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랜드 비트박스 배틀 2021

덤프버전 : (♥ 0)

파일:나무위키+상위문서.png   상위 문서: Grand Beatbox Battle

파일:gbb2.png
'''[[그랜드 비트박스 배틀|{{{#fff 역대 그랜드 비트박스 배틀
Grand Beatbox Battle}}}]]'''
[ 펼치기 · 접기 ]

GBB 2009GBB 2010GBB 2011GBB 2012
GBB 2013GBB 2014GBB 2015GBB 2016
GBB 2017GBB 2018GBB 2019GBB 2021
GBB 2023




그랜드 비트박스 배틀 2021
Grand Beatbox Battle 2021: World League
파일:GBB_21_cover_16_9.jpg
장르비트박스, 루프스테이션 아트
대회 기간 2021년 10월 22일 ~ 2021년 10월 25일
장소 폴란드, Warsaw EXPO XXI 홀
주최 Swissbeatbox
슬로건 More Than Music
음악, 그 이상
대회 결과
솔로 부문
[ 펼치기 · 접기 ]

우승Colaps프랑스 파일:프랑스 국기.svg
준우승River'프랑스 파일:프랑스 국기.svg
3위FootboxG벨기에 파일:벨기에 국기.svg
4위King Inertia미국 파일:미국 국기.svg

루프스테이션 부문
[ 펼치기 · 접기 ]

우승BizKit미국 파일:미국 국기.svg
준우승Frosty영국 파일:영국 국기.svg
3위Rythmind프랑스 파일:프랑스 국기.svg
4위Chris TheOdian프랑스 파일:프랑스 국기.svg

태그팀 부문
[ 펼치기 · 접기 ]

우승Middle School벨기에 파일:벨기에 국기.svg
준우승Rogue Wave프랑스/콜롬비아 파일:프랑스 국기.svg 파일:콜롬비아 국기.svg
3위Rofu일본 파일:일본 국기.svg
4위Onii-Chan독일 파일:독일 국기.svg

크루 부문
[ 펼치기 · 접기 ]

우승M.O.M다국
준우승Sarukani일본 파일:일본 국기.svg
3위S.Q.U.I.D프랑스 파일:프랑스 국기.svg

태그팀 루프스테이션 부문
[ 펼치기 · 접기 ]

우승SORRY일본 파일:일본 국기.svg
준우승Bery프랑스 파일:프랑스 국기.svg
3위Scamtalk프랑스 파일:프랑스 국기.svg

이전·이후 대회
GBB 2019 GBB 2021 GBB 2023

1. 개요
2. 개최 이전 정보
4. 유튜브 라이브 & 인터뷰
5. 현장 예선
5.1. 솔로 부문 예선
5.2. 태그팀 부문 예선
5.3. 솔로 루프스테이션 부문 예선
6. 본선
6.1. 솔로 부문 본선
6.1.1. 16강
6.1.2. 8강
6.1.3. 4강
6.1.4. 3위 결정전
6.1.5. 결승전
6.2. 태그팀 부문 본선
6.2.1. 4강
6.2.2. 3위 결정전
6.2.3. 결승전
6.3. 솔로 루프스테이션 부문 본선
6.3.1. 8강
6.3.2. 4강
6.3.3. 3위 결정전
6.3.4. 결승전
6.4. 크루 부문 쇼케이스
6.5. 태그팀 루프스테이션 부문 쇼케이스
7. 논란 및 사건사고
7.1. Tomazacre 성범죄 논란
7.2. D-Koy의 보이콧 및 주최측 갑질 폭로
8. 여담




1. 개요[편집]


GBB21 Official Recap Video

폴란드 Warsaw의 EXPO XXI에서 10월 22일부터 25일까지 개최된 제12회[1] 그랜드 비트박스 배틀이다.

역대 GBB중 가장 큰 규모로, 솔로 부문은 8강이 아닌 16강부터 시작하고, 루프스테이션 부문에는 예선 시스템이 도입되며, 관객의 규모도 대폭 늘어났다[2]. 크루 부문과 태그팀 루프스테이션 부문이 처음 도입되었다는 것도 눈여겨볼 만한 점이다.


2. 개최 이전 정보[편집]


  • 개최 관련
    • GBB 2021 개최 공지[3]
    • 대회장 및 숙박 장소 공지
    • 7 to Smoke 개최 공지


  • 방역 수칙 관련
    • 방역 수칙 관련 1차 공지[4]
    • 방역 수칙 관련 2차 공지




3. 와일드카드 선발 결과[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그랜드 비트박스 배틀 2021/와일드카드 선발 결과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4. 유튜브 라이브 & 인터뷰[편집]


GBB 2021과 관련된 라이브만 등재한다.

1. GBB 2021 Talk
2. Reacting to GBB21 Wildcards
3. GBB21 Update Information
5. Reacting to GBB21 Wildcards feat. D-Low
8. Reacting to GBB21 Wildcards feat. Reeps One
9-1. GBB21: World League Solo Loopstation Wildcard Winner Anouncement[송출문제]
9-2. GBB21: World League Solo Loopstation Wildcard Winner Anouncement[송출문제]
10. GBB21: World League Solo Wildcard Winner Anouncement
11. GBB21 Loopstation Wildcard Top 8 Interview[5]
12. GBB21 Solo Wildcard Top 12 Interview
13. GBB20 Solo Showcase Wildcard Winners Interview[6]
14. GBB20 Loopstation Wildcard Winners Interview
19. Reacting to GBB21 Wildcards feat. Trung Bao & Chiwawa
20. GBB21: World League TAG TEAM & CREW Wildcard Winner Anouncement
21. GBB21 Tag Team and Crew Wildcard Winners Interview
23. GBB20 Tag Team Wildcard Winners Interview
24. GBB20 CREW Wildcard Winners Interview
33. SOLO SHOWCASE ELIMINATION DRAW[7]
34. TAG TEAM SHOWCASE ELIMINATION DRAW[8]
35. LOOPSTATION SHOWCASE ELIMINATION DRAW[9]
36. TAG TEAM LOOPSTATION & CREW SHOWCASE ELIMINATION DRAW






5. 현장 예선[편집]


심사위원의 명단은 다음과 같다.

  • 솔로 부문 심사위원
    • Zede 파일:스위스 국기.svg - 2대 월드 비트박스 챔피언
    • Reeps One 파일:영국 국기.svg - 2011년 영국 비트박스 챔피언
    • D-Low 파일:영국 국기.svg - 2019년 그랜드 비트박스 챔피언
    • Pe4enkata 파일:불가리아 국기.svg - 3대 여성 부문 월드 비트박스 챔피언
    • Kenny Urban 파일:미국 국기.svg - 2016년 그랜드 비트박스 챔피언

  • 태그팀 부문 심사위원
    • Beatness 파일:프랑스 국기.svg - 2016년 태그팀 부문 그랜드 비트박스 챔피언 [10]
    • BMG 파일:프랑스 국기.svg - 4대 태그팀 부문 월드 비트박스 챔피언 [11]
    • Chris Celiz 파일:미국 국기.svg - 5대 태그팀 부문 월드 비트박스 챔피언 [12]
    • D-Low 파일:영국 국기.svg - 2018년 태그팀 부문 영국 비트박스 챔피언[13]
    • Kenny Urban 파일:미국 국기.svg - 2018년 그랜드 비트박스 챔피언십 태그팀 부문 3위[14]

  • 솔로 루프스테이션 부문 심사위원
    • Beatness 파일:프랑스 국기.svg - 2018년 그랜드 루프스테이션 챔피언
    • THePETEBOX 파일:영국 국기.svg - 보컬 루핑 아티스트
    • Saro 파일:프랑스 국기.svg - 5대 월드 루프스테이션 챔피언
    • Inkie 파일:러시아 국기.svg - 5대 월드 루프스테이션 바이스 챔피언
    • Zede 파일:스위스 국기.svg - 2대 월드 비트박스 챔피언

  • 태그팀 루프스테이션 부문 심사위원
    • Inkie 파일:러시아 국기.svg - 5대 월드 루프스테이션 바이스 챔피언
    • Zede 파일:스위스 국기.svg - 2대 월드 비트박스 챔피언
    • Gene Shinozaki 파일:미국 국기.svg - 보컬 루핑 아티스트
    • ThePetebox 파일:영국 국기.svg - 보컬 루핑 아티스트
    • Saro 파일:프랑스 국기.svg - 5대 월드 루프스테이션 챔피언

  • 크루 부문 심사위원
    • Chris Celiz 파일:미국 국기.svg - 5대 크루 부문 월드 비트박스 바이스 챔피언[15]
    • Kenny Urban 파일:미국 국기.svg - 5대 크루 부문 월드 비트박스 바이스 챔피언[16]
    • Beasty 파일:프랑스 국기.svg - 5대 크루 부문 월드 비트박스 챔피언[17]
    • MC Zani 파일:영국 국기.svg - 3대 크루 부문 월드 비트박스 챔피언[18]
    • Beatness 파일:프랑스 국기.svg - 5대 크루 부문 월드 비트박스 챔피언[19]


5.1. 솔로 부문 예선[편집]


HISS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대표
2019년 아시아 비트박스 챔피언
최종 순위11위

사전 인터뷰

루틴 'Show me'로 시작하며 안정적인 기본기와 박자감을 자랑하였다. 특유의 플로우를 잘 살리며 다른 루틴 'Can't stop'으로 마무리하였다. 대체로 무난하게 진행했으나, 일각에서는 이전에 사용했던 루틴을 다시 가져왔다는 점이 아쉽다는 의견도 나온다.


TRUNG BAO
파일:베트남 국기.svg 베트남 대표
2017년 World Beatbox Camp 챔피언
최종 순위26위

2020 솔로 부문 와일드카드 1위를 차지했던 만큼 큰 주목을 받고 있었으나, 입이 중간부터 마르기 시작하여 중반부부터 제대로 된 사운드를 전혀 구사하지 못한 채 마무리하였다.

기대가 컸던 만큼 실망도 컸던 아쉬운 무대였다. 이후 직접 Swissbeatbox에 영상을 올리지 말아 달라고 부탁하였고, 인스타그램을 통해 입이 너무 건조해서 소리가 나지 않았다고 설명했다.

대회 직후 자신의 유튜브 채널에 예선 루틴을 업로드하였다.


ALEM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대표
4대 월드 비트박스 챔피언
최종 순위9위

사전 인터뷰

화려한 쪼개기를 구사하며 테크닉 위주의 무대를 선보였다. 루틴 'Tiger Shot'으로 시작해 'Machine Gun 2.0'으로 마무리하였고, 중간중간 숨차는 부분도 피지컬로 밀고 나가는 모습을 보였다.

반응은 매우 호불호가 갈리는 편. 좋아하는 사람들은 독보적인 속도의 쪼개기와 큰 사운드를 높게 평가하지만, 싫어하는 사람들은 도대체가 바뀌지 않는 스타일과 뭉개지는 사운드를 좋지 않게 평가한다.


IMPROVER
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 대표
2019년 러시아 비트박스 챔피언
최종 순위17위

사전 인터뷰
사전 인터뷰 번역

텅베이스와 미들 립롤, 특유의 덕사운드를 활용해가며 안정적으로 마무리하였다. 기본기도 탄탄해 무난하게 합격할 것 같다는 의견이 대다수였지만, 간발의 차로 본선 진출에 실패하며 여러 사람들의 아쉬움을 샀다.


STITCH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 말레이시아 대표
2018년 Captial Beatbox Battle 챔피언
최종 순위22위

사전 인터뷰

폴리포닉과 626이펙트를 활용해 음악적으로 구성한 레파토리를 보여주었다. 다만 후반부에 폴리포닉이 약간 엇나가는 점이 아쉬움을 사기도 했다.

26명 중 22위를 차지하며 본선 진출에는 실패했다.


ZER0
파일:아제르바이잔 국기.svg 아제르바이잔 대표
2020년 온라인 그랜드 비트박스 챔피언
최종 순위15위

사전 인터뷰

이전과 비교했을 때 기본기와 쇼맨십이 매우 발전한 모습을 보였다. 대체로 무난한 무대였다는 평.


ELISII
파일:캐나다 국기.svg 캐나다 대표
2018년 캐나다 비트박스 챔피언
최종 순위8위

사전 인터뷰
사전 인터뷰 번역

끊김없는 루틴의 구성과 묵직한 기본기로 호평을 받았다. 다만 기억에 남는 한 방이 없어 아쉽다는 의견도 있다.


KOHEY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대표
2019년 아시아 비트박스 챔피언십 3위
최종 순위20위

사전 인터뷰

테크닉파 비트박서답게 초반부터 할로우클롭과 케스네어 연타를 보여주며 좋은 평가를 받는 듯 했으나, 갈수록 드러나는 폐활량 조절 문제와 반복되는 실수로 인해 예선 탈락에 그쳤다.


ZEKKA
파일:스페인 국기.svg 스페인 대표
2018년 스페인 비트박스 챔피언
최종 순위13위

사전 인터뷰
사전 인터뷰 번역

우승 후보로 꼽혔던 만큼 큰 기대를 받고 있었으나, 루틴을 너무 복잡하게 구성한 나머지 자꾸 음조절을 실패하는 모습을 보이며 아쉬운 무대를 보여주었다. 후반부에는 클릭롤 드랍으로 초반의 실수를 만회하며 예선을 마쳤다.


COLAPS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대표
2017년 프랑스 비트박스 챔피언
최종 순위5위

사전 인터뷰

깔끔한 스핏스네어 연타와 독특한 쪼개기로 대표되는 테크닉을 선보였다.


TOMAZACRE
파일:칠레 국기.svg 칠레 대표
2019년 그랜드 비트박스 바이스 챔피언
최종 순위25위

백업 영상 링크

뜬금없이 3연뻑을 내지르며 시작하더니 괴상한 소리만을 반복하며 처참한 무대를 보여주었다.

현재 성범죄 의혹으로 인해 원본 영상은 비공개된 상태이다. 자세한 내용은 하단의 사건사고 논란을 참고.


FOOTBOXG
파일:벨기에 국기.svg 벨기에 대표
2018년 벨기에 비트박스 챔피언
최종 순위10위

사전 인터뷰
사전 인터뷰 번역

매우 깔끔한 테크닉이 돋보이는 무대였다.


VOCODAH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대표
2019년 미국 비트박스 챔피언
최종 순위10위

백업 영상 링크

Tomazacre의 성폭행 의혹 은폐에 대한 항의로 영상 삭제를 요구했으며, 현재 원본 영상은 비공개된 상태이다. 자세한 내용은 하단의 사건사고 논란을 참고.


RIVER'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대표
2018년 프랑스 비트박스 챔피언
최종 순위6위

사전 인터뷰
사전 인터뷰 번역

2021년 솔로 부문의 와일드카드 중 1위를 차지했던 와일드카드를 깔끔하게 현장에서 소화해내며 그야말로 독보적인 무대를 보여주었다.


B-ART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네덜란드 대표
현 월드 비트박스 바이스 챔피언
최종 순위14위

사전 인터뷰
사전 인터뷰 번역

대체로 무난한 비트를 엮어서 진행했다. 덕사운드와 펀치스네어 쪼개기를 보여주며 좋은 반응을 받았다.


MAX
파일:이스라엘 국기.svg 이스라엘 대표
2020년 이스라엘 비트박스 챔피언
최종 순위18위

사전 인터뷰

신인임에도 불구하고 안정적인 무대를 선보였고, 와일드카드 루틴으로 마무리하며 호평을 받았다. 예선 탈락이 아쉽다는 반응이 대다수.


NAPOM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대표
2017년 그랜드 비트박스 챔피언
최종 순위4위

시작부터 끝까지 엄청난 테크닉을 보여주며 퇴물이 아니냐는 논란을 싹 잠재웠다. 'SuperSonic' 파트의 립롤 연타가 가히 압권이다. 후반부에는 그 유명한 'Roll like this' 루틴으로 마무리하였다. 본인의 말로는 프리스타일이었다고 한다.


MR.ANDROIDE
파일:칠레 국기.svg 칠레 대표
2017년 남아메리카 비트박스 챔피언
최종 순위24위

사전 인터뷰

창의적인 구성과 수많은 고유기술을 보여주며 자신의 스타일을 잘 드러낸 예선을 선보였다. 다소 긴장한 모습을 보여주기도 했지만 대체로 기대 이상이었다는 평. 마지막에는 펑키한 스타일의 루틴으로 마무리하였다. 다만 결국에는 꽤 낮은 순위를 받았고, 탈락 사유로는 완급 조절의 미숙함과 과도한 시간 초과가 꼽힌다.


D-KOY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대표
2019년 미국 비트박스 챔피언십 Top8
최종 순위2위

백업 영상 링크

새소리로 대표되는 고유기술을 떡칠한 예선을 보여주며 좋은 반응을 이끌어냈다.

Tomazacre의 성폭행 의혹 은폐에 대한 항의로 영상 삭제를 요구함에 따라 영상은 업로드되지 않았다.


KING INERTIA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대표
2019년 Great North Battle 챔피언
최종 순위1위

사전 인터뷰
사전 인터뷰 번역

믿기지 않는 퀄리티의 인워드베이스를 플로우있게 루틴에 녹여내며 엄청난 호평을 받았다. 현장음이 말도 안되게 좋다고 한다.


HELIUM
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 대표
2017년 러시아 비트박스 챔피언
최종 순위16위

사전 인터뷰
사전 인터뷰 번역


GENE SHINOZAKI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대표
2015년 그랜드 비트박스 챔피언
최종 순위3위


ALEXINHO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대표
현 월드 비트박스 챔피언
최종 순위7위

사전 인터뷰


TWO.H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대표
2010년 대한민국 비트박스 챔피언
최종 순위21위

사전 인터뷰
사전 인터뷰 번역


DEN
파일:캐나다 국기.svg 캐나다 대표
2019년 캐나다 비트박스 챔피언십 3위
최종 순위19위

사전 인터뷰


HEARTZEL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 말레이시아 대표
2020 Asian Royal Rumble 챔피언
최종 순위23위

사전 인터뷰


5.2. 태그팀 부문 예선[편집]



ZEN'HIT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대표
최종 순위5위

직접 영상 게시 중지를 요청함에 따라 해당 예선은 유튜브에 업로드되지 않았다.


ROFU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대표
최종 순위3위

사전 인터뷰



DREAMERZ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대표
최종 순위6위



ONII-CHAN
파일:독일 국기.svg 독일 대표
최종 순위4위

사전 인터뷰


MIDDLE SCHOOL
파일:벨기에 국기.svg 벨기에 대표
최종 순위1위

사전 인터뷰


BLUE MOUNTAIN BEATBOX
파일:캐나다 국기.svg 캐나다 대표
최종 순위11위

사전 인터뷰



JACKPOT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대표
최종 순위7위

사전 인터뷰


HUSKEY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대표
최종 순위8위

사전 인터뷰


SHADOW SUMO
파일:벨기에 국기.svg 파일:프랑스 국기.svg 벨기에 & 프랑스 대표
최종 순위9위

사전 인터뷰


ROGUE WAVE
파일:프랑스 국기.svg 파일:콜롬비아 국기.svg 프랑스 & 콜롬비아 대표
최종 순위2위

사전 인터뷰


WILDCARD GUYS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대표
최종 순위10위

사전 인터뷰


5.3. 솔로 루프스테이션 부문 예선[편집]



SLIZZER
파일:룩셈부르크 국기.svg 룩셈부르크 대표
2011년 오스트리아 비트박스 챔피언
최종 순위12위

사전 인터뷰


DICE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대표
2020년 온라인 월드 루프스테이션 바이스 챔피언
최종 순위6위[집계오류]

사전 인터뷰
사전 인터뷰 번역


FROSTY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대표
2020년 온라인 그랜드 루프스테이션 챔피언
최종 순위7위[집계오류]

사전 인터뷰


GASPER GROM
파일:슬로베니아 국기.svg 슬로베니아 대표
2021년 그랜드 비트박스 배틀 루프스테이션 부문 Top 16
최종 순위16위

사전 인터뷰


BREZ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대표
2021년 프랑스 루프스테이션 챔피언
최종 순위8위[집계오류]

사전 인터뷰


BIZKIT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대표
2020년 온라인 월드 루프스테이션 챔피언
최종 순위1위

사전 인터뷰


CHRIS THEODIAN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대표
2019년 프랑스 루프스테이션 챔피언
최종 순위5위[집계오류]

사전 인터뷰


RYTHMIND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대표
2019년 그랜드 루프스테이션 챔피언
최종 순위2위

사전 인터뷰


DGYMIE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대표
2019년 SBX Camp 루프스테이션 챔피언
최종 순위14위

사전 인터뷰


So-So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대표
2019년 아시아 루프스테이션 챔피언
최종 순위9위

사전 인터뷰


SXIN
파일:독일 국기.svg 독일 대표
2019년 독일 루프스테이션 챔피언십 Top 4
최종 순위4위[집계오류]

사전 인터뷰


MATEJ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오스트리아 대표
2020년 오스트리아 루프스테이션 챔피언
최종 순위13위

사전 인터뷰


BALANCE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대표
2018년 영국 루프스테이션 챔피언
최종 순위10위

사전 인터뷰


M-AGE
파일:체코 국기.svg 체코 대표
2020년 체코 루프스테이션 챔피언
최종 순위17위

사전 인터뷰

직접 영상 게시 중지를 요청함에 따라 해당 예선은 유튜브에 업로드되지 않았다.


ROBIN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대표
2017년 프랑스 루프스테이션 챔피언
최종 순위3위[집계오류]

사전 인터뷰


KBA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대표
2020년 온라인 월드 루프스테이션 챔피언십 3위
최종 순위11위

사전 인터뷰


SUNGBEATS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대표
2018년 미국 루프스테이션 챔피언
최종 순위15위

사전 인터뷰


6. 본선[편집]


솔로 부문 예선 결과
[ 펼치기 · 접기 ]

랭킹 이름 영상
1위 King Inertia#
2위 D-Koy#
3위 Gene Shinozaki#
4위 NaPoM#
5위 Colaps#
6위 River#
7위 Alexinho#
8위 Elisii#
9위 Alem#
10위 FootboxG#
11위 Hiss#
12위 Vocodah#
13위 Zekka#
14위 B-Art#
15위 Zer0#
16위 Helium#
17위 Improver#
18위 Max#
19위 Den#
20위 Kohey#
21위 Two.H#
22위 Stitch#
23위 Heartzel#
24위 Mr.Androide#
25위 Tomazacre[1]#
26위 Trung Bao#
본선 진출자는 볼드체로 표기

[1] 영구 제명

루프스테이션 부문 예선 결과
[ 펼치기 · 접기 ]

랭킹 이름 영상
1위 Bizkit#
2위 Rythmind#
3위 Sxin#
4위 Chris TheOdian#
5위 Dice#
6위 Frosty#
7위 Brez#
8위 Robin#
9위 So-So#
10위 Balance#
11위 KBA#
12위 Slizzer#
13위 Matej#
14위 Dgymie#
15위 Sungbeats#
16위 Gasper Grom#
17위 M-Age#
본선 진출자는 볼드체로 표기


태그팀 부문 예선 결과
[ 펼치기 · 접기 ]

랭킹 이름 영상
1위 Middle School#
2위 Rogue Wave#
3위 Rofu#
4위 Onii-Chan#
5위 Zen'Hit#
6위 Dreamerz#
7위 Jackpot#
8위 Huskey#
9위 Shadow Sumo#
10위 Wildcard Guys#
11위 Blue Mountain Beatbox#
본선 진출자는 볼드체로 표기


6.1. 솔로 부문 본선[편집]



6.1.1. 16강[편집]


D-KOY vs ZER0
미국 vs 아제르바이잔
16강 1배틀
[ 심사 결과 펼치기 · 접기 ]

D-Koy: 4표[1]Zer0: 1표[2]

[1] Kenny Urban, Pe4enkata, Reeps One, Zede[2] D-Low

D-Koy가 본인 파트의 삭제를 요청함에 따라 유튜브에는 Artist vs Zer0라고 나와있다.


ALEXINHO vs FOOTBOXG
프랑스 vs 벨기에
16강 2배틀
[ 심사 결과 펼치기 · 접기 ]

Alexinho: 0표FootboxG: 5표[1]

[1] D-Low, Kenny Urban, Pe4enkata, Reeps One, Zede

Alexinho도 무난한 1라운드와 카운터로 떡칠된 2라운드를 보여주며 선전했지만, 전체적으로 우월한 테크닉과 플로우를 보여주었던 FootboxG에 의해 패배하였다. 비트박스 씬의 세대교체가 시작되었음을 의미하는 배틀로,. 월드 챔피언을 이기고 기쁨에 겨워 눈물을 흘리는 FootboxG의 모습이 감동적이다.


GENE SHINOZAKI vs B-ART
미국 vs 네덜란드
16강 3배틀
[ 심사 결과 펼치기 · 접기 ]

Gene Shinozaki: 2표[1]B-Art: 3표[2]

[1] Reeps One, Zede[2] D-Low, Kenny Urban, Pe4enkata

정반대의 스타일을 가진 두 비트박서가 만나 각자의 개성을 잘 살린 무대를 보여줬다. B-Art도 자잘한 실수를 여럿 보였지만, Gene이 아쉬운 2라운드를 보여주며 승리를 차지했다.


RIVER vs HISS
프랑스 vs 대한민국
16강 4배틀
[ 심사 결과 펼치기 · 접기 ]

River: 5표[1]Hiss: 0표

[1] D-Low, Kenny Urban, Pe4enkata, Reeps One, Zede

Hiss의 1라운드에서 오징어게임의 '무궁화 꽃이 피었습니다'를 들을 수 있다. 이어진 2라운드에서 빡센 루틴을 꺼냈지만, 범용 가능한 기술의 폭이 좁은 탓에 약간 아쉬웠다는 의견도 있다. 결국 River'가 양 라운드에서 압도적인 피지컬을 보이며 승리를 거머쥐었으며, 특히 2라운드의 드릴 비트가 매우 인상적이다.


COLAPS vs VOCODAH
프랑스 vs 미국
16강 5배틀
[ 심사 결과 펼치기 · 접기 ]

Colaps: 5표[1]Vocodah: 0표

[1] D-Low, Kenny Urban, Pe4enkata, Reeps One, Zede

Colaps의 2라운드에서 작은 실수가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Vocodah가 좋지 못한 모습을 보였기에 5:0으로 승리를 거머쥐었다.


NAPOM vs ZEKKA
미국 vs 스페인
16강 6배틀
[ 심사 결과 펼치기 · 접기 ]

NaPoM: 1표[1]Zekka: 4표[2]

[1] Kenny Urban[2] D-Low, Pe4enkata, Reeps One, Zede

Zekka가 예상 밖으로 1라운드부터 강하게 나오며 쉽게 승리하였다. NaPoM의 라운드에서 우월한 피지컬을 체감할 수 있지만, 전체적으로 루틴의 대부분이 프리스타일인 탓에 흐름이 자주 끊기는 모습을 보이며 고전하였다.


ELISII vs ALEM
캐나다 vs 프랑스
16강 7배틀
[ 심사 결과 펼치기 · 접기 ]

Elisii: 0표Alem: 5표[1]

[1] D-Low, Kenny Urban, Pe4enkata, Reeps One, Zede

Elisii의 마이크에 심각한 이상이 있었다고 한다. Alem도 나쁘지 않은 모습을 보여주었으나, 마이크 결함이 없었더라면 8강 진출은 힘들었을 것이다.


KING INERTIA vs HELIUM
미국 vs 러시아
16강 8배틀
[ 심사 결과 펼치기 · 접기 ]

King Inertia: 3표[1]Helium: 1표[2]

[1] D-Low, Kenny Urban, Pe4enkata[2] Zede

라이브 무대에서 좋은 모습을 보여준 King Inertia의 압승이 예상되었으나, Helium 또한 인워드 베이스 카운터와 써커 펀치 쪼개기로 위협해가며 의외로 비등비등한 구도가 나왔다. King Inertia 는 인워드 베이스와 바이브레이션 베이스를 적절히 섞어가며 좋은 모습을 보여주었고, 결국 승리를 거머쥐었다.

여담으로 심사 중 Reeps One이 기권을 했는데, 규정 상 솔로 부문에서는 기권이 불가하다. 룰을 정확히 숙지하지 못해 발생한 해프닝.

6.1.2. 8강[편집]


D-KOY vs FOOTBOXG
미국 vs 벨기에
8강 1배틀
[ 심사 결과 펼치기 · 접기 ]

D-Koy: 1표[1]FootboxG: 4표[2]

[1] D-Low[2] Kenny Urban, Pe4enkata, Reeps One, Zede

D-Koy가 본인 파트의 삭제를 요청함에 따라 유튜브에는 Artist vs FootboxG라고 나와있다.


B-ART vs RIVER'
네덜란드 vs 프랑스
8강 2배틀
[ 심사 결과 펼치기 · 접기 ]

B-Art: 0표River': 5표[1]

[1] D-Low, Kenny Urban, Pe4enkata, Reeps One, Zede

B-Art가 2라운드에서 뇌절을 하며 아쉬운 모습을 보여주었다. 1라운드에서 좋은 모습을 보여주었기에 더욱 안타깝다는 평. 다만 River가 2라운드에서 워낙 강력한 루틴을 들고 나왔기에 어차피 결과는 피차일반이었을 것이다.


COLAPS vs ZEKKA
프랑스 vs 스페인
8강 3배틀
[ 심사 결과 펼치기 · 접기 ]

Colaps: 4표[1]Zekka: 1표[2]

[1] Kenny Urban, Pe4enkata, Reeps One, Zede[2] D-Low

유력한 우승 후보 2명이 8강에서 만났다. Zekka가 새로 뚫은 인워드 베이스를 선보이며 무난하게 진행했지만, Colaps가 바로 급발진하며 처음 보는 독특한 쪼개기를 들고 나오자 양측 모두 빡센 2라운드를 선보이며 마무리되었다.

Zekka의 터치가 유독 심해서 보기에 거슬렸다는 의견이 많다.


ALEM vs KING INERTIA
프랑스 vs 미국
8강 4배틀
[ 심사 결과 펼치기 · 접기 ]

Alem: 1표[1]King Inertia: 4표[2]

[1] Pe4enkata[2] D-Low, Kenny Urban, Reeps One, Zede

Alem도 비트를 여러번 바꿔가며 나름 비벼볼려고 하지만 Inertia의 인워드 베이스가 워낙 현장음이 좋은 탓에 무난히 패배하였다. 다만 워낙 인워드 베이스를 도배하다시피 한 탓에 슬슬 임팩트가 약해지며 관객 호응이 줄어든 것을 볼 수 있다.


6.1.3. 4강[편집]


FOOTBOXG vs RIVER'
벨기에 vs 프랑스
4강 1배틀
[ 심사 결과 펼치기 · 접기 ]

FootboxG: 1표[1]River': 4표[2]

[1] Zede[2] D-Low, Kenny Urban, Pe4enkata, Reeps One

River'가 승리하며 결승에 진출하게 되었다. 참고로 이번 배틀이 River와 FootboxG의 5번째 배틀이다.


COLAPS vs KING INERTIA
프랑스 vs 미국
4강 2배틀
[ 심사 결과 펼치기 · 접기 ]

Colaps: 5표[1]King Inertia: 0표

[1] D-Low, Kenny Urban, Pe4enkata, Reeps One, Zede


6.1.4. 3위 결정전[편집]


FOOTBOXG vs KING INERTIA
벨기에 vs 미국
3위 결정전
[ 심사 결과 펼치기 · 접기 ]

FootboxG 승리[1]King Inertia 패배 [2]

[1] 득표 비공개[2] 득표 비공개


6.1.5. 결승전[편집]


RIVER' vs COLAPS
프랑스 vs 프랑스
그랜드 파이널
[ 심사 결과 펼치기 · 접기 ]

River': 1표[1]Colaps: 4표[2]

[1] D-Low[2] Kenny Urban, Pe4enkata, Reeps One, Zede


6.2. 태그팀 부문 본선[편집]



6.2.1. 4강[편집]


Middle School vs Onii-chan

Middle School 우승, 결승 진출

Rogue Wave vs Rofu

Rogue Wave 우승, 결승 진출

6.2.2. 3위 결정전[편집]


Onii-chan vs Rofu

Rofu 3위, Onii-chan 4위

6.2.3. 결승전[편집]


Middle School vs Rogue Wave

Middle School 우승, Rogue Wave 준우승

6.3. 솔로 루프스테이션 부문 본선[편집]



6.3.1. 8강[편집]


RYTHMIND vs BREZ
프랑스 vs 프랑스
8강 1배틀
[ 심사 결과 펼치기 · 접기 ]

Rythmind: 3표[1]Brez: 2표[2]

[1] Beatness, Saro, Zede[2] Inkie, ThePetebox


SXIN vs FROSTY
독일 vs 영국
8강 2배틀
[ 심사 결과 펼치기 · 접기 ]

Sxin: 0표Frosty: 5표[1]

[1] ThePetebox, Beatness, Saro, Inkie, Zede


CHRIS THEODIAN vs DICE
프랑스 vs 대한민국
8강 3배틀
[ 심사 결과 펼치기 · 접기 ]

Chris Theodian: 3표[1]Dice: 2표[2]

[1] Zede, Inkie, Beatness[2] ThePetebox, Saro


BIZKIT vs ROBIN
미국 vs 프랑스
8강 4배틀
[ 심사 결과 펼치기 · 접기 ]

Bizkit: 3표[1]Robin: 2표[2]

[1] Inkie, Saro, Zede[2] Beatness, ThePetebox


6.3.2. 4강[편집]


RYTHMIND vs FROSTY
프랑스 vs 영국
4강 1배틀
[ 심사 결과 펼치기 · 접기 ]

Rythmind: 0표Frosty: 5표[1]

[1] ThePetebox, Beatness, Saro, Inkie, Zede


CHRISTHEODIAN vs BIZKIT
프랑스 vs 미국
4강 2배틀
[ 심사 결과 펼치기 · 접기 ]

ChrisTheodian: 0표Bizkit: 5표[1]

[1] ThePetebox, Beatness, Saro, Inkie, Zede

6.3.3. 3위 결정전[편집]


RYTHMIND vs CHRISTHEODIAN
미국 vs 프랑스
3위 결정전
[ 심사 결과 펼치기 · 접기 ]

Rythmind 승리[1]ChrisTheodian 패배 [2]

[1] 3표, 상세 득표 비공개[2] 2표, 상세 득표 비공개


6.3.4. 결승전[편집]


Frosty vs Bizkit
영국 vs 미국
그랜드 파이널
{{{#!folding [ 심사 결과 펼치기 · 접기 ]
Frosty 패배 [20]Bizkit 승리[21]
}}}
||



6.4. 크루 부문 쇼케이스[편집]


SARUKANI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대표
최종 순위2위


M.O.M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오스트리아 대표
최종 순위1위
가사 번역


S.Q.U.I.D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오스트리아 대표
최종 순위3위

모니터링 이어폰에 이상이 생기며 준비했던 루틴을 제대로 선보이지 못했고, 결국 SBX측과 협의 후 영상을 업로드하지 않기로 결정했다. 자세한 내용은 여기를 참고.

6.5. 태그팀 루프스테이션 부문 쇼케이스[편집]


BERY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대표
최종 순위2위



SORRY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대표
최종 순위1위



SCAMTALK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대표
최종 순위3위

7. 논란 및 사건사고[편집]



7.1. Tomazacre 성범죄 논란[편집]



번역 보기

GBB19의 준우승자이자 이번 GBB21 참가자인 Tomazacre가 GBB에서 성범죄를 저질렀다는 의혹이 있다.

같은 참가자인 Vocodah가 SBX측에 이 사건을 먼저 알린 것으로 추정되며, 현재 Tomazacre의 영상은 모두 비공개된 상태이다. SBX의 CEO인 Pepouni는 해당 사태에 대한 깊은 유감을 표하는 동시에 영상 업로드를 당분간 중지하겠다고 밝혔다. 영상 성범죄 관련 문제는 이번이 처음이 아니며, 이전에도 Wunknown이라는 비트박서가 성폭행 논란으로 문제를 일으켰던 선례가 있어 더욱 안타까운 상황.

참고로 Vocodah의 영상도 내려간 상태인데, 이는 Vocodah 본인의 요청으로 영상이 내려간 것이다. Vocodah는 성추행 사건에 전혀 관련이 없으며, 해당 사건에 대한 대처가 늦었던 SBX측에 실망하여 앞으로 어떤 컨텐츠도 제휴하지 않겠다는 뜻을 밝혔다.

11월 19일, Tomazacre는 인스타그램을 통해 자신의 무죄를 주장하였다.

2022년 6월 6일, Tomazacre는 인스타그램 스토리로 반박글을 올리며 SBX를 고소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현재로선 2가지 경우의 수가 존재합니다.

첫째, 그들은 스스로가 했던 모든 것들을 인정하고, 공개돼야 마땅한 모든 증거를 보일 수 있습니다.

둘째, 만약 그러하지 않겠다면, 다음 몇 시간 이내로 저는 SBX 팀이 ‘사건은 명백한 거짓이지만 우리는 당신이 칠레에서 일을 해결할 때까지 기다릴 겁니다’라고 말하는 사적인 대화를 공개할 겁니다.

저는 비트박스 대회를 포함한 모든 것에서 손을 뗄 겁니다. 이미 그들이 제 모든 것을 빼앗았기 때문에 저는 더 이상 잃을 게 없습니다.

(중략)

저는 SBX가 옳은 일을 하기를 바랐지만, 그들은 결국 그러하지 않았습니다.

공개적으로 말하겠습니다, 만약 그들이 이에 대해 답변하지 않는다면, 저는 그들을 고소할 겁니다. 저와 함께할, 당신들에 의해 착취당한 다른 아티스트들이 있습니다.

- Tomazacre 인스타그램 스토리 내용 중 일부 발췌

전체 내용 보기
번역 보기

7.2. D-Koy의 보이콧 및 주최측 갑질 폭로[편집]



번역 보기

D-Koy도 마찬가지로 SBX측에 자기가 참여한 배틀과 예선 영상에서 자신이 출연한 분량을 삭제해달라고 부탁했고, 자기 채널에 업로드한 영상에서도 앞으로 SBX와 같이 활동하는 일은 없을 것이라고 이야기했다.[22]

첫번째 라이브에서는 해당 보이콧이 SBX와 함께 일하면서 계속 일했던 경험에 의거해 판단한 일이라고 덧붙였다. 뿐만 아니라 이번 성추행 논란은 SBX의 문제점의 5%밖에 되지 않는다면서 비트박스 커뮤니티에 문제점이 아직 많다는 것을 암시했다.


번역 보기

3월 11일에 진행한 두번째 라이브에서는 SBX측과 겪었던 마찰의 구체적인 예시를 나열하며 Tomazacre 사건과 자신의 보이콧은 전혀 관계없다고 못박았다. 특히 SBX의 CEO인 Pepouni한테 사기를 당한 경험을 언급하며, 그가 해당 위치에서 내려오기 전까지는 앞으로 어떤 컨텐츠도 제휴하지 않겠다는 뜻을 밝혔다.


8. 여담[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14 21:48:07에 나무위키 그랜드 비트박스 배틀 2021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Grand Beatbox Battle 2020 Online은 정식 그랜드 비트박스 배틀이 아닌 별개의 대회로 분류한다.[2] 기존 1500명에서 5000명[3] 해당 공지의 번역본은 여기에서 확인할 수 있다.[4] 해당 공지의 번역본은 여기에서 확인할 수 있다.[송출문제] A B 스트리밍 중 문제가 발생하여 다시 진행함[5] 해당 라이브의 번역은 여기에서 확인할 수 있다.[6] 해당 라이브의 번역은 여기에서 확인할 수 있다.[7] 해당 라이브의 번역은 여기에서 확인할 수 있다.[8] 해당 라이브의 번역은 여기에서 확인할 수 있다.[9] 해당 라이브의 번역은 여기에서 확인할 수 있다.[10] Fabulous Wadness (Wawad & Beatness)[11] Twenteam'8 (Alem & BMG)[12] Spiderhorse (Gene Shinozaki & Chris Celiz)[13] Kotcha (D-Low & Frosty)[14] K-PoM (Kenny Urban & NaPoM)[15] The Beatbox House (NaPoM & Kenny Urban & Gene Shinozaki & Chris Celiz & Amit)[16] The Beatbox House (NaPoM & Kenny Urban & Gene Shinozaki & Chris Celiz & Amit)[17] Berywam (Beatness & Rythmind & WaWad & MB14 & Beasty)[18] The Beatbox Collective (Ball-Zee & Bass6 & Bellatrix & BFG & Experimental & Hobbit & MC Zani)[19] Berywam (Beatness & Rythmind & WaWad & MB14 & Beasty)[집계오류] A B C D E F 계산 착오로 인해 예선 3위였던 Robin이 8위로 집계됨에 따라, 4~8등의 순위가 3~7위로 잘못 집계되었다. [20] 2표, 상세 득표 비공개[21] 3표, 상세 득표 비공개[22] 현재 원본 영상은 내려간 상태이다.[23] Tomazacre 성범죄 의혹의 은폐에 대한 항의로 보이콧[24] 주최측의 갑질 및 사기행위에 대한 항의로 보이콧[25] 성범죄 의혹에 연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