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권잠술

덤프버전 : r20210301 (♥ 0)


파일:권잠술.jpg
성명권잠술(權岑述)
생몰1898년 7월 1일 ~ 1965년 8월 31일
출생지경상남도 밀양군 부내면 내일동
사망지경상남도 밀양군
추서건국훈장 애족장

1. 개요
2. 생애



1. 개요[편집]


한국의 독립운동가. 2011년 건국훈장 애족장을 추서받았다.

2. 생애[편집]


권잠술은 1898년 7월 1일 밀양군 부내면 내일동에서 부친 권종호(權宗鎬)와 모친 황옥이(黃玉伊)의 장남으로 태어났다. 그는 7세 때 마을의 서당에서 한문을 깨우쳤고, 12세인 1910년에 전홍표가 옛 밀양군관청 자리에서 설립하여 운영하고 있던 동화학교에 입학하여 김소지・노재석・최수봉・김상윤・김희백 등과 함께 2년여 간 신학문을 익혔다. 동화학교를 졸업한 그는 부친을 도와 농업에 종사했고, 1914년 16세의 나이로 설경도(薛敬道)의 장녀 설만수(薛萬守)를 아내로 맞이했다.

1919년 3월 13일 밀양에서 3.1 운동이 발발했다. 이때 그는 만세운동에 가담하려 했지만 처자를 둔 몸이라 가담하지 못했고, 이를 부끄럽게 생각한 끝에 1920년 11월 서울에서 동향 출신의 홍재문, 김덕곤(金德坤)과 의기투합하여 독립군자금을 모집하기로 결의했다. 이후 그는 동지들과 함께 12월에 밀양으로 내려가서 밀양군 부호인 안홍원(安弘遠)을 만나 대한민국 임시정부 요원으로 활동하던 유순근(柳順根)을 일제 관헌에게 밀고한 사실을 이유로 사형집행을 실시하기 위해 온 대한민국 임시정부 파견원이라고 밝히고, 사형집행을 면하려면 군자금 50,000원을 출금(出金)할 것을 요구하여 결국 금 3,000원을 모집하였다.

이후에도 밀양군 일대에서 독립군자금 모집활동을 전개했지만 얼마 후 일제 경찰에 체포되었고, 1921년 8월 26일 대구복심법원에서 소위 강도 및 보안법 위반으로 징역 7년을 받고 대구형무소에서 옥고를 치렀다. 1926년 2월 15일 가출옥된 그는 초야에 묻혀 농사에 전념했다. 1941년 아내 설만수가 사망한 뒤 1943년 김덕순(金德順)과 재혼했다.

8.15 광복 이후, 권잠술은 1946년부터 무안면 중산리에서 숯가마를 경영했다. 그러나 데리고 있던 서기로부터 사기를 당해 그만두었고, 6.25 전쟁 때는 차남 권이수(權貳守)가 참전하였다가 전사했다는 비보를 접하기도 했다. 1955년부터는 밀양 내이동에서 밀양 여인숙을 경영했으며, 1965년 8월 31일 밀양에서 골수암으로 인해 사망했다.

대한민국 정부는 2011년 권잠술에게 건국훈장 애족장을 추서했다.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