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사이모에 리그/연도별 기록

덤프버전 : (♥ 0)


파일:나무위키+상위문서.png   상위 문서: 국제 사이모에 리그

파일:나무위키+넘겨주기.png   관련 문서: 국제 사이모에 리그/삽화 일람

1. 개요
2.1. 통계
3.1. 통계
4.1. 통계
5. 전체 통계
5.1. 세대별 통계
5.2. 작품별 통계
5.3. 포스트시즌 통계
6. 캐릭터 별 활약상



1. 개요[편집]


국제 사이모에 리그에서 연도별로 어떤 시리즈가 선전했는지를 간략히 서술한 문서. 원하는 시즌의 상세한 결과를 확인하고 싶다면, 각 연도에 해당하는 하위 문서를 참고하길 바란다. 또한, 통계는 5년 단위로 작성한다.


2. 2008년~2012년[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국제 사이모에 리그/연도별 기록/2008-2012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 2008년 - 1세대의 탄생과 정착
쿄애니 3대장인 CLANNAD, 스즈미야 하루히의 우울, 러키☆스타이 대회 전반을 휩쓸어버린 해이다. 러키☆스타의 이즈미 코나타, 히이라기 카가미, 히이라기 츠카사, 하루히 시리즈의 스즈미야 하루히, 나가토 유키, 클라나드의 이치노세 코토미, 사카가미 토모요, 후지바야시 쿄 8명이 포스트시즌에 진출하고, 정규리그 상위 8자리 중 6자리를 차지하며 국사모 1세대 최강 진영으로 자리잡았다.[1] 쿄애니 3대장 이외에는 나노하 진영만이 페이트 테스타로사, 타카마치 나노하 2명을 올리며 세력을 과시했고, 샤나로젠 메이든이 순위권에 올라오면서 국사모 1세대 캐릭터들의 틀이 잡히게 되었다.

  • 2009년 - 1세대의 변화
쿄애니 3대장은 여전히 강세였다. 클라나드 진영이 사카가미 토모요, 후지바야시 쿄 2명, 럭키스타 진영이 히이라기 카가미 1명, 하루히 진영이 스즈미야 하루히, 나가토 유키, 아사히나 미쿠루 3명을 결선에 올리면서 지난 해보다 약간 적은 6명을 진출시켰다. 하지만 동맹과 연방의 희비는 엇갈렸다. 나노하 진영은 작년처럼 페이트와 나노하가 결선에 올랐으나 세력이 크게 줄어든 반면, 로젠 메이든스이긴토, 스이세이세키, 신쿠 3명을 올리면서 지난 해보다 더 강해졌다. 모토계 초기 8룡으로 불리는 아이사카 타이가 , 현랑 호로, 샤나, 카츠라 히나기쿠, 사카가미 토모요, 페이트 테스타로사, 히이라기 카가미, 나가토 유키가 모두 순위권에 진입했고, 그 중에서도 히나기쿠와 샤나는 지난 해보다 한 층 강력해진 모습을 보였다.

  • 2010년 - 1세대 몰락의 전초, 2세대의 부상
앞선 2년을 지배했던 1세대의 세력이 크게 쇠퇴했다. 나노하 진영로젠 메이든은 단 1명도 포스트시즌에 올리지 못하며 세력 다툼에서 완전히 밀려났고, 쿄애니 3대장 역시 세월을 이기지 못하고 크게 부진했다. 지난해 결선에 진출한 6명 중 아사히나 미쿠루를 제외한 토모요, , 카가미, 하루히, 나가토 5명은 결선 재진출에 성공했지만, 나가토 유키를 제외한 다른 넷은 하위 시드로 내려앉았다. 그 외 1세대 중에는 샤나히나기쿠 둘만이 세력을 유지했고, 1세대 후발주자인 아이사카 타이가가 본격적으로 활약하기 시작했다. 반면, 케이온! 진영은 신흥 강자로 떠올라 아키야마 미오, 나카노 아즈사, 히라사와 유이 3명을 결선에 올리며 가장 많은 인원이 결선에 진출한 시리즈가 되었고, 시즌 내내 압도적인 인기를 보이며 2세대의 개창자가 되었다. 마지막으로, 국사모 2세대 양강 중 하나인 미사카 미코토가 이 대회에서 처음 상위권에 등장했다.

  • 2011년 - 1세대 몰락 가속화, 2세대 양강의 형성
지난 해 어떤 마술의 금서목록미사카 미코토가 신흥 강자로 떠오른 데 이어, 엔젤 비트 진영이 대성장하며 타치바나 카나데가 2세대 양강이 되었고, 나카무라 유리, 유이까지 3명을 결선에 올렸다. 2세대의 개창자, 케이온이 아키야마 미오나카노 아즈사 2명만을 결선에 올리는 등 작년보다 기세가 확연히 떨어진 모습을 보이긴 했지만, 2세대 중견 강호 고코우 루리유클리우드 헬사이즈가 그 모습을 드러내 활약하기 시작하면서 2세대는 다음 12시즌에서 최고 전성기를 맞게 될 발판을 마련하였다. 반면, 1세대는 지난 해에 이어 올해도 세력 약화를 또 한번 크게 겪으면서 샤나, 나가토, 타이가 셋을 제외하면 완전히 경쟁력을 상실하였다. 쿄애니 3대장은 하루히 시리즈스즈미야 하루히나가토 유키가 결선에 오르며 여전히 인기가 건재함을 알리긴 했으나, CLANNAD러키☆스타 진영이 결선 진출에 실패하면서 몰락을 피할 수 없었다. 모토계 초기 8룡의 경우, 샤나, 타이가, 히나기쿠, 나가토 넷만이 살아남았다.

  • 2012년 - 1세대의 마지막 투혼과 2세대 전성기의 도래
노바/스텔라 부문으로 리그가 분할되었고, 국사모 2세대 양대 강자 미사카 미코토타치바나 카나데가 작년의 강세를 이어가며 각각 정규 시즌 우승을 차지하였다. 엔젤비트 진영은 지난 해에 이어 카나데, 유리, 유이 3명을 결선에 올려보내며 가장 많은 인원이 포스트시즌에 오른 진영이 되었고, 케이온 역시 아키야마 미오나카노 아즈사가 건재함을 알렸다. 내여귀 진영이 선전하여 고코우 루리코우사카 키리노를 결선에 올렸고, 유클리우드 헬사이즈가 만개하여 대활약하는 등 지난해보다도 2세대는 더욱 강해진 모습을 보여주며 최고의 전성기를 맞게 되었다. 반면 1세대는 작년까지 세력을 유지하던 샤나나가토마저 무너지며 본격적인 암흑기의 시작을 알렸다.[2] 끝으로, 하루히 시리즈의 양대 히로인, 스즈미야 하루히나가토 유키가 5년 연속 결선 진출을 이뤄내며 마지막 불꽃을 태웠다.[3]


2.1. 통계[편집]


2008년부터 2012년까지의 통계. 점수의 기준은 다음과 같으며 총점 3점 이하의 캐릭터는 합쳐서 작성한다.
  • 정규 리그(22점): 1위 8점, 2위 6점, 3위 4점, 4위 2점, 5~6위 1점
    • 노바/스텔라 분할 시: 부문 1위: 7점, 부문 2위: 3점, 부문 3위: 1점
  • 목걸이(25점): 아쿠아마린 5점, 토파즈/자수정 4점, 그 외 3점
    • 노바/스텔라 분할 시: 아쿠아마린 5점, 사파이어/다이아몬드 서클릿 4점, 그 외 3점
  • 포스트시즌(38점): 참가자 2점[조건], 8강 진출자 +1점[5]
    • 최종(15점)[4]: 4강(3,4위) 각 2점, 준우승(2위) 4점, 우승(1위) 7점
  • A: 결선 우승 / B: 정규리그 1위[노바/스텔라] / C: 아쿠아마린 / D: 결선 준우승 / E: 정규리그 2위
  • 금색 1위, 은색: 2위, 동색: 3위[전체동점][1년동점][예시1]

순위캐릭터08년(100점)09년(100점)10년(100점)11년(100점)12년(100점)총점(500점)
1위샤나10(C)18(BD)22(B)11(D)566점
<silver,gray> 2위<silver,gray> 미사카 미코토-012(D)21(ACE)<silver,gray> 17(E)<silver,gray> 50점
3위타치바나 카나데---<silver,gray> 17(B)26(ABC)43점
4위나가토 유키8(D)9811339점
5위스즈미야 하루히<silver,gray> 139(E)32229점
6-7위카츠라 히나기쿠213(A)9(E)3027점
아키야마 미오--<silver,gray> 19(AC)26
8위사카가미 토모요9(E)<silver,gray> 14(C)20025점
9위아이사카 타이가-286622점
10위페이트 테스타로사18(AB)300021점
11-12위유클리우드 헬사이즈---513(D)18점
고코우 루리---99
13위히이라기 카가미12220016점
14위후지바야시 쿄7520014점
15위나카노 아즈사--55212점
16위스이긴토180009점
17위나카무라 유리---235점
18-24위사쿠라자키 세츠나400004점
이즈미 코나타40000
타카마치 나노하22000
스이세이세키04000
신쿠04000
세이버00202
유이냥---22
25-26위이치노세 코토미, 토오사카 린3점
27-37위11명[6]2점
38-40위카와스미 마이, 코우사카 키리노, 카시와자키 세나1점


3. 2013년~2017년[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국제 사이모에 리그/연도별 기록/2013-2017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 2013년 - 1세대의 소멸, 2세대의 고공행진과 3세대의 데뷔
이 해에 3세대 캐릭터들의 기반이 세워졌다. 먼저, 사쿠라장 진영이 시이나 마시로, 아오야마 나나미를 순위권에 올리며 화려하게 데뷔했고, 중2코이타카나시 릿카, 소아온유우키 아스나가 결선에 올라 3세대 강자들이 속속히 무대 위로 떠올랐다. 전성기를 맞이하며 고코우 루리, 아라가키 아야세, 코우사카 키리노 3명을 올린 내여귀를 제외하면 2세대는 여전히 강세를 보이긴 했으나 대체로 주춤하는 분위기를 보였다. 비록 2세대 양강 미사카 미코토타치바나 카나데는 건재했으나 케이온은 나카노 아즈사 1명만이 결선에 올랐고, 헬사이즈는 기세가 확 떨어진 모습을 보였다. 1세대는 타이가를 빼고 전멸하는 지옥을 맞이했다. 특히, 샤나하루히 시리즈의 대몰락은 충격적이었다.

  • 2014년 - 2세대 최후의 전성기, 상승세를 탄 3세대
13년도와 비슷한 양상을 보였다. 사쿠라장의 시이나 마시로, 아오야마 나나미는 물론, 내여귀의 고코우 루리, 아라가키 아야세와 2세대 양대 강자 미사카 미코토타치바나 카나데 역시 그대로 결선에 올랐다. 3세대 신흥 강자로 데어라 진영이 떠올라 이츠카 코토리, 토키사키 쿠루미, 히메카와 요시노 3명을 결선에 진출시켰고 유우키 아스나타카나시 릿카 역시 상승세를 이어갔다. 큰 화젯거리가 없었던 이 시즌이 가지는 의의는 두 가지이다. 첫째는 국사모에서 중화권 투표자들이 키스톤으로 부상하였고, 둘째는 데어라 진영이 결선에서 2기 버프와 함께 당대 모토계에서 끝을 모르고 질주하던 어마금에 제동을 거는 대사건을 일으킨 것이다.

  • 2015년 - 절정에 달한 3세대의 전성기
ToC의 신설로 우승자 출전 금지 조항이 생기며, 이전까지의 대회와는 완전 다른 대격변이 일어났다. 여기에 유키노시타 유키노의 급부상, 니세코이의 세계적 흥행, 14년도의 다크호스 사쿠라 치요, 시로지브릴을 보유한 노겜노라 등 풍족한 신인 풀이 겹치며 3세대의 군웅할거 시대가 도래한다. 또한, 3세대 기존 진영인 소아온, 중2코이, 데어라 등의 세력이 크게 쇠퇴하면서[7] 여기서 2014년까지 약체 진영이었던 타입문은 반사 이익을 보아 주요 세력으로 성장하게 되었다. 또한, 이러한 3세대 새로운 진영을 난립은 기존 세력을 완전히 몰아내었다. 모토계 초기 8룡을 비롯한 1세대는 단 1명도 결선에 진출하지 못하고 완전히 전멸했으며, 2세대 역시 유클리우드 헬사이즈아라가키 아야세 단 둘을 남긴 채 모두 탈락의 고배를 마셨다.[8] 이외에도 목걸이/펜던트 신규 수상자가 13명이라는 전례없는 수치를 기록하고, 업셋이 난무하는 등 충격적인 이변이 시즌 내내 이어진 혼돈 그 자체였다.

  • 2016년 - 돌풍을 일으킨 1세대의 잔재
신인 진영 사에카노의 예상치 못한 폭망과 타입문 천하가 불러온 노장 강점기로 요약되는 시즌.[9] 비록 역내청 진영은 건재함을 알렸지만, 니세코이마저 결말 논란으로 주저앉은 걸 시작으로 2015년을 호령했던 모든 신인들이 단체로 나락행을 탄 상황이었다. 이어서 신인의 유일한 희망이었던 카토 메구미가 기대에 부응하지 못하는 바람에, 고전 작품들이 빈집털이를 할 기회가 열렸다. 설상가상으로 시즌의 길이가 짧아져 이들에게 더 유리한 상황. 이런 배경 덕에 3세대 초기(13-14시즌)의 캐릭터 중 유일하게 15시즌을 견뎌낸 시이나 마시로는 최고의 전성기를 맞이하게 되었고[10], 15년의 실패를 거울삼아 전력을 강화한 타입문 진영은 토오사카 린, 알트리아 펜드래곤, 이리야스필 폰 아인츠베른을 모두 8강에 올리는 등 완전체가 되었을 뿐더러 한 해 보석의 40%를 싹쓸이하기에 이르렀다. 심지어 지난 4년간의 생지옥을 벗어난 샤나 역시 이 절호의 시기를 놓치지 않고 시즌 내내 무쌍을 찍었다.

  • 2017년 - 3세대와 4세대의 격돌
4세대 이세계물 캐릭터들의 본격적인 태동기. 그 핵심인 코노스바리제로 진영의 메구밍, , 에밀리아 셋은, 작년 전시경기부터 이번 시즌의 탑 컨텐더로 예상되었다. 그리고 작년에 지하실 구경을 하고 온 카토 메구미가 부활하며 신인 3진영이 형성되었다. 반대로 3세대 측에서는 3년만에 부활한 유우키 아스나를 필두로 파워 인플레를 받은 소아온과, 작년의 강세를 이어간 시이나 마시로, 그리고 린과 세이버가 건재한 타입문의 세 진영이 이에 대응하는 구도가 만들어졌다. 양 측은 결선 4강에서 승부가 나기 전까지 거의 팽팽한 세력 균형을 이루었다. 반면 유키노시타 유키노는 강해진 중국 투표자들의 영향인지 크게 몰락했고, 이를 복선으로 하여 Bilibili Moe 2017의 사고가 국사모까지 번져 결선 부정투표 의혹이 남은 찜찜한 대회가 되고 말았다.


3.1. 통계[편집]


2013년부터 2017년까지의 통계. 점수의 기준은 다음과 같으며 총점 3점 이하의 캐릭터는 합쳐서 작성한다.
  • 정규 리그(22점): 1위 8점, 2위 6점, 3위 4점, 4~5위 2점
    • 노바/스텔라 분할 시: 부문 1위: 7점, 부문 2위: 3점, 부문 3위: 1점
  • 목걸이(25점): 아쿠아마린 5점, 토파즈/자수정 4점, 그 외 3점
    • 노바/스텔라 분할 시: 아쿠아마린 5점, 사파이어/다이아몬드 서클릿 4점, 그 외 3점
  • 포스트시즌(38점): 참가자 2점[조건], 8강 진출자 +1점
    • 최종(15점)[11]: 4강(3,4위) 각 2점, 준우승(2위) 4점, 우승(1위) 7점
  • A: 결선 우승 / B: 정규리그 1위[노바/스텔라] / C: 아쿠아마린 / D: 결선 준우승 / E: 정규리그 2위
  • 금색 1위, 은색: 2위, 동색: 3위[전체동점][1년동점][예시2]

순위캐릭터13년(100점)14년(100점)15년(100점)16년(100점)17년(100점)총점(500점)
1위시이나 마시로17(E)11(D)1118(BC)1269점
<silver,gray> 2-3위<silver,gray> 유우키 아스나51022<silver,gray> 15(E)<silver,gray> 34점
<silver,gray> 타치바나 카나데<silver,gray> 19(CD)<silver,gray> 15---
4위유키노시타 유키노-019(CD)10231점
5위고코우 루리20(AB)3---23점
6-7위미사카 미코토614(BC)---20점
샤나020<silver,gray> 18(A)-
8위토오사카 린007(E)6619점
9위이츠카 코토리-17(AE)---17점
10위----16(BC)16점
11위아라가키 아야세3552015점
12-16위사쿠라 치요--<silver,gray> 13(B)0013점
에밀리아----13(D)
카토 메구미---013(A)
토키사키 쿠루미-308(E)2
세이버00283
17-18위타카나시 릿카8100211점
이리야스필 폰 아인츠베른0017(D)3
19위지탄다 에루0010(A)--10점
20-22위유클리우드 헬사이즈522009점
히메카와 요시노-6300
토모리 나오---72
23-25위흑설공주440008점
키리사키 치토게--800
아오야마 나나미23210
26-29위아이사카 타이가220037점
시로--232
오노데라 코사키--700
마키세 크리스00151
30위유이가하마 유이--3205점
31위메구밍----44점
32-33위나카노 아즈사, 지브릴3점
34-37위코우사카 키리노, 하세가와 코바토, 츠츠카쿠시 츠키코, 잇시키 이로하2점
38-40위카시와자키 세나, 유즈리하 이노리, 카후우 치노1점


4. 2018년~2022년[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국제 사이모에 리그/연도별 기록/2018-2022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 2018년 - 내려앉은 3세대와 질주하는 4세대
2017년에 터진 사태의 가장 큰 피해자로 여겨진, 에게 시즌 초반부터 독주할 명분이 주어진다. 그나마 칸나 카무이가 거의 유일하게 따라갈 수 있었고, 나머지 3세대 전통 강자 진영인 소아온, 역내청, 타입문, 사쿠라장 모두 쓰라린 정규시즌 실패를 맛보았다. 특히 타입문의 경우 BLM 8.17사태의 원흉으로 찍혀, 국사모에서 그 영향력을 많이 잃어버리고 말았다. 참고로, 2010년대 중 최약체로 꼽히는 17년 신인 풀이 데뷔했지만, 국사모에서는 메이드래곤스카스카, 목소리의 형태가 저 쟁쟁한 진영들을 제치고 꽤 많이 선전하였다. 3세대 주요 캐릭터 중 시이나 마시로유우키 아스나 둘을 제외한 다른 캐릭터들이 힘이 크게 줄어들면서 신인과 노장의 세력이 반반 정도였던 작년에 비해, 올해부터는 전반적으로 신인들이 노장 세력을 크게 앞서기 시작했다.

  • 2019년 - 4세대 최고의 전성기
2018년보다도 더 강해진 뉴 페이스의 영향력을 느낄 수 있는 해. 4세대에서 간만에 나온 투톱 신인 바이올렛 에버가든, 사쿠라지마 마이의 고공행진을 빼고 봐도, 당장 작년 신인 최약체 이즈미 사기리마저 최상위권에서 노는 것만 봐도 명확하다. 그러나 시대에 역행하는 단 한 명, 토오사카 린 만큼은 우승후보급 화력을 보여주며 노장계의 비대칭 전력으로 자리잡았다. 어쨌든 사쿠라장의 애완 그녀, 소드 아트 온라인, 진격의 거인 등 구작 거대 진영들의 보석 무관은 수많은 보석 신규 수상자의 탄생을 불러왔다. 한편 쿄애니 참사의 영향 때문에, 2016년 이후 부진에 빠졌던 쿄애니 팬덤이 단단히 결집하여 부활했다.

  • 2020년 - 다시 일어서는 2·3세대, 불안한 5세대의 출발
비록 시즌 초반에는 카구야님, 5등분, 귀칼 등 5세대 3대 진영이 매우 선전하는 등 신인의 강세가 예상되었지만, 시즌 중반부터 카구야 진영을 제외한 나머지가 풍비박산나고 말았다. 이 때문에 신인 격인 사쿠라지마 마이시노미야 카구야을 제외하면, 오래간만에 노장들이 크게 선전하는 구도가 펼쳐졌다. 아무도 우승후보로 생각하지 않았던 유우키 아스나토키사키 쿠루미가 상위 목걸이를 연이어 따내고, 본선에 복귀한 미사카 미코토는 예선 시드 1위, 정규시즌 3위로 대단한 퍼포먼스를 선보였다. 유키노시타 유키노 역시 작년 16강 탈락한 캐릭터가 맞는지 의심스러울 정도로, 시즌 내내 2015년이 기억날 만큼 압도적인 모습을 보여주었다.

  • 2021년 - 2·3세대의 선전, 무너진 4세대와 약세의 5세대
지난 해에 이어 또 다시 노장들의 선전이 이어졌다. 2세대 양대 강자 미사카 미코토타치바나 카나데는 데뷔한 지 10년이 넘었음에도 아직 현역임을 증명해냈다. 4강 7회 진출의 신화를 쓴 시이나 마시로를 비롯해 소아온유우키 아스나, 중2코이타카나시 릿카 등도 인기가 더욱 상승한 모습을 보여주며 크게 활약했으며, 데어라 진영의 토키사키 쿠루미는 아쿠아마린 목걸이를 따내는 돌풍을 일으켰다. 반면 무너져버린 신인 풀에선, 일레이나시노미야 카구야 둘만이 밝게 빛날 뿐이었다. 비록 모든 이의 예상을 비웃듯 최종 승자는 5세대에서 나왔으나, 결선에서의 중국 투표자들의 패악질 때문에 대회의 명줄이 끊어지며 빛이 바래고 말았다.

전체적으로 보면 2·3세대가 선전하긴 했으나 4세대의 막판 화력 역시 만만치 않았다. 2세대는 72강/42강에서 연속으로 1위를 차지하고 예선/72강 목걸이를 연이어 획득하는 등 압도적인 화력을 선보인 미사카 미코토를 필두로 침체되어 있던 케이온!을 부활시켜 아키야마 미오히라사와 유이를 결선에 올리는데 성공했다. 3세대는 선전하긴 했으나 여태까지와는 다른 양상을 보였다. 마시로, 아스나, 유키노, 쿠루미 등의 기존 강자들은 약해진 반면, 7년 만에 복귀한 에루와 중견 강호 수준에 그쳤던 릿카가 쿄애니의 압도적인 지지를 받아 대활약하는 모습을 보였다. 4세대는 복귀한 바이올렛 에버가든이 모두 패자조에서 끝까지 살아남는 등 결선 막판 화력을 뽐내며 질주했다.[12]


4.1. 통계[편집]


2018년부터 2022년까지의 통계. 점수의 기준은 다음과 같으며 총점 3점 이하의 캐릭터는 합쳐서 작성한다.
  • 정규 리그(22점): 1위 8점, 2위 6점, 3위 4점, 4~5위 2점
  • 목걸이(25점): 아쿠아마린 5점, 토파즈/자수정 4점, 그 외 3점[13]
  • 포스트시즌(38점): 참가자 2점[조건], 8강 진출자 +1점
    • 최종(15점)[14]: 4강(3,4위) 각 2점, 준우승(2위) 4점, 우승(1위) 7점
  • A: 결선 우승 / B: 정규리그 1위 / C: 아쿠아마린 / D: 결선 준우승 / E: 정규리그 2위
  • 금색 1위, 은색: 2위, 동색: 3위[전체동점][1년동점]

순위캐릭터18년(100점)19년(100점)20년(100점)21년(100점)22년(100점)총점(500점)
1위미사카 미코토--14(D)<silver,gray> 16(DE)26(ABC)56점
<silver,gray> 2위<silver,gray> 유키노시타 유키노7819(AE)-5<silver,gray> 39점
3위시이나 마시로95611738점
4위토키사키 쿠루미012(E)810(C)232점
5위시노미야 카구야--<silver,gray> 17(B)13131점
6-7위타카나시 릿카33561330점
바이올렛 에버가든-17(AC)--<silver,gray> 13(DE)
8위사쿠라지마 마이-<silver,gray> 16(B)73329점
9위23(ABC)---528점
10위일레이나---21(AB)526점
11위유우키 아스나1028(C)5025점
12위토오사카 린511(D)30019점
13위칸나 카무이<silver,gray> 16(DE)000016점
14위이즈미 사기리21000012점
15위크톨리 노타 세니오리스9200011점
16-17위에밀리아032207점
유이가하마 유이00124
18-19위마키세 크리스150006점
지탄다 에루----6
20위하야사카 아이--3205점
21-24위시로301004점
니시미야 쇼코22000
아키야마 미오-2002
토모리 나오00022
25-28위4명[15]3점
29-35위7명[16]2점
36-40위5명[17]1점


5. 전체 통계[편집]


2008년부터 2022년까지의 전체 통계. 3년 단위로 기록하며 총합 15점 이상의 캐릭터만 기재한다.

[ 전체 통계 | 펼치기 · 접기 ]
  • 금색 1위, 은색 2위, 동색 3위[동점]
  • 세대별 현황[1]: 1세대 8명[A], 2세대 7명[B], 3세대 9명[C], 4세대 5명[D], 5세대 2명[E]
순위캐릭터08-10년11-13년14-16년17-19년20-22년총점세대
1위미사카 미코토12<silver,gray> 4414056126점2
<silver,gray> 2위<silver,gray> 시이나 마시로-17402624<silver,gray> 107점3
3위샤나5016200086점1
4위타치바나 카나데-62150380점2
5위유키노시타 유키노--<silver,gray> 29172470점3
6위유우키 아스나-514<silver,gray> 271359점3
7위토키사키 쿠루미--11142045점3
8위---39544점4
9-11위고코우 루리-3830041점2
토오사카 린30132233
타카나시 릿카-818243
12위나가토 유키<silver,gray> 251400039점1
13-14위아키야마 미오19802231점2
시노미야 카구야----<silver,gray> 315
15위바이올렛 에버가든---171330점4
16-18위스즈미야 하루히25400029점1
아이사카 타이가10142301
사쿠라지마 마이---16134
19-20위카츠라 히나기쿠24300027점1
유클리우드 헬사이즈-234002
21위일레이나----2626점5
22위사카가미 토모요25000025점1
23위페이트 테스타로사21000021점1
24위에밀리아---16420점4
25위세이버22105019점3
26위나카노 아즈사51003018점2
27위이츠카 코토리--170017점3
28-30위히이라기 카가미16000016점1
지탄다 에루--10063
칸나 카무이---1604
31위아라가키 아야세-3120015점2
[동점] 전체 동점은 같은 순위로 보며, 3년 동점은 총점이 최종적으로 순위가 높은 사람을 더 높은 순위로 판단한다.[1] 타입문(세이버, 린) 진영의 경우 등장 시기 자체는 1세대이나 전성기의 시기를 고려하여 3세대로 분류하며, 미코토는 데뷔 시점은 타이가와 같은 1세대이나, 2010년 이후에 포텐이 터졌으므로 2세대로 분류.[A] 샤나(86), 나가토 유키(39), 스즈미야 하루히(29), 아이사카 타이가(29), 카츠라 히나기쿠(27), 사카가미 토모요(25), 페이트 테스타로사(21), 히이라기 카가미(16).[B] 미사카 미코토(126), 타치바나 카나데(80), 고코우 루리(41), 아키야마 미오(31), 유클리우드 헬사이즈(27), 나카노 아즈사(18), 아라가키 아야세(15).[C] 시이나 마시로(102), 유키노시타 유키노(70), 유우키 아스나(59), 토키사키 쿠루미(45), 타카나시 릿카(41), 토오사카 린(41), 세이버(19), 이츠카 코토리(17), 지탄다 에루(16).[D] (44), 바이올렛 에버가든(30), 사쿠라지마 마이(29), 에밀리아(20), 칸나 카무이(16).[E] 시노미야 카구야(31), 일레이나(26).


5.1. 세대별 통계[편집]


[ 세대 합산 통계(기초형) | 펼치기 · 접기 ]
위의 통계들을 바탕으로 각 년도별로 각 세대가 얻은 점수를 합산한 통계.
세대08-10년11-13년14-16년17-19년20-22년총점
08년09년10년11년12년13년14년15년16년17년18년19년20년21년22년
11009758<silver,gray> 33<silver,gray> 16240<silver,gray> 18320000333점
255<silver,gray> 512250
2--<silver,gray> 40678261<silver,gray> 39<silver,gray> 720321620<silver,gray> 29<silver,gray> 368점
<silver,gray> 40210<silver,gray> 48565
3-<silver,gray> 32-2<silver,gray> 3757938050<silver,gray> 41<silver,gray> 4753<silver,gray> 3639540점[T]
539230<silver,gray> 138128
4---------<silver,gray> 4754519521187점
00015235
5------------<silver,gray> 22391172점
0000<silver,gray> 72
배점1001001001001001001001001001001001001001001001500
300300300300300
[T] 08~12년의 득점은 원래 없어야하나 타입문(세이버,린)이 1세대가 아닌 3세대에 분류되므로 득점이 존재한다.


[ 세대 합산 통계(심화형) | 펼치기 · 접기 ]
위의 통계들을 바탕으로 각 년도별로 각 세대가 얻은 점수를 합산한 통계.
  • Le: 리그, Ne: 목걸이, Po: 결선, Fi: 최종
세대1세대2세대3세대4-5세대
LeNePoFiLeNePoFiLeNePoFiLeNePoFi
08년득점22253815<silver,gray> 0<silver,gray> 0<silver,gray> 0<silver,gray> 000000000
합계100<silver,gray> 000
09년득점222535150000<silver,gray> 0<silver,gray> 0<silver,gray> 3<silver,gray> 00000
합계970<silver,gray> 30
10년득점161723<silver,gray> 2<silver,gray> 6<silver,gray> 8<silver,gray> 131300200000
합계58<silver,gray> 4020
11년득점<silver,gray> 5<silver,gray> 10<silver,gray> 14<silver,gray> 41715241100000000
합계<silver,gray> 336700
12년득점<silver,gray> 5<silver,gray> 0<silver,gray> 11<silver,gray> 21725261300200000
합계<silver,gray> 168220
13년득점0020<silver,gray> 11<silver,gray> 1223151113<silver,gray> 13<silver,gray> 00000
합계261<silver,gray> 370
14년득점0040<silver,gray> 10<silver,gray> 12<silver,gray> 13<silver,gray> 4121321110000
합계4<silver,gray> 39570
15년득점0000<silver,gray> 0<silver,gray> 4<silver,gray> 3<silver,gray> 0222135150000
합계0<silver,gray> 7930
16년득점<silver,gray> 4<silver,gray> 4<silver,gray> 3<silver,gray> 7002018213380000
합계<silver,gray> 182800
17년득점00300000<silver,gray> 101323<silver,gray> 412<silver,gray> 12<silver,gray> 1211
합계3050<silver,gray> 47
18년득점00200300<silver,gray> 6<silver,gray> 1021<silver,gray> 41612<silver,gray> 1511
합계23<silver,gray> 4154
19년득점00000020<silver,gray> 81419<silver,gray> 614<silver,gray> 11<silver,gray> 179
합계02<silver,gray> 4751
20년득점0000435<silver,gray> 4<silver,gray> 81820710<silver,gray> 4<silver,gray> 134
합계01653<silver,gray> 31
21년득점0000<silver,gray> 637<silver,gray> 4415<silver,gray> 15212<silver,gray> 7169
합계020<silver,gray> 3644
22년득점00008<silver,gray> 867616<silver,gray> 152<silver,gray> 8117<silver,gray> 6
합계02939<silver,gray> 32
최종333점368점540점259점


[ 연도별 누적 TOP 7 | 펼치기 · 접기 ]
각 연도별로 점수를 누적해 상위 7명을 기재한 순위 피라미드, 동점의 경우 이전 년도에 더 높은 점수를 기록하고 있던 캐릭터(따라잡힌 쪽)을 더 높은 순위로 판단한다.
연도
2008년1위: 페이트 테스타로사 (18)
<silver,gray> 2위: 스즈미야 하루히 (13)3위: 히이라기 카가미 (12)
4위: 샤나 (10)5위: 사카가미 토모요 (9)6위: 나가토 유키 (8)7위: 후지바야시 쿄 (7)
2009년1위: 샤나 (28)
<silver,gray> 2위: 사카가미 토모요 (23)3위: 스즈미야 하루히 (22)
4위: 페이트 테스타로사 (21)5위: 나가토 유키 (17)6위: 카츠라 히나기쿠 (15)7위: 히이라기 카가미 (14)
2010년1위: 샤나 (50)
<silver,gray> 2위: 사카가미 토모요 (25)3위: 스즈미야 하루히 (25)
4위: 나가토 유키 (25)5위: 카츠라 히나기쿠 (24)6위: 페이트 테스타로사 (21)7위: 아키야마 미오 (19)
2011년1위: 샤나 (61)
<silver,gray> 2위: 나가토 유키 (36)3위: 미사카 미코토 (33)
4위: 스즈미야 하루히 (27)5위: 카츠라 히나기쿠 (27)6위: 사카가미 토모요 (25)7위: 페이트 테스타로사 (21)
2012년1위: 샤나 (66)
<silver,gray> 2위: 미사카 미코토 (50)3위: 타치바나 카나데 (43)
4위: 나가토 유키 (39)5위: 스즈미야 하루히 (29)6위: 카츠라 히나기쿠 (27)7위: 아키야마 미오 (27)
2013년1위: 샤나 (66)
<silver,gray> 2위: 타치바나 카나데 (62)3위: 미사카 미코토 (56)
4위: 나가토 유키 (39)5위: 고코우 루리 (38)6위: 스즈미야 하루히 (29)7위: 카츠라 히나기쿠 (27)
2014년1위: 타치바나 카나데 (77)
<silver,gray> 2위: 미사카 미코토 (70)3위: 샤나 (68)
4위: 고코우 루리 (41)5위: 나가토 유키 (39)6위: 스즈미야 하루히 (29)7위: 시이나 마시로 (28)
2015년1위: 타치바나 카나데 (77)
<silver,gray> 2위: 미사카 미코토 (70)3위: 샤나 (68)
4위: 고코우 루리 (41)5위: 나가토 유키 (39)6위: 시이나 마시로 (39)7위: 스즈미야 하루히 (29)
2016년1위: 샤나 (86)
<silver,gray> 2위: 타치바나 카나데 (77)3위: 미사카 미코토 (70)
4위: 시이나 마시로 (57)5위: 고코우 루리 (41)6위: 나가토 유키 (39)7위: 스즈미야 하루히 (29)
2017년1위: 샤나 (86)
<silver,gray> 2위: 타치바나 카나데 (77)3위: 미사카 미코토 (70)
4위: 시이나 마시로 (69)5위: 고코우 루리 (41)6위: 나가토 유키 (39)7위: 유우키 아스나 (34)
2018년1위: 샤나 (86)
<silver,gray> 2위: 시이나 마시로 (78)3위: 타치바나 카나데 (77)
4위: 미사카 미코토 (70)5위: 유우키 아스나 (44)6위: 고코우 루리 (41)7위: 나가토 유키 (39)
2019년1위: 샤나 (86)
<silver,gray> 2위: 시이나 마시로 (83)3위: 타치바나 카나데 (77)
4위: 미사카 미코토 (70)5위: 유우키 아스나 (46)6위: 유키노시타 유키노 (46)7위: 고코우 루리 (41)
2020년1위: 시이나 마시로 (89)
<silver,gray> 2위: 샤나 (86)3위: 미사카 미코토 (84)
4위: 타치바나 카나데 (77)5위: 유키노시타 유키노 (65)6위: 유우키 아스나 (54)7위: 고코우 루리 (41)
2021년1위: 시이나 마시로 (100)
<silver,gray> 2위: 미사카 미코토 (100)3위: 샤나 (86)
4위: 타치바나 카나데 (80)5위: 유키노시타 유키노 (65)6위: 유우키 아스나 (59)7위: 토키사키 쿠루미 (43)
2022년1위: 미사카 미코토 (126)
<silver,gray> 2위: 시이나 마시로 (107)3위: 샤나 (86)
4위: 타치바나 카나데 (80)5위: 유키노시타 유키노 (70)6위: 유우키 아스나 (59)7위: 토키사키 쿠루미 (45)


5.2. 작품별 통계[편집]


[ 작품별 전체 통계 | 펼치기 · 접기 ]
  • 금색 1위, 은색 2위, 동색 3위[동점], 총합 15점 이상의 작품만 기재한다.
순위캐릭터08-10년11-13년14-16년17-19년20-22년총점세대
1위어떤 마술의 금서목록12<silver,gray> 4414059129점2
<silver,gray> 2위<silver,gray> 사쿠라장의 애완그녀-19462624<silver,gray> 115점3
3위엔젤비트-71150389점2
4위역시 내 청춘 러브코메디는 잘못됐다.--36183387점3
5위작안의 샤나<silver,gray> 5016200086점1
6위타입문5231<silver,gray> 31372점3
7위데이트 어 라이브00<silver,gray> 37142071점3
8위스즈미야 하루히의 우울521800070점1
9위Re: 제로부터 시작하는 이세계 생활00055964점4
10-11위내 여동생이 이렇게 귀여울 리가 없어044150059점2
소드 아트 온라인-51427133
12위케이온!261805352점2
13위CLANNAD42000042점1
14위중2병이라도 사랑이 하고 싶어!08182441점3
15위카구야님은 고백받고 싶어0000<silver,gray> 3939점5
16위바이올렛 에버가든000171330점4
17-19위토라도라!101423029점1
하야테처럼!2630001
청춘 돼지 시리즈00016134
20위이것은 좀비입니까?02340027점2
21위마녀의 여행00002626점5
22위마법소녀 리리컬 나노하25000025점1
23위러키☆스타22000022점1
24위코바야시네 메이드래곤00018018점4
25위로젠메이든17000017점1
26위빙과00100616점3
27위니세코이00150015점3
[동점] 전체 동점은 같은 순위로 보며, 3년 동점은 총점이 최종적으로 순위가 높은 작품을 더 높은 순위로 판단한다.


[ 작품별 결선 진출 통계 | 펼치기 · 접기 ]
각 연도별로 2명 이상을 포스트시즌(결선)에 진출시킨 시리즈와 해당 시리즈의 캐릭터를 기재한다. 세대별 표기 - 1세대: 빨간색, 2세대: 노란색, 3세대: 초록색, 4•5세대: 파란색.
  • 결산 - 5개년 1작품[1], 4개년 2작품[2], 3개년 4작품[3], 2개년 7작품[4], 1개년 7작품[5]
연도인원시리즈캐릭터
2008년3명클라나드사카가미 토모요, 후지바야시 쿄, 이치노세 코토미
럭키스타히이라기 카가미, 히이라기 츠카사, 이즈미 코나타
2명마법소녀 리리컬 나노하페이트 테스타로사, 타카마치 나노하
스즈미야 하루히의 우울스즈미야 하루히, 나가토 유키
2009년3명스즈미야 하루히의 우울스즈미야 하루히, 나가토 유키, 아사히나 미쿠루
로젠메이든스이긴토, 스이세이세키, 신쿠
2명마법소녀 리리컬 나노하페이트 테스타로사, 타카마치 나노하
클라나드사카가미 토모요, 후지바야시 쿄
2010년3명케이온아키야마 미오, 나카노 아즈사, 히라사와 유이
2명하야테처럼카츠라 히나기쿠, 산젠인 나기
스즈미야 하루히의 우울스즈미야 하루히, 나가토 유키
클라나드사카가미 토모요, 후지바야시 쿄
이야기 시리즈센고쿠 나데코, 센조가하라 히타기
2011년3명엔젤비트타치바나 카나데, 나카무라 유리, 유이냥
2명스즈미야 하루히의 우울스즈미야 하루히, 나가토 유키
케이온아키야마 미오, 나카노 아즈사
이야기 시리즈센고쿠 나데코, 센조가하라 히타기
2012년3명엔젤비트타치바나 카나데, 나카무라 유리, 유이냥
2명스즈미야 하루히의 우울스즈미야 하루히, 나가토 유키
케이온아키야마 미오, 나카노 아즈사
내 여동생이 이렇게 귀여울리 없어고코우 루리, 코우사카 키리노
나는 친구가 적다카시와자키 세나, 하세가와 코바토
2013년3명내 여동생이 이렇게 귀여울리 없어고코우 루리, 코우사카 키리노, 아라가키 아야세
2명나는 친구가 적다카시와자키 세나, 하세가와 코바토
사쿠라장의 애완그녀시이나 마시로, 아오야마 나나미
2014년3명데이트 어 라이브이츠카 코토리, 요시노, 토키사키 쿠루미
2명내 여동생이 이렇게 귀여울리 없어고코우 루리, 아라가키 아야세
사쿠라장의 애완그녀시이나 마시로, 아오야마 나나미
2015년2명사쿠라장의 애완그녀시이나 마시로, 아오야마 나나미
역시 내 청춘 러브코메디는 잘못됐다유키노시타 유키노, 유이가하마 유이
노게임 노라이프시로, 지브릴
니세코이오노데라 코사키, 키리사키 치토게
2016년3명역시 내 청춘 러브코메디는 잘못됐다유키노시타 유키노, 유이가하마 유이, 잇시키 이로하
타입문토오사카 린, 세이버, 이리야스필 폰 아인츠베른
2명사쿠라장의 애완그녀시이나 마시로, 아오야마 나나미
노게임 노라이프시로, 지브릴
2017년2명타입문토오사카 린, 이리야스필 폰 아인츠베른
리제로부터 시작하는 이세계생활렘, 에밀리아
2018년3명타입문토오사카 린, 세이버, 이리야스필 폰 아인츠베른
2명코바야시네 메이드래곤칸나 카무이, 토르
2019년2명역시 내 청춘 러브코메디는 잘못됐다유키노시타 유키노, 잇시키 이로하
2020년3명역시 내 청춘 러브코메디는 잘못됐다유키노시타 유키노, 유이가하마 유이, 잇시키 이로하
카구야님은 고백받고 싶어시노미야 카구야, 후지와라 치카, 하야사카 아이
2명어떤 마술의 금서목록미사카 미코토, 쇼쿠호 미사키
2021년3명카구야님은 고백받고 싶어시노미야 카구야, 후지와라 치카, 하야사카 아이
2명어떤 마술의 금서목록미카사 미코토, 인덱스
2022년2명케이온아키야마 미오, 히라사와 유이
[1] 스즈미야 하루히의 우울(08, 09, 10, 11, 12).[2] 사쿠라장의 애완그녀(13, 14, 15, 16), 역시 내 청춘 러브코메디는 잘못됐다(15, 16, 19, 20).[3] 클라나드(08, 09, 10), 케이온(10, 11, 12), 내 여동생이 이렇게 귀여울리 없어(12, 13, 14), 타입문(16, 17, 18).[4] 마법소녀 리리컬 나노하(08, 09), 이야기 시리즈(10, 11), 엔젤비트(11 12), 나는 친구가 적다(12, 13), 노게임 노라이프(15, 16), 카구야님은 고백받고 싶어(20, 21), 어떤 마술의 금서목록(20, 21).[5] 럭키스타(08), 로젠메이든(09), 하야테처럼(10), 데이트 어 라이브(14), 니세코이(15), 리제로부터 시작하는 이세계생활(17), 코바야시네 메이드래곤(18).


[ 작품별 누적 TOP 7 | 펼치기 · 접기 ]
각 연도별로 점수를 누적해 상위 7개의 작품을 기재한 순위 피라미드[1], 동점의 경우 이전 년도에 더 높은 점수를 기록하고 있던 작품(따라잡힌 쪽)을 더 높은 순위로 판단한다.
연도
2008년1위: 스즈미야 하루히의 우울 (21)
<silver,gray> 2위: 마법소녀 리리컬 나노하 (20)3위: 클라나드 (19)
4위: 러키☆스타 (18)5위: 작안의 샤나 (10)6위: 마법선생 네기마! (4)7위: 하야테처럼! (2)
2009년1위: 스즈미야 하루히의 우울 (41)
<silver,gray> 2위: 클라나드 (38)3위: 작안의 샤나 (28)
4위: 마법소녀 리리컬 나노하 (25)5위: 러키☆스타 (20)6위: 로젠메이든 (17)7위: 하야테처럼! (15)
2010년1위: 스즈미야 하루히의 우울 (52)
<silver,gray> 2위: 작안의 샤나 (50)3위: 클라나드 (42)
4위: 하야테처럼! (26)5위: 케이온! (26)6위: 마법소녀 리리컬 나노하 (25)7위: 러키☆스타 (22)
2011년1위: 스즈미야 하루히의 우울 (65)
<silver,gray> 2위: 작안의 샤나 (61)3위: 클라나드 (42)
4위: 케이온! (33)5위: 어떤 마술의 금서목록 (33)6위: 하야테처럼! (29)7위: 마법소녀 리리컬 나노하 (25)
2012년1위: 스즈미야 하루히의 우울 (70)
<silver,gray> 2위: 작안의 샤나 (66)3위: 엔젤비트 (52)
4위: 어떤 마술의 금서목록 (50)5위: 클라나드 (42)6위: 케이온! (41)7위: 하야테처럼! (29)
2013년1위: 엔젤비트 (71)
<silver,gray> 2위: 스즈미야 하루히의 우울 (70)3위: 작안의 샤나 (66)
4위: 어떤 마술의 금서목록 (56)5위: 케이온! (44)6위: 내 여동생이 이렇게 귀여울 리가 없어 (44)7위: 클라나드 (42)
2014년1위: 엔젤비트 (86)
<silver,gray> 2위: 스즈미야 하루히의 우울 (70)3위: 어떤 마술의 금서목록 (70)
4위: 작안의 샤나 (68)5위: 내 여동생이 이렇게 귀여울 리가 없어 (52)6위: 케이온! (44)7위: 클라나드 (42)
2015년1위: 엔젤비트 (86)
<silver,gray> 2위: 스즈미야 하루히의 우울 (70)3위: 어떤 마술의 금서목록 (70)
4위: 작안의 샤나 (68)5위: 내 여동생이 이렇게 귀여울 리가 없어 (57)6위: 사쿠라장의 애완그녀 (46)7위: 케이온! (44)
2016년1위: 엔젤비트 (86)
<silver,gray> 2위: 작안의 샤나 (86)3위: 스즈미야 하루히의 우울 (70)
4위: 어떤 마술의 금서목록 (70)5위: 사쿠라장의 애완그녀 (65)6위: 내 여동생이 이렇게 귀여울 리가 없어 (59)7위: 케이온! (44)
2017년1위: 엔젤비트 (86)
<silver,gray> 2위: 작안의 샤나 (86)3위: 사쿠라장의 애완그녀 (77)
4위: 스즈미야 하루히의 우울 (70)5위: 어떤 마술의 금서목록 (70)6위: 내 여동생이 이렇게 귀여울 리가 없어 (59)7위: 타입문 (50)
2018년1위: 엔젤비트 (86)
<silver,gray> 2위: 작안의 샤나 (86)3위: 사쿠라장의 애완그녀 (86)
4위: 스즈미야 하루히의 우울 (70)5위: 어떤 마술의 금서목록 (70)6위: 내 여동생이 이렇게 귀여울 리가 없어 (59)7위: 타입문 (58)
2019년1위: 사쿠라장의 애완그녀 (91)
<silver,gray> 2위: 엔젤비트 (86)3위: 작안의 샤나 (86)
4위: 스즈미야 하루히의 우울 (70)5위: 어떤 마술의 금서목록 (70)6위: 타입문 (69)7위: 내 여동생이 이렇게 귀여울 리가 없어 (59)
2020년1위: 사쿠라장의 애완그녀 (97)
<silver,gray> 2위: 엔젤비트 (86)3위: 작안의 샤나 (86)
4위: 어떤 마술의 금서목록 (86)5위: 역시 내 청춘 러브코메디는 잘못됐다. (76)6위: 타입문 (72)7위: 스즈미야 하루히의 우울 (70)
2021년1위: 사쿠라장의 애완그녀 (108)
<silver,gray> 2위: 어떤 마술의 금서목록 (103)3위: 엔젤비트 (89)
4위: 작안의 샤나 (86)5위: 역시 내 청춘 러브코메디는 잘못됐다. (78)6위: 타입문 (72)7위: 스즈미야 하루히의 우울 (70)
2022년1위: 어떤 마술의 금서목록 (129)
<silver,gray> 2위: 사쿠라장의 애완그녀 (110)3위: 엔젤비트 (89)
4위: 역시 내 청춘 러브코메디는 잘못됐다. (87)5위: 작안의 샤나 (86)6위: 타입문 (72)7위: 데이트 어 라이브 (71)
[1] 작품 옆 () 안의 숫자는 해당 작품의 모든 캐릭터들이 그해까지 얻은 모든 점수를 합산한 점수이다.


5.3. 포스트시즌 통계[편집]


[ 결승/4강 진출자 | 펼치기 · 접기 ]
각 연도별로 포스트시즌 결승/4강에 진출한 캐릭터를 풀네임으로 표기하며, 순위에 맞게 표기한다.[1]
국제 사이모에 리그 결승/4강 진출자
연도우승<silver,gray> 준우승4강
08페이트 테스타로사<silver,gray> 나가토 유키히이라기 카가미이즈미 코나타
09카츠라 히나기쿠<silver,gray> 샤나사카가미 토모요나가토 유키
10아키야마 미오<silver,gray> 미사카 미코토샤나나카노 아즈사
11미사카 미코토<silver,gray> 샤나타치바나 카나데고코우 루리
12타치바나 카나데<silver,gray> 유클리우드 헬사이즈고코우 루리아이사카 타이가
13고코우 루리<silver,gray> 타치바나 카나데유클리우드 헬사이즈미사카 미코토
14이츠카 코토리<silver,gray> 시이나 마시로타치바나 카나데아라가키 아야세
15지탄다 에루<silver,gray> 유키노시타 유키노시이나 마시로키리사키 치토게
16샤나<silver,gray> 이리야스필 폰 아인츠베른시이나 마시로유키노시타 유키노
17카토 메구미<silver,gray> 에밀리아유우키 아스나시이나 마시로
18<silver,gray> 칸나 카무이유키노시타 유키노시이나 마시로
19바이올렛 에버가든<silver,gray> 토오사카 린사쿠라지마 마이시이나 마시로
20유키노시타 유키노<silver,gray> 미사카 미코토사쿠라지마 마이시노미야 카구야
21일레이나<silver,gray> 미사카 미코토시노미야 카구야시이나 마시로
22미사카 미코토<silver,gray> 바이올렛 에버가든타카나시 릿카
[1] 4강의 경우 둘 중 최종 순위가 더 높은 사람을 앞에 쓰도록 한다.


[ 8강 진출자 | 펼치기 · 접기 ]
각 연도별로 포스트시즌 8강[1]에 진출한 캐릭터를 약칭(4글자 이하)으로 표기하며, 순서는 순위와 관계없이 표기한다. 세대별 표기 - 1세대: 빨간색, 2세대: 노란색, 3세대: 초록색, 4-5세대: 파란색
연도국제 사이모에 리그 8강 진출자
08샤나페이트하루히나가토토모요코토미카가미
09히나기쿠스이긴토
10타이가미코토미오아즈사
11카나데루리
12헬사이즈유리미오
13흑설공주마시로아야세아즈사
14아스나나나미요시노코토리
15에루유이유키노치요코사키치토게
16샤나나오세이버이리야시로
17아스나에밀리아타이가카토
18유키노릿카칸나세니오시로
19쿠루미바이올렛에밀리아사기리마이
20아스나카구야유키노하야사카미코토
21쿠루미카나데릿카일레이나
22에루바이올렛유키노
[1] 초기 3년의 경우, 승자조 8강을 기준으로 한다.


[ 16강 진출자 | 펼치기 · 접기 ]
각 연도별로 포스트시즌 16강에 진출한 캐릭터를 약칭(4글자 이하)으로 표기한다. 순서는 순위와 관계없이 표기하며, 2회 연속 출전시 칸을 묶으며, 3회 이상 연속 출전 시 풀네임으로 서술한다. 세대별 표기 - 1세대: 빨간색, 2세대: 노란색, 3세대: 초록색, 4-5세대: 파란색
국제 사이모에 리그 16강 진출자
080910111213141516171819202122
샤나이노리샤나에루샤나메구밍쇼코유이가하마에루
페이트미사카 미코토유이가하마카토사기리미사카 미코토
나노하나기타치바나 카나데유키노시타 유키노카나데유키노
사카가미 토모요유리유우키 아스나미쿠
후지바야시 쿄유이냥릿카지브릴타카나시 릿카
코토미아이사카 타이가치토게이로하타이가토르이로하일레이나
스즈미야 하루히시이나 마시로
나가토 유키아오야마 나나미에밀리아칸나사쿠라지마 마이
코나타미쿠루나데코키리노쿠루미코사키쿠루미사쿠라토키사키 쿠루미
히이라기 카가미고코우 루리시로바이올렛시로츠카사바이올렛
츠카사호로세이버뒤누아세이버아라가키 아야세에밀리아
카츠라 히나기쿠세나요시노나오세니오시노미야 카구야
스이긴토아키야마 미오흑설공주치요이리야미오치카미오
C.C.세이나카노 아즈사코토리세이버치노세이버치노하야사카치사토
카와스미유이유클리우드 헬사이즈토오사카 린나오
후루데신쿠히타기코바토츠키코마키세 크리스쇼쿠호인덱스유이


6. 캐릭터 별 활약상[편집]


국제 사이모에 리그에서 뛰어난 성적을 기록한 캐릭터들의 활약상을 작성한 문단. 전체 통계에서 20위 이상의 순위에 기재된 캐릭터를 전체 누적 승점에 따른 순위대로 작성한다.
--
---

첫 등장: 2009년, 세대: 2세대, 활약 시기: 2010~2014 + 2020~2022, 위상: 2세대 양대 산맥
최고 기록: 우승(2011, 2022), 목걸이: 9개(7색), 기타 기록: 결승 최다 진출(5회), 정규리그 3회 우승, 연승 2위(91연승)/6위(62연승), ToC 2회 우승

첫 등장: 2013년, 세대: 3세대, 활약 시기: 2013~2022, 위상: 3세대 초기 전통 강자
최고 기록: 준우승(2014), 목걸이: 10개(7색), 기타 기록: 4강 최다 진출(7회), 8강 최다 진출(9회), 포스트시즌 최다 진출(10회), 통산 승률 3위(90.3%)

첫 등장: 2008년, 세대: 1세대, 활약 시기: 2008~2016, 위상: 1세대 4대 전설
최고 기록: 우승(2016), 목걸이: 7개(6색), 기타 기록: 다승 3위(336승), 연승 4위(74연승), 통산 승률 5위(88.6%), 정규리그 2회 우승

첫 등장: 2011년, 세대: 2세대, 활약 시기: 2011~2014, 위상: 2세대 양대 산맥
최고 기록: 우승(2012), 목걸이: 7개(5색), 기타 기록: 연승 1위(112연승), 통산 승률 1위(93.5%), 정규리그 2회 우승, 2012년 전승우승

첫 등장: 2015년, 세대: 3세대, 활약 시기: 2015~2020, 위상: 3세대 후기 전통 강자
최고 기록: 우승(2020), 목걸이: 5개(3색), 기타 기록: 통산 승률 4위(88.8%)

첫 등장: 2013년, 세대: 3세대, 활약 시기: 2013~2021, 위상: 3세대 초기 전통 강자
최고 기록: 4강(2017), 목걸이: 7개(6색), 기타 기록: 포스트시즌 최다 진출 2위(9회)

첫 등장: 2014년, 세대: 3세대, 활약 시기: 2014~2022, 위상: 3세대 후기 전통 강자
최고 기록: 8강(2019, 2021), 목걸이: 3개(3색), 기타 기록: 없음

  • 8위: - 44점
첫 등장: 2017년, 세대: 4세대, 활약 시기: 2017~2018, 위상: 4세대 신흥 강자
최고 기록: 우승(2018), 목걸이: 2개(1색), 기타 기록: 없음

첫 등장: 2011년, 세대: 2세대, 활약 시기: 2011~2014, 위상: 2세대 중견 강호
최고 기록: 우승(2013), 목걸이: 3개(2색), 기타 기록: 통산 승률 2위(92.9%)

첫 등장: 2008년, 세대: 3세대, 활약 시기: 2015~2020, 위상: 3세대 후기 전통 강자
최고 기록: 준우승(2019), 목걸이: 4개(4색), 기타 기록: 다승 2위(337승)

첫 등장: 2013년, 세대: 3세대, 활약 시기: 2013~2022, 위상: 3세대 초기 전통 강자
최고 기록: 4강(2022), 목걸이: 4개(4색), 기타 기록: 없음

첫 등장: 2008년, 세대: 1세대, 활약 시기: 2008~2012, 위상: 1세대 4대 전설
최고 기록: 준우승(2008), 목걸이: 3개(2색), 기타 기록: 다승 6위(304승), 8강 연속 진출 2위(5년)[18]

첫 등장: 2010년, 세대: 2세대, 활약 시기: 2010~2012, 위상: 2세대 중견 강호
최고 기록: 우승(2010), 목걸이: 2개(2색), 기타 기록: 없음

첫 등장: 2020년, 세대: 5세대, 활약 시기: 2020~2022, 위상: 5세대 신흥 강자
최고 기록: 4강(2020, 2021), 목걸이: 2개(2색), 기타 기록: 없음

첫 등장: 2019년, 세대: 4세대, 활약 시기: 2019, 위상: 4세대 신흥 강자
최고 기록: 우승(2019), 목걸이: 1개(1색), 기타 기록: 없음

첫 등장: 2008년, 세대: 1세대, 활약 시기: 2008~2012, 위상: 1세대 4대 전설
최고 기록: 8강(2008, 2009, 2010), 목걸이: 2개(2색), 기타 기록: 다승 5위(313승), 연승 5위(68승), 최초의 목걸이 연속 수상

첫 등장: 2009년, 세대: 1세대, 활약 시기: 2009~2017, 위상: 1세대 4대 전설
최고 기록: 4강(2012), 목걸이: 2개(2색), 기타 기록: 다승 4위(333승)

첫 등장: 2019년, 세대: 4세대, 활약 시기: 2019~2022, 위상: 4세대 신흥 강자
최고 기록: 4강(2019, 2020), 목걸이: 1개(1색), 기타 기록: 없음

첫 등장: 2008년, 세대: 세대, 활약 시기: 2008~2011, 위상: 1세대 중견 강호
최고 기록: 우승(2009), 목걸이: 1개(1색), 기타 기록: 없음

첫 등장: 2011년, 세대: 2세대, 활약 시기: 2011~2015, 위상: 2세대 중견 강호
최고 기록: 준우승(2012), 목걸이: 2개(2색), 기타 기록: 없음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14 11:56:57에 나무위키 국제 사이모에 리그/연도별 기록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A B C D 1년 단위의 점수가 동일한 경우 정규리그, 목걸이, 결선 중 2부문의 기록이 더 높은 캐릭터를 더 높은 순위로 산정한다.[2] 타이가가 홀로 세력을 유지하긴 했으나 상황을 뒤집을 수준은 아니었다.[3] 대회 5년차에 해당하는 이 2012년까지 살아남은 1세대 캐릭터는 샤나, 하루히, 나가토, 타이가 단 4명이었다. 이 해 이후 1세대가 결선에 진출한 사례는 14, 16년의 샤나, 13, 14, 17년의 아이사카 타이가, 18년의 키노모토 사쿠라까지 고작 6회 뿐이었다.[4] 위의 포스트시즌 점수와 별개로 계산한다. 즉, 우승자는 참가 2점 + 8강 1점 + 우승 7점으로 총 10점을 받는다. 단, 2008년 이즈미 코나타와 같이 8강을 거치지 않고 4강에 오른 경우 16강 2점 + 4강 2점으로 4점만 받게 된다.[조건] A B C 16강을 기본적으로 참가로 판단한다. 단, 16강 탈락자 중 하위 2인은 1점만 부여한다.[5] 08-10시즌은 승자조 8강을 기준으로 한다.[노바/스텔라] A B 노바/스텔라 분할 시 노바 1위와 스텔라 1위 중 승수가 높은 캐릭터를 1위로 판단한다. 승수가 같을 시 스텔라 캐릭터를 1위로 판단한다.[전체동점] A B C 같은 순위로 표기한다.[예시1] 2011년 샤나-나가토 유키 동점 -> 샤나가 결선 1부문 우위, 나가토 유키가 정규리그, 목걸이 2부문 우위이므로 나가토 유키의 순위가 더 높은 것으로 판단.[6] 히이라기 츠카사, C.C., 후루데 리카, 아사히나 미쿠루, 현랑 호로, 산젠인 나기, 히라사와 유이, 센고쿠 나데코, 센조가하라 히타기, 샤를로트 뒤누아, 하세가와 코바토[7] 13-14시즌에 등장한 3세대 중 세력을 유지한 것은 시이나 마시로 단 1명이었다.[8] 15시즌 2세대의 급격한 몰락은 향후에도 큰 영향을 미쳐 17-18시즌에는 2세대가 완전히 전멸해버리는 참사가 벌어지게 되었다. 이 15시즌을 시작으로, 미코토의 출전 제한이 풀리는 20시즌까지 2세대는 기나긴 암흑기를 견뎌야 했다.[9] 15년 카토 이외의 또 다른 탑 신인 토모리 나오는 하필이면 작품을 잘못 타고 난 덕에 진영이 없다! 즉, 전력에 한계가 있다는 소리.[10] 위에 서술된 것처럼 15시즌 역내청, 니세코이, 사쿠라 치요, 노겜노라 등 새 진영을 난립은 기존 3세대 진영인 소아온, 중2코이, 데어라를 순위권에서 내쫓는 결과를 불러왔다. 그런데 16시즌에는 이러한 15시즌의 강호들이 일거에 몰락했고, 새로운 강력한 진영의 등장도 없었다. 이러한 배경으로 인해 자연스레 15시즌을 견딘 마시로가 16시즌 3세대의 최강캐가 된 것이다.[11] 위의 포스트시즌 점수와 별개로 계산한다. 즉, 우승자는 참가 2점 + 8강 1점 + 우승 7점으로 총 10점을 받는다.[예시2] 예) 2017년 카토-에밀리아 동점 -> 카토가 결선 1부문 우위, 에밀리아가 목길이, 정규리그 2부문 우위이므로 에밀리아의 순위가 더 높은 것으로 판단.[12] 5세대에 대한 언급이 없는 이유는 그야말로 제대로 망했기 때문이다. 일레이나가 그나마 선방하긴 했으나 작년의 기세에 훨씬 못미쳤고 카구야 진영은 완전히 몰락했다. 22시즌의 두 신성 치사토미쿠도 그다지 활약하지 못했다.[13] 22시즌은 예선/특전A 5점, 결선/특전B 4점, 72강/42강 3점, 특전C 1점으로 한다.[14] 위의 포스트시즌 점수와 별개로 계산한다. 즉, 우승자는 참가 2점 + 8강 1점 + 우승 7점으로 총 10점을 받는다.[15] 나카노 아즈사, 잇시키 이로하, 후지와라 치카, 타치바나 카나데[16] 토르, 키노모토 사쿠라, 세이버, 쇼쿠호 미사키, 유자키 츠카사, 나카노 미쿠, 니시키기 치사토.[17] 이리야스필 폰 아인츠베른, 카후우 치노, 인덱스, 히라사와 유이, 하이바라 아이[18] 1위는 시이나 마시로의 9회(13~21).