해서 사쿠라이 유토(청년기 이하 유토)는 노가미 료타로하나, 그리고 중간에 탈출해온 모모타로스와 함께 덴라이너의 뒤를 쫓게 된다.


3. 주제가[편집]


꿈에서 만난다면... - 175R

4. 등장인물[편집]



4.1. 주연[편집]




4.2. 악역[편집]



5. 기타[편집]


헤이세이 라이더의 극장판 중 가면라이더 W FOREVER AtoZ/운명의 가이아 메모리와 함께 TV판이 계속 진행되는 가운데 본편과 스토리가 동시에 이어지는 극장판으로[2], 이 사건을 계기로 케이타로스와 덴오 클라이맥스 폼이 나오게 된다. 따라서 헤이세이 라이더 극장판 시리즈의 관습이었던 주역 라이더들의 최종 폼의 극장 선행 공개를 지키지 않았다.[3]

극장판 등장 이매진들의 경우 재미있게도 성우가 특촬물 출연 배우들의 우정출연이다. 명단을 보자면 다음과 같다.


어째 지옥형제는 모두 출연했다? 가면라이더 히비키토도로키 역을 맡은 카와구치 신고와 가면라이더 카부토타도코로 슈이치 역을 맡은 야마구치 요시유키가 작중 잠깐 등장한다.

6. TV판과의 연계[편집]


TV판과 극장판의 사건을 시간적 순서로 엮을 경우 다음과 같다.(실제 인과적 사건 순서는 앞의 번호를 따른다)

2. 유토의 준비 (TV 방영분 25~26화)
유토가 혼자 있던 료타로를 어딘가로 끌고 갔다가 기절 시키고 풀어주기를 3번 반복한다.
1. 사건의 발단 (TV 방영분 27화~극장판)
가오 일파에 의해 덴라이너가 탈취된다. 료타로는 도중에 가오에게 맞은 충격으로 모모타로스 일행에 대한 기억을 상실하는 바람에 빙의할 수 없게 된다.(지크는 예외)
3. 사건의 전개 (극장판)
유토가 과거의 시간에서 납치한 3명의 료타로(에 빙의한 우라타로스, 킨타로스, 류타로스)를 데리고 와서 가오 일당과 싸운다.
4. 사건의 결말 (극장판)
나머지 료타로는 돌려 보내고 극장판의 료타로가 다시 이야기를 진행한다.
5. 사건의 영향 (TV 방영분 28화)
가오 사건으로 인해 계약에 대한 기억을 잃어 버린 후 회복하였지만, 실제적으로 현재의 료타로는 모모타로스의 기억만 되돌린 상태이며, 나머지 3명의 기억은 사라진 시간의 료타로와 계약한 상태였기 때문에 3명은 사라진다. 하지만 료타로가 그들과 같이 있고 싶다고 소망해서 나머지 이매진 일행이 사라진 모래에서 핸드폰 형태의 도구 '케이타로스'를 얻는다. 이후 케이타로스를 통해 덴오 클라이맥스 폼이 첫 등장한다.

이런 식으로 스토리가 TV판과 이어지기 때문에 이 작품의 한국 내 방영 또는 개봉이 이뤄지는 게 아닌가 싶었지만 결국 미방영.[4]


7. 오마케 「모모타로스의 여름방학」[편집]


2007년 8월 4일부터 「극장판 이 몸, 탄생!」과 동시상영된 덴오의 스핀오프 작품. 줄거리는 마스터 샤프한테 헤엄칠 수 없다는 점을 지적받은 모모타로스가 우라타로스·킨타로스·류타로스·데네브에 의한 특훈을 받게 된다는 내용.

극장판 시리즈 사상 최초의 단편작품으로 수권전대 게키레인저와의 크로스오버 작품이기도 하다. 지금까지는 슈퍼전대 시리즈가면라이더 시리즈의 영화작품은 2작품을 연속으로 상영했었지만, 극장판 시리즈의 첫 시도로서 양 작품의 사이에 이 작품 끼어서 상영했다.

전체적으로는 슈퍼 히어로 타임의 엔딩에 가까운 분위기로 돼있어 슈퍼전대 시리즈와 가면라이더 시리즈의 크로스오버 작품인 것도 그렇다고 해도, 등장인물들이 얼굴은 실사버전인데 몸통은 애니메이션풍인 2등신 캐릭터로 돼있는 점도 그 특색이라고 말할 수 있다. 이 수법은 극장판 가면라이더 덴오 & 키바 클라이맥스 형사와 병영된 「모모타로스의 힘차게 가자고!」에도 인계되었다.

2008년 1월에 발매된 극장판 DVD(통상판도 포함)와 동년 2월에 발매된 전영판 「게키레인저」의 DVD에는 미수록돼있다. 하지만 동년 5월 21일에 발매된 「극장판 이 몸,탄생! 파이널컷판」(디렉터즈컷판)에는 수록되었고, 2009년 4월 21일 발매된 극장판의 블루레이 디스크에도 수록되었다.

본편에서 나오는 BGM는 TV판의 BGM 「이 몸, 등장」를 어레인지한 것이며, 2007년 10월에 발매된 극장판의 오리지날 사운드 트랙에 수록돼 있다.

등장인물 - 모모타로스, 우라타로스, 킨타로스, 류타로스, 데네브, 권성 마스터 샤프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15 02:04:26에 나무위키 극장판 가면라이더 덴오 이 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디렉터즈 컷.[2] 본편과 극장판이 연계돼서 그렇다는 거지 세계관만 놓고 보자면 '유일하게'는 아니다. 아기토는 본편과 스페셜, 극장판이 연계되기도 했었고 류우키 극장판이나 블레이드 극장판은 TV판의 세계관을 이은 '또 하나의 결말'이다. 또 '가면라이더 MOVIE 대전' 시리즈 같은 경우도 몇몇 작품은 본편과 스토리가 이어진다고 볼 수 있다.[3] 덴오 윙 폼은 초기 4폼과 동일한 포지션일 뿐더러 오히려 TV판에서 선행등장했을 정도.[4] 그럴만도 한게 몇몇 중요 장면에 왜색이 많기 때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